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영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초빙교수
민족의 명절 한가위입니다. 올해는 특별히 정부의 결정으로 열흘간의 긴 연휴를 맞게 되었습니다. 우리 한반도선진화재단을 사랑해주시는 회원님 여러분, 가족과 함께 행복하고 따뜻한 연휴 보내시기 바랍니다.
지난 주 목요일 그러니까 9월 21일은 한선재단 창립 11주년 행사가 있던 날이었습니다. “지난 날의 성찰과 내일을 향한 도전”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이 날 행사에 많은 분들이 참석하시어 한선의 생일을 축하해 주셨고, 박재완 이사장께서는 “보수의 반성과 우파의 혁신”이라는 주제로 발제해 주셨습니다. 공산주의가 아닌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공(功)이 있는 보수는, 그러나 권위주의적 통치로 민본 민주주의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과(過)도 함께 가진 존재입니다. 박 이사장이 지적한 대로 경제자유화, 실사구시의 중도실용, 사회통합 등 보수 본연의 가치에 더욱 충실하지 못했기에 좌파원리주의 세력에 정권을 빼앗기고 나라의 운명이 백척간두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이제 11살의 한선은 정통보수 본연의 가치에 매진하여 대한민국의 자유와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 힘들고 먼 길일지라도 뚜벅뚜벅 걸어 나가야 한다는 결의를 다진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가짜가 판을 치고 있습니다. 지금 진보는 진짜 진보가 아니라 포퓰리즘에 빠진 좌파원리주의자들이 대부분이고, 지금 보수는 진짜 보수가 아니라 보수를 참칭한 계파패권주의자들이 대부분입니다. 대한민국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염려하는 구국세력은 이들 두 가짜의 틈에서 선택지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습니다. 한선재단이 더욱 분발해야 할 때입니다. 건강한 정통보수의 답을 내 놓아야 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대한민국을 위해 포퓰리즘과 패권주의 모두를 극복하고 자유와 공동체의 가치를 고양해 나가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80 | [2018년 8월] 최저임금인상 · 근로시간단축, 감속해야한다. | 18-08-01 |
79 | [2018년 7월] 이제는 ‘경제 자유화’다. | 18-07-05 |
78 | [2018년 6월] '싱가포르 선언' 이후의 과제 | 18-06-08 |
77 | [2018년 5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희미해진 '북핵 폐기'의 과녁 | 18-05-02 |
76 | [2018년 4월] 남북·미북정상회담의 의제는 ‘북핵 폐기’여야 한다. | 18-04-04 |
75 | [2018년 3월] 한미동맹과 통상마찰 | 18-03-23 |
74 | [2018년 3월] 국제판 내로남불, 김영철 방한: 독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18-03-07 |
73 | [2018년 2월] 평창올림픽 중간 평가: 평양의 체제선전장이 되어버린 초반 평창올림픽 | 18-02-21 |
72 | [2018년 2월]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 | 18-02-01 |
71 | [2017년 12월] 한 해의 마무리와 2018 한선재단의 도전 | 17-12-22 |
70 | [2017년 11월] 트럼프 방한 이후 한미관계 | 17-11-15 |
69 | [2017년 11월] 미래 한중관계와 한국외교의 방향 | 17-11-03 |
68 | [2017년 10월] 언론과 사법의 정치화 현상,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 17-10-19 |
67 | [2017년 9월] 한가위 즈음에 부치는 글: 한선재단의 다짐 | 17-10-16 |
66 | [2017년 9월] NGO 청년 활동가가 본 북핵문제 | 17-09-13 |
65 | [2017년 8월] 대북제재 결의 2371호와 한국의 대응전략 | 17-08-30 |
64 | [2017년 8월] 한미 FTA에 대한 미국의 관심사항과 우리나라의 대응 [1] | 17-08-02 |
63 | [2017년 7월] 한미동맹으로 본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평가 | 17-07-05 |
62 | [2017년 6월] 문재인 행정부의 '대화와 협상': 위험성과 대응과제 | 17-06-21 |
61 | [2017년 6월] J노믹스 일자리 정책 바로보기 | 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