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2-27 18:04:27
-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 -
오늘날 우리나라 국정의 혼란과 국민의 좌절감은 두 가지에서 온다고 본다. 하나는 [구조개혁/시스템개혁 정책의 실종]에서 온다고 본다. 역사와 시대가 요구하는 국가의 구조개혁의 철학과 방향감이 상실되어 오늘날 우리사회에 혼란과 무기력이 오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 개인도 삶의 목표가 있듯이 국가도 목표가 있어야 한다. 뚜렷한 목표의식이 있어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풀
어야 할 개혁/정책과제가 나오고 개혁/정책의 당위성도 그리고 철학과 방향도 나온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건국-산업화-민주화 이후 국가목표가 뚜렷하지 않다. 분명 선진화와 통일이 다음의 국가목표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강력하게 밀고나가는 정치권의 문제의식도 리더십도 약하다. 그러니 행정부도 국민도 국가가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갖지 못하고 따라서 개혁의 당위성도 철학도 방향도 나오지 않는다.
[자세한 원고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41 | [2016년 9월] 20대 첫 정기국회에 바란다 - 정책대결을 통한 일하는 국회를 기대한다 | 16-09-22 |
40 | [2016년 9월] 추석이란 명절 | 16-09-22 |
39 | [2016년 8월] 제4차 산업혁명과 증강현실, 미래와 전망 | 16-08-01 |
38 | [2016년 8월] 내 고향 성주의 사드 배치, 감히 요청 드립니다 | 16-08-01 |
37 | [2016년 7월] 악마는 바로 우리 안에 있다 | 16-07-08 |
36 | [2016년 7월] 민변의 탈북민 인신보호청구에 대한 법률적 검토 | 16-07-08 |
35 | [2016년 7월] 청년학포럼 출범에 부쳐 | 16-07-08 |
34 | [2016년 6월 셋째주] 북한 노동당 '제7차 당대회'의 함의와 한국의 대응과제 | 16-06-16 |
33 | [2016년 6월 첫째주] 20대 국회의 역할과 과제: 협치 절벽에서 벗어나라 | 16-06-02 |
32 | [2016년 5월] 북한의 ‘7차 당대회’의 함의와 대북정책의 방향 [1] | 16-05-02 |
31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한국의 대응과제 | 16-01-28 |
30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북중 관계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과제 | 16-01-28 |
29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대북정책의 방향 | 16-01-28 |
28 | [2016년 1월] 시대착오적인 노동운동이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15-12-24 |
27 | [2015년12월] 한국경제 현주소, 위기인가 기회인가? | 15-12-01 |
26 | [2015년 11월] 역사교과서 문제의 역사학적 배경과 사(史)피아의 구조 | 15-11-02 |
25 | [2015년 10월] [공동체자유주의]를 대한민국의 국가정신으로 제안한다. | 15-10-01 |
24 | [2015년 9월] 사법시험 존치 주장, 누구를 위한 것인가? | 15-09-03 |
23 | [2015년 8월] 한일관계 최대 위기 이렇게 풀고 가자 | 15-07-28 |
22 | [2015년 7월] 메르스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사회학적 교훈 | 1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