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대만의 한국 추월 동력은 친기업 정책
 
2025-09-17 15:36:18
◆ 강성진 고려대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의장 겸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만 통계청은 최근 발표에서 2025년 경제성장률이 4.45%, 오는 2026년에는 2.81%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대만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앞지를 것이란 우려가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분기별로도 지난 2분기는 전년 동기에 비해 8.01%20212분기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같은 기간에 달성한 0.6%와 대조적이다. 특히 올해 대만의 1인당 명목 GDP38066달러로, 우리나라가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3743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가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대만은 내년에 41019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우리는 20143만 달러를 돌파한 이후 11년째 그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여 년 간 한국이 대만의 1인당 GDP를 앞서 있었지만, 양국의 기업 환경은 크게 달라졌다. 법인세율(한국 24%, 대만 20%)과 상속세 최고세율(50%, 10%)만 보더라도 기업 친화적 환경의 차이가 뚜렷하다. 이러한 변화가 대만이 한국을 추월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재정 상황에서도 격차가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2017년 이후 재정적자가 이어지면서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201229.5%에서 202346.0%로 치솟았다. 반면, 대만은 같은 기간 39.2%에서 29.0%로 오히려 낮아졌다. 환율에서도 차이가 뚜렷하다. 대만은 자국 통화 가치가 달러화에 비해 올라가면서, 달러 기준으로 환산한 GDP가 높아지는 효과를 얻었다.

 

대만과의 경제 성과 차이는 국가부채 비율에서 드러나듯이 정부 역할의 방향성 차이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정부 개입이 점차 강해지는 반면, 대만은 그렇지 않다. 성장동력의 핵심인 반도체 산업만 보더라도 차이가 뚜렷하다. 대만의 지난 8월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4.1% 증가해 시장 예상치(22.3%)를 훌쩍 넘어섰다. 그 결과 2018년 이후 반도체 생산은 두 배 이상 확대됐다. 최근에는 TSMC를 중심으로 한 파운드리 사업을 넘어서 반도체 인공지능(AI) 방위산업 보안·감시산업 차세대 통신 등 5대 전략산업으로 성장동력을 넓히고 있다.

 

우리나라는 역행하고 있다. 상법 개정, ‘노란봉투법’, 경직된 주 52시간제와 4.5일제 논쟁, 법인세 인상 등은 형평성을 내세우지만 글로벌 기준과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 여기에 저출산·고령화로 복지 부담은 늘고 인구는 줄면서 성장잠재력마저 약해진다. 결국, 우리 경제의 앞날은 어둡다.


그런데도 이재명 정부는 AI와 과학기술 투자를 통한 혁신 경제 강화 정책을 내놓는다. 특히 ‘AI 대전환·초혁신 경제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해 집권 5년간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 잠재성장률을 3%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아쉬운 것은 수단의 선택이다. 정부는 AI를 제조업과 접목하는 기업에 대해 재정·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지만, 정작 규제 완화나 기업 친화적 인센티브 제도는 구체화하지 않았다. 오히려 시장 친화적 정책은 축소되는 모습이다. 최근 프랑스의 신용등급 강등 사례에서 보듯이 이제는 정부 재정 아닌 민간 주도의 시장 친화적 성장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칼럼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623 [문화일보] 대만의 한국 추월 동력은 친기업 정책 25-09-17
2622 [한국경제] "대중국 전략, 새로운 접근 필요…'안미경중' 폐기해야" 25-09-15
2621 [파이낸셜투데이] 국정 운영 기조가 흔들린 이재명 정부 100일 25-09-12
2620 [매일신문] 구호만 있고 성과는 없는 빈 수레 국정 운영 25-09-09
2619 [매일경제] 경제 살리기 행정부·입법부 따로 없다 25-09-09
2618 [시사저널] 국채 무서워 않는 이재명 정부, 국가의 지속 가능성 생각해야 25-09-08
2617 [문화일보] 법정을 쇼 무대 만들 ‘내란 재판’ 중계 25-09-08
2616 [한국경제] 중국 경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25-09-08
2615 [아시아투데이] 北 장마당 환율 폭등 주목해야 25-09-05
2614 [한국경제] 자사주 의무소각, 경제적 자해 입법 25-09-01
2613 [파이낸셜투데이] 조국 사면과 하인리히 법칙 25-08-26
2612 [자유일보] 뭇매 맞은 자폭 광고 25-08-25
2611 [문화일보] 대북 정보 유입은 ‘편입 통일’ 출발점 25-08-20
2610 [한국경제] 정의의 가면 쓴 노란봉투법 25-08-20
2609 [이데일리] 70년 기업 뒤흔드는 상법 개정 후폭풍 25-08-18
2608 [매일신문] 정청래 대표의 왜곡된 인식이 가져 올 파국 25-08-11
2607 [파이낸셜투데이] 정청래식 초강성 정치의 위험성 25-08-08
2606 [문화일보] 한미정상회담 앞서 번지는 안보 불안 25-08-06
2605 [문화일보] 위헌성 크고 공영방송 망칠 ‘방송 3법’ 25-07-31
2604 [한국경제] 중국의 정치적 급변, 사실일까 25-07-3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