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조선일보] 중국이 변해야 한국이 산다
 
2022-12-14 14:11:30

◆ 이용준 전 외교부 북핵대사는 한반도선진화재단 대외정책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치학자 즈비그뉴 브레진스키는 1997년의 저서 ‘거대한 체스판’에서 우크라이나를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세력 균형 축으로 정의하면서, 우크라이나 없는 러시아는 유라시아의 제국이 될 수 없고 미국이 러시아에 맞서려면 우크라이나를 필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25년 후 푸틴 대통령은 구소련 영토 복원을 통한 ‘위대한 러시아 재건’을 명분으로 우크라이나 침공의 기치를 올렸다. 필자가 친분 있는 러시아 교수에게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집착하는 이유를 묻자, 그는 “러시아 역사 교과서에 ‘위대한 러시아를 재건한 영웅’으로 기록되기 위한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무너진 과거의 제국을 복원하려는 열기는 러시아 국경 너머 중국에서 더욱 뜨겁다. 중국 공산당은 아시아의 패권국이던 옛 중화 제국 부활을 꿈꾸면서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국가적 목표로 천명했다. 미국을 추월해 패권국이 되려는 ‘중국몽(中國夢)’을 실현하고자, 중국은 일본 열도에서 대만, 필리핀을 거쳐 남중국해 전체를 에워싸는 전략적 경계선을 설정하고 2020년대 중반까지 미국 군사력을 그 선 밖으로 축출해 동아시아의 패권자로 등극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고 있다.

중국은 이 경계선을 ‘제1 도련선’이라 부르는데, 그 안쪽에 있는 한국, 대만, 남중국해는 중화 패권주의의 우선 공략 대상이다. 러시아가 제국 부활을 위한 첫 단계로 구소련의 일부였던 우크라이나를 삼키려 하듯이, 중국이 미국을 제1 도련선 밖으로 축출하고 패권을 장악하려면 옛 중화 제국의 ‘속방’이던 한반도와 동남아 조공국들이 우선적 ‘수복’ 대상이다.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하면서 “한국은 과거 중국의 일부였다”고 말한 것은 그러한 중국의 속내를 극명하게 보여 준다. 중국의 고압적 사드 제재, 남중국해 불법 점유, 대만 침공 움직임도 그런 대전략의 연장선상에 있다..

2020년 이래 진행 중인 호주와 중국의 경제 제재 공방전은 중국이 호주를 장악하기 위해 정계, 재계, 언론계, 학계에서 벌인 은밀한 포섭과 매수 활동, 중국계 경제인과 유학생을 동원한 스파이 활동, 공자학원을 통한 공산 체제 선전 활동, 화웨이를 통한 통신 해킹 의혹 등이 원인이었다. 호주 정부가 척결에 나서자 중국은 강력한 무역 제재로 압박했고, 호주는 경제적 손실에도 주권 수호 차원에서 이에 정면 대응했다. 중국의 이런 불법 공작 활동은 미국, 영국, 일본, 대만, 필리핀 등에서도 확인되었다.


중국의 소리 없는 침공은 한국에서도 주권과 안보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 중국은 동북공정, 사드 제재, 방공식별구역 침입, 배타적경제수역 침범, 일방적 서해 작전경계선(동경 124도) 설정과 실사격 훈련 등을 통해 한국의 주권과 안보를 부단히 잠식하고 있다. 6·25전쟁에 135만 병력을 파병해 통일을 저지하는 등 북한의 대남 무력 도발과 핵무장을 일관되게 비호해 왔고, 밀무역을 통해 유엔 대북한 제재 조치 무력화에 가장 앞장서 온 것도 중국이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와 각계의 친중 세력, 중국인 투표권자 10만명, 중국 공산당의 통제를 받는 공자학원 23곳 등을 매개로 하는 여론 조작과 국내 정치 개입도 심각한 경계 대상이다. 과거 힘없던 시절 국내 정치 불간섭 원칙에 집착하던 중국은 강대국이 되자 표변해 각국 국내 정치에 노골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다행히도 대다수 한국인의 의식은 그러한 위기 앞에 깨어 있다. 퓨리서치센터의 2022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대중국 비호감도는 80%로 세계 5위이고, 그중 54%가 ‘중국의 국내 정치 관여’를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이는 조사 대상 선진 19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우리가 중국의 최근 행태에 특별히 큰 경각심을 갖는 것은 시진핑 시대의 중국이 지향하는 반역사적, 반문명적 퇴행성 때문이다. 40년 개혁 개방에서 일탈해 제국주의적 팽창과 교조적 공산국가로 역주행하는 데 매진하는 중국을 곁에 두고 있는 한, 과거의 호혜적 한중 관계는 물론 평화도 비핵화도 통일도 기대할 수 없고, 주권 보전조차 위태로울 뿐이다. 국민은 이미 깨어 있으니, 이젠 정부와 정치권도 잠에서 깨어나 중국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국제사회에 힘을 보태야 할 때다. 중국이 변해야 한국이 산다. 경제적 손실을 핑계로 중국 눈치 보며 침묵해 온 모호성의 시대는 그만 접어야 한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99 [ifs POST] 저출산 정책은 자녀들의 미래가 보이게 해야 한다 - 여야의 공약,누가 .. 24-02-13
2398 [파이낸셜투데이] 위성정당이 가져올 치명적인 정치적 폐해 24-02-13
2397 [월간중앙]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12) 빚내서 집 사는 게 어때서? 24-02-08
2396 [문화일보] 삼성 재판, 국가 자해극 멈춰야 한다 24-02-07
2395 [머니투데이] 대한민국 위기, 이미 잃어버린 20년을 지나고 있다 24-02-01
2394 [아시아투데이] DIME 대북통일전략 24-01-31
2393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치가 한 지붕 밑에 사는 일은 드문 법 24-01-31
2392 [한국경제] '자사주 마법'이라는 거짓 프레임 24-01-26
2391 [스타뉴스] K-culture의 글로벌화와 과제 24-01-25
2390 [한국경제] 김정은의 위협·협박에 맞설 전략 24-01-22
2389 [신동아] 대만 1인자 오른 ‘광부의 아들’ 여소야대 자갈길 앞에 서다 24-01-18
2388 [파이낸셜투데이] 기형적인 정당 운영 시스템 개혁이 정치 개혁의 본질이다 24-01-18
2387 [동아일보] ‘연장근로 주단위 계산’ 판결이 던진 근로시간 개편 과제 24-01-11
2386 [에너지경제] 이연된 경제 침체, 실력을 보여줄 때다 24-01-10
2385 [문화일보] 2024 경제와 ‘공급 중시 정책’의 소환 24-01-10
2384 [파이낸셜투데이] 4월 총선 관전 포인트 24-01-05
2383 [시사저널] 2024년 재정운용, 국회·정부·시장 3중 실패 이겨내야 24-01-02
2382 [한국경제] 플랫폼 규제는 '혁신 죽이기'다 23-12-27
2381 [아시아투데이] ‘기회발전특구제도’가 성공하려면 23-12-22
2380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이낙연 신당의 정치적 운명은? 23-12-2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