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文정권 ‘徐일병 구하기’ 군대 망친다
 
2020-09-17 11:06:26

◆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휴가 관련 논란이 ‘서 일병 구하기’로 변질되고 있다. 여당 국회의원은 물론이고, 국방부까지 나서서 서 일병을 옹호한다. 당·정 협의까지 했다고 한다. 북핵 대비나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해 이와 같은 혼연일체된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것 아닌가.

군(軍)도 ‘부득이한 경우’ 병가(病暇)를 먼저 보낸 후 행정처리할 수도 있고, 지휘자가 전화로도 보고받아 휴가 연장을 해줄 수 있다. 문제는 서 일병이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병가 19일 동안 3일만 병원에 갔을 뿐이다. 자신의 직속 지휘자에게 보고하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서 일병이 규정을 어긴 게 아니라고 강변해선 곤란하다. 또한, 군대는 개인의 권리보다 임무를 우선시하는 특수한 집단이다. 전투 대비에는 한 치의 오차도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군법이 별도로 있다. 휴가 명령이 났어도 부대에서 호출하면 바로 귀대해야 하는데, 병사들이 몸이 불편하다며 일방적으로 휴가 연장을 하면 그게 군대인가?

귀대 시간을 엄격하게 준수해 온 전통은 우리 군의 바람직한 유산이다. 확고한 군 기강과 전투 준비태세에 긴요하기 때문이다. 이 기풍이 확립되기까지 다수의 군인이 귀대 시간에 늦었다는 이유로 처벌도 받았다. 이렇게 어렵게 만들어진 소중한 유산을 한 사람을 구하고자 희생시킬 것인가? 여당 정치인들은 법무장관 아들을 구하는 데 집착해 귀대 시간 엄수의 중요성을 마구 폄훼하고 있다. 그중 군에 다녀온 사람이 적어서 그런가?

미국의 석학인 새뮤얼 헌팅턴 교수는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정치와 군 간의 균형이 중요하다면서 상호 노력을 강조했다. 군은 철저한 정치적 중립의 태도를 가져야 하고, 정치인들은 군의 전문 영역을 존중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전자는 지켜지고 있지만, 후자는 점점 더 흔들리고 있다. 전화로 휴가 연장해도 규정 위반이 아니라는 국방부의 발표, 서 일병을 옹호하느라 진땀 흘리는 국방장관을 보면서 헌팅턴이 우려했던 모습, 즉 군이 정치의 시녀가 된 것 같아 씁쓸하다.

그러고 보니 국군은 북핵 대응, 한·미 연합훈련 강화, 실전적 훈련보다 여당의 요구에 부응하는 데 더 바쁜 것 같다. 이래서야 싸워 이기는 군대가 되겠는가? 법무장관이 아들은 건드리지 않았으면 했듯이, 예비역의 한 사람으로서 여당 인사들에게 요구한다. ‘군대는 건드리지 말라.’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에게도 부탁한다. 군대가 정치권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있는 그대로 상황을 보고하고,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도록 보호해 달라고.

모범 정치인이라면 이런 논란 자체를 부끄럽게 여길 것이다. 애초에 아들에게 최전방 복무를 권했을 것이다. 그것이 노블레스 오블리주, 즉 솔선수범하는 모습이다. 논란이 발생하면 사과부터 했을 것이다. 한때 그런 기풍이 형성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 정부에 이는 연목구어(緣木求魚)인 것 같다. 그래도 보통사람만큼이라도 규정을 준수하고, 정직해야 하지 않겠는가? 현 정부 인사들은 왜 이렇게 변명해야 할 특별한 사정이 많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한 말에 따르면, 북한의 김정은은 “한국군은 나의 적수가 될 수 없다”고 평가했다고 한다. 핵무기를 가져서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처럼 우리 군의 기강이 무너져가는 것을 알게 된 결과이지 않을까? 이번 서 일병 사태를 통해 우리 정부와 군대의 민낯을 본 김정은이 더욱 자주 핵 단추를 만지작거릴 것 같아 섬뜩하다.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623 [문화일보] 대만의 한국 추월 동력은 친기업 정책 25-09-17
2622 [한국경제] "대중국 전략, 새로운 접근 필요…'안미경중' 폐기해야" 25-09-15
2621 [파이낸셜투데이] 국정 운영 기조가 흔들린 이재명 정부 100일 25-09-12
2620 [매일신문] 구호만 있고 성과는 없는 빈 수레 국정 운영 25-09-09
2619 [매일경제] 경제 살리기 행정부·입법부 따로 없다 25-09-09
2618 [시사저널] 국채 무서워 않는 이재명 정부, 국가의 지속 가능성 생각해야 25-09-08
2617 [문화일보] 법정을 쇼 무대 만들 ‘내란 재판’ 중계 25-09-08
2616 [한국경제] 중국 경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25-09-08
2615 [아시아투데이] 北 장마당 환율 폭등 주목해야 25-09-05
2614 [한국경제] 자사주 의무소각, 경제적 자해 입법 25-09-01
2613 [파이낸셜투데이] 조국 사면과 하인리히 법칙 25-08-26
2612 [자유일보] 뭇매 맞은 자폭 광고 25-08-25
2611 [문화일보] 대북 정보 유입은 ‘편입 통일’ 출발점 25-08-20
2610 [한국경제] 정의의 가면 쓴 노란봉투법 25-08-20
2609 [이데일리] 70년 기업 뒤흔드는 상법 개정 후폭풍 25-08-18
2608 [매일신문] 정청래 대표의 왜곡된 인식이 가져 올 파국 25-08-11
2607 [파이낸셜투데이] 정청래식 초강성 정치의 위험성 25-08-08
2606 [문화일보] 한미정상회담 앞서 번지는 안보 불안 25-08-06
2605 [문화일보] 위헌성 크고 공영방송 망칠 ‘방송 3법’ 25-07-31
2604 [한국경제] 중국의 정치적 급변, 사실일까 25-07-3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