2018-08-01 11:06:00
첨부 :
issue_focus_aug.pdf

김태기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저임금인상의 역풍
어느 나라든 소득불평등문제가 커지면 최저임금인상에 눈을 돌렸다. 그러나 각국 정부는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커져 고용이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최저임금인상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최저임금인상이 얼마나 고용을 감소시키는가는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최저임금제도의 특징뿐 아니라 노동시장구조와 고용관행이 중요 변수였다. 최저임금제도가 합리적이고 노동시장구조와 관행이 임금인상의 부담을 생산성증대로 흡수할 수 있는 나라는 부작용이 적었다.
우리나라는 저렴한 인건비가 경쟁기반인 중소기업의 고용이 무려 90%에 가깝다. 청년의 학력은 높지만 숙련수준이 낮아 실업률이 높다. 이런 상황에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중소기업은 고용을 줄이고 청년은 아르바이트 일자리도 구하기 어려워진다. 한국은행과 한국노동연구원 등의 연구를 보면 우리나라는 임금상승에 따른 고용감소 폭이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3배 정도 많고, 청년이 일반 근로자보다 타격이 크며, 평균적으로 임금이 1% 증가할 때 고용이 0.15% 정도나 감소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80 | [2018년 8월] 최저임금인상 · 근로시간단축, 감속해야한다. | 18-08-01 |
79 | [2018년 7월] 이제는 ‘경제 자유화’다. | 18-07-05 |
78 | [2018년 6월] '싱가포르 선언' 이후의 과제 | 18-06-08 |
77 | [2018년 5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희미해진 '북핵 폐기'의 과녁 | 18-05-02 |
76 | [2018년 4월] 남북·미북정상회담의 의제는 ‘북핵 폐기’여야 한다. | 18-04-04 |
75 | [2018년 3월] 한미동맹과 통상마찰 | 18-03-23 |
74 | [2018년 3월] 국제판 내로남불, 김영철 방한: 독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18-03-07 |
73 | [2018년 2월] 평창올림픽 중간 평가: 평양의 체제선전장이 되어버린 초반 평창올림픽 | 18-02-21 |
72 | [2018년 2월]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 | 18-02-01 |
71 | [2017년 12월] 한 해의 마무리와 2018 한선재단의 도전 | 17-12-22 |
70 | [2017년 11월] 트럼프 방한 이후 한미관계 | 17-11-15 |
69 | [2017년 11월] 미래 한중관계와 한국외교의 방향 | 17-11-03 |
68 | [2017년 10월] 언론과 사법의 정치화 현상,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 17-10-19 |
67 | [2017년 9월] 한가위 즈음에 부치는 글: 한선재단의 다짐 | 17-10-16 |
66 | [2017년 9월] NGO 청년 활동가가 본 북핵문제 | 17-09-13 |
65 | [2017년 8월] 대북제재 결의 2371호와 한국의 대응전략 | 17-08-30 |
64 | [2017년 8월] 한미 FTA에 대한 미국의 관심사항과 우리나라의 대응 [1] | 17-08-02 |
63 | [2017년 7월] 한미동맹으로 본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평가 | 17-07-05 |
62 | [2017년 6월] 문재인 행정부의 '대화와 협상': 위험성과 대응과제 | 17-06-21 |
61 | [2017년 6월] J노믹스 일자리 정책 바로보기 | 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