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부천굴포항뉴스] 아이스크림은 신 혹은 악마의 선물?
 
2023-08-08 13:19:08

손숙미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 한반도선진화재단 양성평등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아이스크림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까? 아이스크림이 혀에 닿는 순간 솜사탕처럼 차갑고 부드럽게 녹아드는 그 짜릿한 단맛과 상큼하고도 크리미한 풍미.. 아이스크림은 황홀함 그 자체다. 인간의 이성을 마비시키고 어쩌면 악마가 만들어 냈을지도 모르는 그 맛에 몸에는 도파민이 치솟고 덕택에 우리는 잠깐이라도 쾌락과 행복을 느낀다.

심지어 필자도 젊었던 시절 “살면서 어떤 때가 가장 행복하냐”는 질문을 받으면 “커피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에요. 그때는 제가 살아있다는 기쁨을 느끼거든요” 라고 대답하곤 했다. 그러면 상대방은 “아니 영양학자가 몸에 좋지 않은 아이스크림이라니!”  하면서 어리둥절한 분들도 있었고, 또 어떤 분은 “영양학자도 그냥 우리같이 맛있으면 좋아하는구나”하고 안심한 듯 미소를 보내는 사람도 있었다.

실제로 영하 20도로 떨어져 길거리에 사람도 뜸하던 어느 겨울날 텅텅 빈 아이스크림 가게에 들어가 ‘이한 치한’이라며 블루베리 아이스크림을 사 먹은 적도 있었고, 중국 음식점에서는 튀긴 아이스크림도 먹어보았다.

미국의 농촌 사람들은 겨울에 아이스크림을 많이 만들어 먹는다. 크리스마스 휴가를 그들과 함께 지낸 적이 있는데, 겨울철 딱히 할 일이 없고 마땅한 오락거리도 별로 없는 그들은 집집마다 돌아가면서 아이스크림 파티를 열곤 했다. 우유에 설탕과 바닐라 같은 향신료를 넣고, 얼음덩어리가 가득한 냉동기구에서 열심히 저으니 금방 우유가 아이스크림으로 바뀌었다. 홈메이드 아이스크림을 우리나라 국그릇처럼 생긴 큰 보울에 담아 먹으면서 그들은 어린아이처럼 마냥 즐거워했다. 어떤 사람은 먹다가 두통이 온다고 “아우치 아우치” 하면서 손으로 이마를 감싸고 익살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아이스크림의 찬 기운이 몸으로 전해지면서 머리 혈관이 수축되어 뇌에 혈액공급이 잘되지 않아 두통이 온 것이었다. 그렇게 아이스크림으로 행복했던 겨울을 지나고 나면 그들의 체중은 더 불어났다.

이렇듯 아이스크림은 우리에게 짜릿한 행복감을 주지만 영양성분을 보면 현타가 온다. 초코 아이스크림콘 한 개의 열량은 밥 한 공기에 가깝고 포화지방은 일일 기준치의 약 50%가 넘으며 담 함량은 어마어마하다. 단백질은 우유 함유량에 따라 달라지지만 3~5g 정도 되어 생각보다 높지 않다(달걀 1개 단백질 6g). 어떤 사람은 칼슘섭취를 위해 아이스크림을 먹는다고 자기 자신에게 그럴듯한 이유를 대지만 칼슘함량은 우유 반 잔보다 적다. 무엇보다 칼슘섭취를 위해 아이스크림의 당이나 포화지방 같은 좋지 않은 영양성분도 함께 섭취해야 한다. 아이스크림콘이 유달리 열량이 높은 것은 밑부분을 받치고 있는 과자에 탄수화물이 많기 때문이다. 아이스크림을 빵에 넣어 놓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니 아이스크림이 꼭 먹고 싶으면 콘보다는 플라스틱 컵에 담아있는 것이 좋다. 요즘은 지방함량은 줄이고 설탕 대신 스테비아 같은 대체 감미료를 쓴 저열량 저지방 아이스크림이 나와 선택지가 넓어졌다.

아이스크림보다는 셔벳 형태의 아이스바를 먹으면 열량과 포화지방섭취를 확 떨어뜨릴 수 있다(대신 단백질은 거의 없다). 아이스바 중에서도 팥이 많이 들어간 것은 그나마 혈당을 서서히 올리는 데 도움이 되고 아이스크림을 먹은 후에 갑자기 배가 고파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75 [파이낸셜투데이] 폭정의 민주당도 총선 심판의 대상이다 23-12-06
2374 [동아일보] 횡재세 추진… 공정성도 신뢰성도 보이질 않는다 23-12-05
2373 [데일리안]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조속히 재입법해야 23-12-05
2372 [시사저널] 새 국정원장, 대통령과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사람으로 23-12-04
2371 [서울경제] 위헌 소지 높은 방송법 개정안 23-11-29
2370 [한국경제] '주주의 비례적 이익'이라는 현혹 23-11-29
2369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 신당론’에 대한 단상 23-11-23
2368 [시사저널] 출산 당사자 아닌 관련 기관·업계로 흘러간 저출산 예산 23-11-23
2367 [에너지경제] '메가 서울' 이슈에 뒷전으로 밀리는 지방소멸 대책 23-11-13
2366 [한국경제] 자강(自强)이 있어야 동맹도 있다 23-11-10
2365 [서울경제] 공정위의 고발지침 개정안 전면 재검토해야 23-10-31
2364 [문화일보] 과도한 ‘1인 시위’ 적절한 규제 필요성 23-10-30
2363 [문화일보] ‘박유하 무죄’와 친일몰이 광풍 시정 23-10-30
2362 [동아일보] 새 대입제도, 교육개혁 성과의 시발점 돼야[동아시론/양정호] 23-10-27
2361 [아시아투데이] 이스라엘의 국가 수호 결기, ‘자강(自强) 기반 동맹’의 중요성 23-10-26
2360 [ifs POST] 재정으로 본 미국의 야당과 한국의 야당 23-10-20
2359 [파이낸셜투데이] ‘총선 불변의 법칙’이 지배하는 선거 23-10-18
2358 [한국경제] '동일인 의무' 법인에 지우는 게 맞다 23-10-17
2357 [머니투데이] 한국 주식시장 저평가, 복수의결권으로 해결해야 23-10-12
2356 [문화일보] 중동 불안… 전기료 정상화 더 급해졌다 23-10-1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