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에너지경제] 기업의 존재 의미 ‘영속성’ 존중해야
 
2022-09-21 09:52:25
◆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경제질서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준선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기업이 영속할 수 있는 비결을 일본 ‘야마토’의 3대 사장 하세가와 스미오(長谷川澄雄) 사장은 ‘혁신의 연속’ 때문이라고 말한다. 120년 넘게 오로지 ‘문구용 풀’만을 만들어 온 야마토의 성장과정을 하세가와 사장이 정리한 책 이름이 바로 ‘혁신의 연속이 노렌을 만든다’이다.

노렌(暖簾)이란 일본 상점의 출입구에 내걸어 놓은 천을 말한다. 원래는 가게 안을 들여다보지 못하게 하거나 바람이나 햇볕을 막기 위한 용도였다고 한다. 노렌이 걸려 있으면 지금 영업 중이고, 없으면 잠지 쉬는 중이거나 금일 영업이 끝났다는 뜻이다. 노렌이 보이지 않으면 굳이 상점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

그런데 노렌이 점차 상점 이름 또는 가문의 문장을 새겨 그 상점을 상징하거나 가게의 신용이나 품격을 상징하는 것으로 용도가 늘어났다고 한다. 그래서 무언가 문제가 생겨 가게의 신용이나 명성이 훼손되는 것을 ‘노렌에 흠집이 났다’, 충성스런 직원에게 같은 이름의 가게를 열 수 있도록 허락해 주는 것을 ‘노렌와케’, 일본 회계학에서 영어 ‘goodwill’에 해당하는 용어를 ‘노렌다이’(노렌 값)라고 한다.

상인에게 있어 노렌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켜야 하는 신조’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례로 오사카 상인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전통을 지키고자 ‘오사카 노렌 백년회’를 결성했고, 회원들이 ‘오사카 노렌 상법’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상법에서는 노렌을 가리켜 영속성의 상징이자 경영이념의 표명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한다. ‘영속하는 것’을 ‘기업의 진수(眞髓)’로 제시하고 있으며, 장사를 시작했으면 이어가는 것이 도리이고 지속하는 것이 기업의 존재의미라는 것이다.

일본에는 100년 이상 된 장수기업 수가 무려 3만3079사개에 달한다. 가장 오래된 기업은 목조건축공사를 하는 ‘곤고구미’로 1400년 이상 지속된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은 100년 기업이 1만2780사, 독일은 1만73사이다. 한국 100년 기업은 두산, 동화약품, 신한은행, 경방 등 단 10곳뿐이다. 산업화가 시작된 1960년 이후만 본다 하더라도 ‘60년 기업’이 겨우 569개(2018년 기준)에 불과하다고 한다(중소기업중앙회).

한국에는 ‘지속적인 혁신’이 존재하지 않는가. 한국인이라서 끈질긴 집념도 없고 창조적 DNA도 없다는 말인가. 동의하기 어렵다. 100년 기업이 나올 수 없는 이유는 기업의 영속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창업자가 사망하면 정부가 기업을 거의 몰수 수준으로 상속세를 매겨 견딜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람이 죽으면 그 가족의 생활근거가 되는 재산에 대해 최고세율 60%까지 상속세·증여세 명목으로 정부가 가져간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486 [문화일보] 낮은 잠재성장률 해법은 포용적 개혁 24-10-23
2485 [한국경제] 다시 주목받는 경영권 '방어 수단' 24-10-15
2484 [파이낸셜투데이] ‘국감다운 국감’을 위한 과제 24-10-11
2483 [이데일리] "자사주 취득, 적대적 M&A 맞선 유일한 합법 방어수단" 24-10-10
2482 [한국경제] "'조선업 굴기' 자랑하는 中…K조선 특단의 대비책 필요" 24-10-10
2481 [한국경제] 북한의 자충수, '두 국가론' 24-10-10
2480 [아시아투데이] 자유민주주의는 국가 정통성의 초석 24-10-02
2479 [중앙일보] 손질 필요한 필리핀 가사관리사 제도 24-10-02
2478 [동아일보] 18조 남아돈 초중고 교부금, 재정난 대학에 재분배를 24-09-30
2477 [한국경제] 中 첨단산업 몰락하면"…한국, 대반전 상황 벌어진다 24-09-27
2476 [문화일보] 유연성과 역지사지 절실한 尹·韓 관계 24-09-26
2475 [파이낸셜투데이]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24-09-20
2474 [중앙일보] 주택대출 옥죄기 한계…싱가포르식 자가보유 촉진책 펴자 24-09-04
2473 [에듀프레스] 초저출생 문제의 해결과 교육개혁 24-09-02
2472 [동아일보] 상법 ‘이사 충실 의무’ 확대, 실익은 없고 갈등만 키울 것 24-08-30
2471 [동아일보] 중진국 함정 넘었다는 한국, 구조개혁 없인 ‘반쪽 선진국’ 24-08-30
2470 [한국경제] 중국경제 만병의 근원, 부동산 침체 24-08-28
2469 [헤럴드경제] 도서관, 여러분은 무엇을 떠올리시나요? 24-08-28
2468 [문화일보] 딥페이크 범죄, 단속·처벌 강화 급하다 24-08-28
2467 [한국경제] 자유통일이 독립·건국의 완성 24-08-2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