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내부 균열 부른 李‘정치 탄압’ 프레임
 
2023-02-28 15:10:49
◆ 칼럼을 기고한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치개혁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김형준 명지대 특임교수, 前 한국선거학회 회장

위례·대장동 개발 비리와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등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 과반수(149표)에 못 미쳐 부결은 됐지만, 찬성(139표)이 반대(138표)보다 한 표 더 많은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부결됐지만 사실상 가결”이란 해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압도적인 부결을 호언장담했었지만, 최소 30여 명의 이탈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대표는 체포 동의안이 부결된 후에 “당내와 좀 더 소통하고 많은 의견을 수렴해 힘을 모아 윤석열 독재정권에 강력하게 맞서 싸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의 메시지는 공허하게 들린다.

이번 표결이 주는 정치적 함의는 자못 크다. 최대 176표 부결을 예상했었지만 막상 뚜껑 열어보니 찬성표가 반대표보다 많이 나온 것은, 이 대표가 주장한 “정치 탄압” “사법 사냥” 프레임이 산산이 부서졌음을 의미한다. 동시에 당내에서도 충분한 동의를 구하지 못한 것이 확인됐다. 지난해 12월 민주당 노웅래 의원 체포 동의안이 반대 161표로 부결된 것과 비교하면 ‘샤이 반이재명’ 표가 깊이 숨어 있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번 표결은 민주당 내홍과 분열의 ‘전주곡’으로 보인다. 민주당에서 예상보다 많은 이탈표가 나온 것은 이 대표 사법 리스크가 민주당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우려 속에서 비명계가 전략적으로 사실상 집단행동을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들은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민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넥스트리서치 조사(24∼25일) 결과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통과시켜야 한다’(47.9%)는 응답이 ‘통과시키면 안 된다’(39.4%)보다 더 높게 나왔다. 한국갤럽 조사(21∼23일)에서는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폐지’(57%)가 ‘유지’(27%)를 압도했다. 이번 표결 결과에 대해 여권은 “이 대표에 대한 정치적 사망 선고”라고 주장한다. 민주당 일각에선, 아슬아슬한 체포동의안 부결로 이 대표가 심각하게 거취를 고민해야 할지 모른다는 전망마저 나온다.

검찰은 향후 두 가지 전략을 펼칠 것 같다. 하나는 쌍방울 대북 송금이나 백현동 개발 등 이 대표와 관련한 추가 의혹에 대해 재차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것이다. 그 경우, 비명계의 ‘결집’이 점차 세를 불려 가기 시작한다면 민주당은 체포동의안 부결을 확신할 수 없게 됐다. 또 다른 하나는 검찰이 이 대표에 대해 ‘불구속 기소’를 하는 것이다. 이 대표가 기소되면 당내에선 당 대표 사퇴 논쟁이 격해질 것이다.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는 당헌 제80조가 이 대표를 압박할 근거가 될 수 있다. 민심도 이 대표에게 절대 불리하다. 넥스트리서치 조사에선, 이 대표가 기소될 경우 대표직을 ‘사퇴해야 한다’(59.2%)가 ‘유지해야 한다’(31.7%)는 응답을 압도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턱걸이 부결’이 갖는 함의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번 표결 결과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가장 증오했던 ‘원칙 없는 승리’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살길은 허황한 ‘정치탄압 단일대오’에서 벗어나 ‘반성, 책임, 민생, 미래’를 기치로 ‘국민 상식에 맞는 대안 정당’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민주당이 의도치 않게 찾아온 ‘대전환의 기회’를 걷어차면 더 이상 미래는 없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635 [매일경제] 글로벌 인재 쟁탈전에 참전하라 25-10-27
2634 [뉴스1] '청년 루저' 양산하는 부동산 대책 25-10-24
2633 [문화일보] 한미 통상협상, 지킬 것과 양보할 것 25-10-24
2632 [한국일보] 형법상 배임죄 폐지 정말 신중해야 25-10-24
2631 [파이낸셜뉴스] 복지포퓰리즘 줄이고 미래세대 챙겨야 25-10-21
2630 [문화일보] 국정감사 난장판과 청년층의 與 이탈 25-10-17
2629 [파이낸셜투데이] 이재명 정부는 무엇을 놓치고 있나? 25-10-16
2628 [중앙일보] ‘한국남-일본녀 국제결혼’이 급증한 이유는 25-10-13
2627 [한국경제] SK하이닉스 성과급 1억원, 박수만 칠 일인가? 25-10-02
2626 [동아일보] ‘영올드’ 활용법 찾아야 국가 인적자원 유실 막는다 25-09-26
2625 [중앙일보] 기업 개념 송두리째 바꿀 ‘노란봉투법’ 25-09-25
2624 [문화일보] 정당정치 왜곡하는 ‘개딸 부족주의’ 25-09-22
2623 [문화일보] 대만의 한국 추월 동력은 친기업 정책 25-09-17
2622 [한국경제] "대중국 전략, 새로운 접근 필요…'안미경중' 폐기해야" 25-09-15
2621 [파이낸셜투데이] 국정 운영 기조가 흔들린 이재명 정부 100일 25-09-12
2620 [매일신문] 구호만 있고 성과는 없는 빈 수레 국정 운영 25-09-09
2619 [매일경제] 경제 살리기 행정부·입법부 따로 없다 25-09-09
2618 [시사저널] 국채 무서워 않는 이재명 정부, 국가의 지속 가능성 생각해야 25-09-08
2617 [문화일보] 법정을 쇼 무대 만들 ‘내란 재판’ 중계 25-09-08
2616 [한국경제] 중국 경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25-09-0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