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한일 수교 60년과 ‘경제공동체’ 기대
 
2025-05-16 13:59:20
◆ 강성진 고려대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의장 겸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 참가한 158개국 가운데, 지난 12일 개막한 한국주간13일 열린 한국의 날행사는 한일 관계의 현재와 미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일부 정치인들의 혐한·반일 발언과 정치 불안으로 양국 분위기가 냉각된 것과는 달리 한국관은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과 전통 공연을 넘어, 인공지능(AI), K-팝 등 첨단기술과 한류 콘텐츠를 융합해 구성됐다. 전체 관람객 중에서 13.4%에 해당하는 323000명이 다녀갈 만큼 큰 관심을 받았다.

 

한일 관계는 1998년 김대중-오부치 게이조 공동선언을 계기로 급격히 개선되기 시작했다. 이후 노무현 정부까지 4차례에 걸쳐 일본 대중문화가 개방됐고, 양국 간 문화적·경제적 접점이 확대됐다. 그러나 과거사 문제와 노재팬 운동 등으로 관계가 다시 악화했고, 신뢰 회복이 과제로 남았다. 그 전환점은 2023년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상호 방문에서 시작됐다. 이로써 양국은 다시 실질적 협력의 기회를 마련했고, 같은 해 한국경제인협회와 일본 게이단렌(經團連)이 공동 출자해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조성함으로써 청년 교류, 산업 협력 확대 등 민간 차원의 연대도 강화했다.

 

민간 교류는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은 882만 명으로 전체 일본 입국 관광객의 27%를 차지했다. 같은 해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도 231만 명에 달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가까운 회복세를 보였다. 이는 정치적 이슈와는 별개로 양국 국민 간 교류와 상호 이해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6·3 대선에서 누가 집권하든 이런 기류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제 5단체장과 간담회에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제안한 유럽연합(EU)형 한일 경제공동체구상에 공감을 표시했다. 민주당이 집권하더라도 문재인 정부 당시 강경한 반일 정서에 기반한 접근에서 벗어나 실용적 외교를 지속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양국 국민의 인식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일본 젊은이들이 한국 노래를 즐겨 듣고, 한국 청년들이 일본 문화를 자연스럽게 소비하는 모습도 낯설지 않다. 양국의 젊은 세대는 문화와 감성의 언어로 소통한다. 경제적으로도 양국은 비대칭 관계가 아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1인당 실질 GDP34121달러로 일본(36990달러)92%에 이르며,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는 5414달러로 일본(45915달러)을 추월한 지 오래다. 이는 양국이 수평적 파트너로서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젠 문화 교류를 넘어 구조적인 협력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 당장 출입국 절차 간소화를 넘어 한일 전력계통망 연결, 청정수소 공동 공급망 구축, 벤처기업과 금융 협력, 초중고 학생 및 교사 교류 확대 등 실질적 방안들이 구체화돼야 한다.

 

2025년은 광복 80주년이자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정치권 일각의 혐오 발언과 과거 지향적 사고를 넘어, 양국은 공동 번영을 위한 실용적 협력의 길을 걸어야 한다. 그렇다고 과거를 잊는 것은 아니다. 상호 신뢰와 선린관계가 유지될 때 과거사를 포함한 현안의 해결 방안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570 [문화일보] 개헌 로드맵 합의 없으면 말장난일 뿐 25-05-22
2569 [파이낸셜투데이] 후보단일화는 ‘이재명 압승론’을 견제할 수 있나? 25-05-22
2568 [매일신문] '김문수-이준석 공동 정부 프레임'의 위력 25-05-19
2567 [문화일보] 한일 수교 60년과 ‘경제공동체’ 기대 25-05-16
2566 [파이낸셜투데이] 후보 단일화 늪에 빠진 국민의힘 25-05-09
2565 [중앙일보] 혼인 증가세를 올해도 높게 유지하려면 25-05-08
2564 [매경이코노미스트] 세대상생을 위한 정책선거를 바란다 25-05-07
2563 [중앙일보] 누가 대통령 되든 노동개혁은 멈추면 안 된다 25-04-30
2562 [문화일보] 이재명 후보가 답해야 할 4가지 의문 25-04-29
2561 [시사저널] ‘군 모병제’ ‘주 4.5일 근무’ ‘전 국민 25만원’… 넘치는 포퓰리즘 공약.. 25-04-28
2560 [한국경제] 미국의 중국 견제, 성공하기 어렵다 25-04-25
2559 [서울경제] 민주당의 상법 개정 재추진 유감 25-04-24
2558 [한국경제] 주주행동주의의 두 얼굴 25-04-24
2557 [매일신문] '반(反)이재명 빅텐트'와 후보 단일화 25-04-22
2556 [문화일보] 관세전쟁, 새 자유무역 신호탄… 한·미 산업적 시너지 창출 기회 삼아야(.. 25-04-18
2555 [파이낸셜투데이] 대선·개헌 동시 투표보다 더 중요한 것 25-04-18
2554 [아시아투데이] 트럼프의 ‘원 스톱 쇼핑’ 대응전략 25-04-15
2553 [스카이데일리]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아시나요 25-04-08
2552 [문화일보] 이젠 강력한 경제 리더십 절실한 시간 25-04-07
2551 [문화일보] ‘3만 달러 늪’ 탈출로는 민간 활력뿐 25-04-0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