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0 15:17:59
◆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치개혁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정당성 판단 기준에 관해 ‘국민의 눈높이’라고 했다. 그 논리대로라면 지난 2월에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으로 영장이 청구된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을 부결시킨 것은 ‘정당한 구속 영장’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올해 1월 케이스탯리서치 조사(19∼20일)에 따르면, 민주당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 ‘여러 의혹을 밝히기 위한 정당한 수사’라는 응답이 57.1%로 절반을 넘었고, ‘정치 보복 목적의 정당하지 못한 수사’라는 응답은 36.3%였다. 이 대표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된다면 국회가 체포동의안을 가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49%, 부결은 36.8%였다.
이렇게 민심이 압도적으로 이 대표 수사가 정당하다고 했는데도 체포동의안을 부결시킨 민주당이 지금 와서 ‘조건부 포기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한마디로 ‘특권을 못 내려놓겠다’는 꼼수다. 민주당의 ‘꼼수 결의안’과 김은경 혁신위는 치명적인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사실상 혁신위안이 거부된 것이다. 조건부 결의안은 당 혁신위가 지난달 23일 요구한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불체포특권 포기 서약서 제출은 생략했고, 체포동의안 표결 시 당론 가결에 대한 입장도 내지 않았다.
둘째, 방탄을 할지 안 할지 민주당이 마음대로 선택하겠다는 오만함이다. 이에 대해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정당한 영장 여부를 판사가 아니라 범죄 혐의자가 속한 정당이 판단하느냐”고 반문했다. 한 장관은 “특권 포기하기 싫으면 싫다고 하지, 국민들 보시기에 구차한 얘기 같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셋째, 혁신위가 오히려 혁신의 대상으로 전락했다. 혁신위는 의총 결과를 혁신위 제안을 수용한 것으로 인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자신들이 제시한 1호 혁신안이 누더기가 됐는데도 이를 수용한 혁신위는 권위를 스스로 훼손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 혁신의 핵심은 각종 비리 의혹으로 도덕성을 상실한 ‘이재명 대표 사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런데 최근 김은경 혁신위원장은 뜬금없이 이낙연 전 대표를 공격하면서 ‘이재명 지키기 방탄 혁신위’를 자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해 “자기 계파를 살리려는 것은 부적절하다. 분열은 혁신 대상이다”라고 했다. 이에 대해 친낙계 설훈 의원은 “김은경 혁신이야말로 개혁 대상이다”라고 공격했다.
혁신은 없고 꼼수에 무너지고, 공명정대함은 없고 자중지란만 일으키며, 이재명 ‘사퇴’보다 ‘지키기’에 앞장서는 혁신위가 어떻게 ‘가죽(革)을 벗겨 새롭게 하는’ 혁신을 할 수 있겠나. 민주당이 진정 혁신하려면 기본으로 돌아가라.
번호 |
제목 |
날짜 |
---|---|---|
2545 | [매일신문] 한덕수 탄핵 심판이 던지는 정치적 함의 | 25-03-24 |
2544 | [아시아투데이] 왜 북한 정보화인가? | 25-03-21 |
2543 | [문화일보] 명확성 요건도 못 갖춘 ‘개정 상법안’ | 25-03-20 |
2542 | [한국경제] 기업 밸류업의 지름길, 주식보상制 | 25-03-19 |
2541 | [한국경제] "중국 소비 확대는 기회…최고급 제품으로 공략해야" | 25-03-13 |
2540 | [문화일보] ‘이재명 대세론은 없다’는 국민 여론 | 25-03-04 |
2539 | [서울신문] 미중외교, 한미동맹 근간으로 하되 국익중심 유연성 확보해야 | 25-03-04 |
2538 | [매일신문] '진정성 없는 지도자'의 미래는 없다 | 25-02-26 |
2537 | [한국경제] 세계 선두 차지한 中 배터리…초격차 기술로 맞서야 | 25-02-26 |
2536 | [한국경제] 주 52시간 획일적 규제 바로잡아야 | 25-02-24 |
2535 | [문화일보] 가업 상속 외면한 野 개편안은 눈속임 | 25-02-19 |
2534 | [문화일보] 형소법 무시한 탄핵심판은 국제 망신 | 25-02-19 |
2533 | [문화일보] 李 ‘말 바꾸기 정치’는 국민 모욕이다 | 25-02-18 |
2532 | [매일경제] 한국 재도약 위한 사다리 국민은 혁신과 포용 국가는 공정한 제도 | 25-02-13 |
2531 | [아시아투데이] 점점 산으로 가는 이사의 충실의무 논의 | 25-02-11 |
2530 | [아시아투데이] ‘여기 살고 싶다’는 북한군 포로 고백의 의미 | 25-02-06 |
2529 | [한국경제] '주주 충실의무' 입법 사례 없다 | 25-02-05 |
2528 | [아시아투데이] 헌법재판소가 편향성 시비에서 벗어나기 위한 3가지 급선무 | 25-02-03 |
2527 | [서울신문] 대통령 계엄권 제한·4년 중임제로… 국회에 총리 제청권 부여를 | 25-02-03 |
2526 | [아시아투데이] 대통령 권력은 나누고 선거구제 개편해야 | 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