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빚 탕감’ 도덕적 해이 최소화는 필수
 
2022-07-18 17:44:59
◆ 칼럼을 기고한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의장 겸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으나, 이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높고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인 데다, 미국도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1년 전에 비해 6.0% 오른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외환위기 때이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무려 23년11개월 만이다. 미국도 지난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 올랐는데 41년 만에 최대다. 당연히 미국은 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다.

좀처럼 진정될 것 같지 않은 물가 상승 압력에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는 금리 상승에 따른 민간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5조 원+α’에 이르는 민생안정금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정책에 의한 부담을 공유한다. 그리고 금리 부담 완화와 부채 상환기간 조정에 특정 계층에 대한 ‘빚 탕감’ 대책이 추가됐다.

금융 당국은 이 정책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선제적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다양한 금융 위험을 예방하려는 데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세부 정책을 보면 정부의 경제철학에 대한 의문과 ‘도덕적 해이’ 및 ‘형평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먼저 ‘새출발기금’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말까지 만기 연장·상환유예가 만료되더라도 대상 채무의 90∼95%를 연장해 주는 ‘주거래 금융기관 책임관리’나 대상이 아닌 차주에 대한 대출을 민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연장토록 하고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을 행하는 나라에서 민간 금융 자율로 둔다는 발표는 실질적인 강요다. ‘민간 주도’와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철학에 의문이 갈 수밖에 없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으나, 이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높고 상당 기간 계속될 전망인 데다, 미국도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1년 전에 비해 6.0% 오른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외환위기 때이던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무려 23년11개월 만이다. 미국도 지난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 올랐는데 41년 만에 최대다. 당연히 미국은 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다.

좀처럼 진정될 것 같지 않은 물가 상승 압력에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는 금리 상승에 따른 민간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5조 원+α’에 이르는 민생안정금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정책에 의한 부담을 공유한다. 그리고 금리 부담 완화와 부채 상환기간 조정에 특정 계층에 대한 ‘빚 탕감’ 대책이 추가됐다.

금융 당국은 이 정책이 신용불량자나 실업자로 전락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선제적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가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다양한 금융 위험을 예방하려는 데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세부 정책을 보면 정부의 경제철학에 대한 의문과 ‘도덕적 해이’ 및 ‘형평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다.

먼저 ‘새출발기금’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말까지 만기 연장·상환유예가 만료되더라도 대상 채무의 90∼95%를 연장해 주는 ‘주거래 금융기관 책임관리’나 대상이 아닌 차주에 대한 대출을 민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연장토록 하고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을 행하는 나라에서 민간 금융 자율로 둔다는 발표는 실질적인 강요다. ‘민간 주도’와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철학에 의문이 갈 수밖에 없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173 [문화일보] 제조업 해치고 청년 고용 막는 파견법 22-08-01
2172 [문화일보] 8·15 특사 대원칙은 ‘경제위기 극복’ 22-08-01
2171 [법률신문] 언어의 혼란과 법치의 미래 22-08-01
2170 [월간중앙] 정수연 교수의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⑤ 22-07-28
2169 [서울경제] 시작에 불과한 노동계 불법 파업 22-07-28
2168 [에너지경제] [이슈&인사이트] 규제개혁, 이번엔 성과 내려면 22-07-28
2167 [문화일보] ‘빚 탕감’ 도덕적 해이 최소화는 필수 22-07-18
2166 [문화일보] ‘이준석 사태’로 드러난 정치 후진성… 대통령·여당 지지율 동반하락 22-07-14
2165 [문화일보] 한-나토 협력은 ‘유럽 재발견’ 기회 22-07-11
2164 [한경] 헤지펀드 타깃 된 중견기업들 22-07-08
2163 [문화일보] ‘알박기 기관장’ 버티기는 대선 불복 22-07-07
2162 [데일리안] 대법원의 임금피크제 유·무효 판단 기준 22-06-30
2161 [월간중앙] 정수연 교수의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④ 22-06-29
2160 [아시아경제] 국회의원…우리를 실망하게 하는 것들 22-06-22
2159 [문화일보] R공포(경기침체) 최종 해법은 생산성 향상이다 22-06-21
2158 [월간중앙] 정수연 교수의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③ 22-06-21
2157 [월간중앙] 정수연 교수의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② 22-06-21
2156 [에너지경제] 빚더미 공공기관, 고강도 개혁해야 22-06-21
2155 [아시아경제] 경제안보 시대, 연대와 가치중심 복합외교 22-06-20
2154 [문화일보] 대북 제재 ‘위반국 제재’도 급하다 22-06-17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