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한국경제] '주주 충실의무' 입법 사례 없다
 
2025-02-05 15:15:35
◆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경제질서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년 12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주재로 상법 개정안 토론회가 열렸다.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와 관련한 참석자들의 공통된 인식은 합병, 분할과 이중 상장, 포괄적 주식 교환·이전, 자기 주식 취득과 처분, 신주·전환사채 발행, 이익 배당, 신사업 진출, 계열사 지원, 임원 보수, 자산 매각 등 통상적인 이사회 결의에서 총주주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일부 주주가 피해를 본다면 이사는 손해배상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제정한 표준이사회 규정상 이사회 결의사항은 총 69, 99개 조문에 이르는데 이들 결의사항을 검토할 때 이사들이 모든 주주의 이익을 도모하라는 것이다.

 

이사가 그 지위를 이용해 자신이나 제3자의 이익을 도모하지 말아야 할 충실의무 원개념을 이처럼 폭넓게 확장해 법제화한 나라는 없다. 필자는 올해 11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가 개최한 상법 개정 공청회에 상법 개정 반대 진술인으로 출석했다. 소위원회 위원장 박범계 의원이 미국 델라웨어주 회사법에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상법 개정에 찬성하는 두 진술인은 그렇다고 진술했다.

 

그렇지 않다.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 제102(정관에 기재해야 할 사항) (b)(7)호는 이사나 임원이 회사나 주주들에 대한 충실의무(duty of loyalty)를 위반한 경우의 면책을 정관에 규정하더라도 이사나 임원의 손해배상책임을 제한하거나 배제할 수는 없다고 규정한다.

 

이와 비슷한 규정이 한국 상법에도 있다. 즉 제400조 제2항 단서에서 이사의 충실의무 핵심 내용인 경업 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사업기회 유용 금지 의무를 위반한 경우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을 (정관 규정으로) 감면할 수 없다고 정하고 있다. 미국 50개 주 회사법, 일본, 독일 어디에도 이사회의 모든 결의 관련, 총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다른 입법례로 ‘G20/OECD 기업지배구조 원칙(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2G조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G조는 소수 주주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행동하는 지배주주의 또는 지배주주의 이익을 위한 지배주주 (지위) 남용행위(abusive actions)로부터 보호돼야 하며, 효과적인 구제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 (지위) 남용적 자기거래는 금지돼야 한다고 규정한다. 여기서도 충실의무를 직접 규정하지 않고, 본조 코멘트(해설)에서 이사회 구성원의 회사와 모든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를 명확하게 규정할 것을 권고한다. 이사회의 모든 결의가 아니라 지배주주의 남용적 자기거래를 제한하려고 한다.

 

이 원칙은 자본의 이동이 세계 각국으로 확대됨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이상적인 모범규준으로서 입법 참고용일 뿐이며, 실제로 이 원칙이 말하는 충실의무를 채택한 국가는 없다. 그런데 한국은 이미 위 ‘G20/OECG 원칙을 도입해 지배주주의 남용적 자기거래를 규제하고 있다. 즉 이사의 충실의무 규정인 상법 제398조에서 주요 주주와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등과 회사의 거래를 제한하고, 이사 3분의 2 동의로써만 이를 할 수 있게 했다. 이사가 회사나 전체 주주의 이익이 아니라 주요 주주의 이익만을 도모하는 것도 이미 상법의 충실의무 규정에 위배된다. 상법 개정은 불필요하다. 잘못 손대면 기업가정신을 위축하는 심각한 부작용만 낳는다.



 칼럼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529 [한국경제] '주주 충실의무' 입법 사례 없다 25-02-05
2528 [아시아투데이] 헌법재판소가 편향성 시비에서 벗어나기 위한 3가지 급선무 25-02-03
2527 [서울신문] 대통령 계엄권 제한·4년 중임제로… 국회에 총리 제청권 부여를 25-02-03
2526 [아시아투데이] 대통령 권력은 나누고 선거구제 개편해야 25-02-03
2525 [한국경제] 中,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감정보단 이성으로 대해야" 25-01-22
2524 [파이낸셜투데이] 정치엔 고속 압축 성장이 없다 25-01-14
2523 [한국경제] 부양책 발표한다는데…올해 중국 증시는 어떨까? 25-01-09
2522 [문화일보] 尹 탄핵심판 공정성 훼손 땐 정치 내전 25-01-07
2521 [한국경제] AI의 힘을 빌려 나만의 '휴브리스'를 저질러보자 25-01-06
2520 [문화일보] 다수의 폭정 막는 것도 법치주의 본분 25-01-03
2519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론 - 대행정부가 할 일 24-12-31
2518 [아시아투데이] 시장은 교조주의적인 윤리에 반응하지 않는다 24-12-26
2517 이재명과 민주당이 추진한 윤대통령에 대한 불법적 탄핵소추에 대한 견해 24-12-24
2516 [문화일보] 환율 급등… 성장 동력 강화가 근본 해법 24-12-20
2515 [파이낸셜투데이] 보수의 통렬한 반성과 참회가 필요하다 24-12-19
2514 [한국경제] 미국과 중국, 양자컴퓨터 패권 전쟁 벌인다 24-12-19
2513 [문화일보] 신속보다 신중 요하는 내란 탄핵심판 24-12-18
2512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론- 양극화 해소, 이렇게 하자 24-12-17
2511 [한국경제] 상법 아닌 자본시장법 개정이 답이다 24-12-10
2510 [아시아투데이] ‘새마을운동 대 천리마운동’ 왜곡한 교과서 퇴출시켜야 24-12-0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