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2018년 3월] 국제판 내로남불, 김영철 방한: 독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2018-03-07 11:08:41
첨부 : issue_focus_mar.pdf  

박상봉 독일통일정보연구소 대표

 

201811일 독일의 여러 매체가 김정은의 신년사는 독배(毒杯)”라는 제하의 기사를 내보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민심 동요가 시작되자 통미봉남(通美封南) 전술을 뒤집어 남한에 손을 뻗치는 북한의 저의(底意)를 주의하라는 당부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 독배를 들이켰다. 사전에 합의가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을 일이었다.

 

독일 매체의 후속보도들이 놀랍다. “평양이 평창을 도둑질했다”, “김정일 동계 올림픽이라는 보도가 이어졌다. 6.25 전쟁 참전국이 모인 밴쿠버 회의의 외무부 장관들의 반응도 충격적이다. 문재인의 대북접근정책을 수장(水葬)’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거부했다. 트럼프는 평창 올림픽이 끝나자 대북제재가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제2단계 수단을 강구할 것으로 재앙을 예고했다. 미국 재무부는 27개 해운사, 무역회사 및 28개 선박을 제재 리스트에 추가로 올리는 등 해상봉쇄에도 나섰다.

 

이것이 새해 국제정치의 흐름이다. 헌데 문재인 정권은 통일전선부장 김영철마저 남한으로 불러들였다. 국민적 저항이 거세자 통일대교를 우회해 군사도로를 타고 서울에 입성했다. 개구멍 입국이다. 통일부는 미국도 동의한 일이니 대승적 차원에서 이해해 달라고 한다. 미국은 두렵고 국민은 우습다는 것이다. 천안함에서 순직한 유가족들도 몰랐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록  
댓글  총0
덧글 입력박스
덧글모듈
0 / 250 bytes
번호
제목
날짜
80 [2018년 8월] 최저임금인상 · 근로시간단축, 감속해야한다. 18-08-01
79 [2018년 7월] 이제는 ‘경제 자유화’다. 18-07-05
78 [2018년 6월] '싱가포르 선언' 이후의 과제 18-06-08
77 [2018년 5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희미해진 '북핵 폐기'의 과녁 18-05-02
76 [2018년 4월] 남북·미북정상회담의 의제는 ‘북핵 폐기’여야 한다. 18-04-04
75 [2018년 3월] 한미동맹과 통상마찰 18-03-23
74 [2018년 3월] 국제판 내로남불, 김영철 방한: 독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18-03-07
73 [2018년 2월] 평창올림픽 중간 평가: 평양의 체제선전장이 되어버린 초반 평창올림픽 18-02-21
72 [2018년 2월]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 18-02-01
71 [2017년 12월] 한 해의 마무리와 2018 한선재단의 도전 17-12-22
70 [2017년 11월] 트럼프 방한 이후 한미관계 17-11-15
69 [2017년 11월] 미래 한중관계와 한국외교의 방향 17-11-03
68 [2017년 10월] 언론과 사법의 정치화 현상,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7-10-19
67 [2017년 9월] 한가위 즈음에 부치는 글: 한선재단의 다짐 17-10-16
66 [2017년 9월] NGO 청년 활동가가 본 북핵문제 17-09-13
65 [2017년 8월] 대북제재 결의 2371호와 한국의 대응전략 17-08-30
64 [2017년 8월] 한미 FTA에 대한 미국의 관심사항과 우리나라의 대응 [1] 17-08-02
63 [2017년 7월] 한미동맹으로 본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평가 17-07-05
62 [2017년 6월] 문재인 행정부의 '대화와 협상': 위험성과 대응과제 17-06-21
61 [2017년 6월] J노믹스 일자리 정책 바로보기 17-06-07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