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30 16:28:35
민문홍 서강대 대우교수
5월 20일 처음 발생하여 우리 국민을 놀라게 했던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 증후군) 사태가 지난 주말을 고비로 차츰 진정되어가는 것 같다. 6월 29일(오전 6시 현재)까지 확진 환자 수는 182명, 사망자 수는 33명, 치료중 환자 수는 54명이다. 이 사태가 종식된 후 정부는 각 분야 전문가들 - 여기에는 반드시 인문사회학 전공 학자들도 포함 - 의 도움을 받아 관계부처 주관으로 좀 더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한 백서를 작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 사건은 이제까지 의료선진국으로 알았던 한국사회의 낙후된 모습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지구촌 시대에 후기 현대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이 선진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치밀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메르스 사태는 한국사회 개혁을 원하는 인문사회학자들과 전문가들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는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37 | [2016년 7월] 악마는 바로 우리 안에 있다 | 16-07-08 |
36 | [2016년 7월] 민변의 탈북민 인신보호청구에 대한 법률적 검토 | 16-07-08 |
35 | [2016년 7월] 청년학포럼 출범에 부쳐 | 16-07-08 |
34 | [2016년 6월 셋째주] 북한 노동당 '제7차 당대회'의 함의와 한국의 대응과제 | 16-06-16 |
33 | [2016년 6월 첫째주] 20대 국회의 역할과 과제: 협치 절벽에서 벗어나라 | 16-06-02 |
32 | [2016년 5월] 북한의 ‘7차 당대회’의 함의와 대북정책의 방향 [1] | 16-05-02 |
31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한국의 대응과제 | 16-01-28 |
30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북중 관계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과제 | 16-01-28 |
29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대북정책의 방향 | 16-01-28 |
28 | [2016년 1월] 시대착오적인 노동운동이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15-12-24 |
27 | [2015년12월] 한국경제 현주소, 위기인가 기회인가? | 15-12-01 |
26 | [2015년 11월] 역사교과서 문제의 역사학적 배경과 사(史)피아의 구조 | 15-11-02 |
25 | [2015년 10월] [공동체자유주의]를 대한민국의 국가정신으로 제안한다. | 15-10-01 |
24 | [2015년 9월] 사법시험 존치 주장, 누구를 위한 것인가? | 15-09-03 |
23 | [2015년 8월] 한일관계 최대 위기 이렇게 풀고 가자 | 15-07-28 |
22 | [2015년 7월] 메르스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사회학적 교훈 | 15-06-30 |
21 | [2015년 6월] 5.31 교육개혁 20주년의 의미와 향후 과제 | 15-05-27 |
20 | [2015년 5월] 대한민국 호, 희망의 불씨를 살려야 한다 | 15-05-07 |
19 | [2015년 5월] 성완종 파문으로 본 정치인의 도덕성과 정치개혁의 필요성 | 15-05-07 |
18 | [2015년 4월] 최저임금 인상, 경기침체를 벗어나게 할 것인가? | 1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