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28 13:55:50
송대성 건국대학교 초빙교수
지난 1월 6일 10:30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지역에서 북한이 기습적으로 제4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북한 제4차 핵실험은 첫째,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북한 비핵화 노력들은 철저히 실패했고 국제사회의 인정여하와 관계없이 북한은 사실상 핵보유국이 되었다는 큰 의미를 갖게 되었다.
둘째, 제4차 핵실험은 북한 김정은 정권이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끈질기게 추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선군정치는 “북한이 강한 군사력만 보유하게 되면 (1) 북한 중심으로 한반도를 통일할 수 있고, (2) 북한 정권은 붕괴 없이 옹호될 수 있으며, (3) 북한이 대남?대국제 협상에서 강한 협상력을 보유할 수 있다”는 핵심내용을 담고 있다. 북한이 주장하는 강한 군사력의 핵심은 핵무기, 미사일, 생화학무기다. 제4차 핵실험을 마친 김정은은 향후 대남 및 대외적인 모든 문제를 오직 핵무기의 협박을 통해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37 | [2016년 7월] 악마는 바로 우리 안에 있다 | 16-07-08 |
36 | [2016년 7월] 민변의 탈북민 인신보호청구에 대한 법률적 검토 | 16-07-08 |
35 | [2016년 7월] 청년학포럼 출범에 부쳐 | 16-07-08 |
34 | [2016년 6월 셋째주] 북한 노동당 '제7차 당대회'의 함의와 한국의 대응과제 | 16-06-16 |
33 | [2016년 6월 첫째주] 20대 국회의 역할과 과제: 협치 절벽에서 벗어나라 | 16-06-02 |
32 | [2016년 5월] 북한의 ‘7차 당대회’의 함의와 대북정책의 방향 [1] | 16-05-02 |
31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한국의 대응과제 | 16-01-28 |
30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북중 관계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과제 | 16-01-28 |
29 | [2016년 2월]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대북정책의 방향 | 16-01-28 |
28 | [2016년 1월] 시대착오적인 노동운동이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15-12-24 |
27 | [2015년12월] 한국경제 현주소, 위기인가 기회인가? | 15-12-01 |
26 | [2015년 11월] 역사교과서 문제의 역사학적 배경과 사(史)피아의 구조 | 15-11-02 |
25 | [2015년 10월] [공동체자유주의]를 대한민국의 국가정신으로 제안한다. | 15-10-01 |
24 | [2015년 9월] 사법시험 존치 주장, 누구를 위한 것인가? | 15-09-03 |
23 | [2015년 8월] 한일관계 최대 위기 이렇게 풀고 가자 | 15-07-28 |
22 | [2015년 7월] 메르스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사회학적 교훈 | 15-06-30 |
21 | [2015년 6월] 5.31 교육개혁 20주년의 의미와 향후 과제 | 15-05-27 |
20 | [2015년 5월] 대한민국 호, 희망의 불씨를 살려야 한다 | 15-05-07 |
19 | [2015년 5월] 성완종 파문으로 본 정치인의 도덕성과 정치개혁의 필요성 | 15-05-07 |
18 | [2015년 4월] 최저임금 인상, 경기침체를 벗어나게 할 것인가? | 1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