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비정규직 0’ 파탄 보여준 단식 소동
 
2021-06-21 14:33:38

◆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경제질서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이 단식을 접었다. 공단 콜센터 노조원들이 지난 10일부터 상담사 1600명을 공단이 직고용하라며 파업했고, 이에 공단 정규직 노조는 불공정을 이유로 반대했다. 두 노조의 충돌이 단식 원인이었다.

이사장은 단식에 앞서 “이사장으로서, 그리고 복지국가를 만드는 노력에 한 역할을 맡았던 사람으로서 건보공단이 파탄으로 빠져드는 일만은 제 몸을 바쳐서라도 막아야 한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고 했다. 칠순을 바라보는 그의 충정을 의심할 필요는 없다. 다만, 단식이란 본래 힘없는 자, 절박한 자, 대책 없는 자가 힘 있는 자, 가진 자의 폭거에 대해 죽기를 각오하고 항거하는 최후의 수단이다. 그런데 이번 단식은 표면상 두 노조에 대화 참여를 호소하는 형식이었다. 두 노조가 힘 있는 가진 자이며, 자신이 힘없는 약자라는 설정이다.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의 논리로는 생뚱맞다. 그래서 ‘뜬금없는 단식’ ‘해괴한 단식’ 등의 평이 나왔다.

그는 얼마 전 “내가 직고용 여부를 강제하는 건 월권…‘논의의 장’을 열고 싶을 뿐”이라고 했다. 이로 미뤄, 대화의 장이 열리고 이를 빌미로 단식을 중단했어도 자신은 그냥 사태를 지켜보겠다는 생각인 것 같다. 하지만 이는 해법이 아니다. 문제의 근원은 대통령의 ‘비정규직 제로(0)’ 정책이다. 고용시장의 갖가지 문제점은 그대로 둔 채 섣부르고 얼토당토않은 정책을 쏟아내니 이런 사태가 생긴 것이다. 결국, 이사장은 비정규직 제로는 불가능하고, 자기로서는 어쩔 수 없다는 것을 대통령과 정부에 대놓고 시위한 것이나 다름없다. ‘정치 쇼’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공기업 직원들은 대부분 노량진 등 고시촌에서 몇 년에 걸쳐 온 힘을 다해 취업 공부한 끝에 떳떳하고 자랑스럽게 정규직 직원이 됐다. 그렇다고 이들이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고 이웃과 파이를 나눠 먹을 줄 모르는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운 사람들도 아니다. 개인적 이익을 희생하고말고의 문제가 아니다. 제도의 문제고 절차적 공정성 문제다.

용역회사를 통해, 용역회사의 관리 아래 공기업의 비정규직으로 근무하던 1600명이 투쟁하면 그 공기업에 정년이 보장되는 정규직 신분을 쟁취할 수 있다고 하자. 이것을 두고 대통령이 말하는 “기회가 평등했고, 과정은 공정했으며, 결과는 정의로웠다”고 말할 수 있는가? 이사장은 누구보다도 공부의 가치를 아는 사람이다. 이사장이 되기 전에 공부로써 성공한 의사였고 교육자였다. 우연과 요행이 아닌, 흘린 땀으로 보상받는다는 공단 직원들의 신념과 자신의 신념이 결코 다를 수 없을 것이다.

비정규직이 감수해야 하는 열악한 처지는 개선돼야 한다. 다만, 이는 기관장 단독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꼬일 대로 꼬인 노동법률이 만들어낸 초단기간 반복되는 해고 위협, 정규직에 비해 질 낮은 처우와 추락한 자존감, 열악한 노동 환경, 건강권과 인격 침해 등은 모두 구조적인 문제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사태를 겪었지만 아무것도 해결된 게 없다. 비정규직 제로 같은 구호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정권이 작심하고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근로 환경 자체를 뜯어고쳐야 해결될 문제다. 건보공단 이사장이 정부에 하고 싶은 말은 바로 이것이었을 것이다.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521 [한국경제] AI의 힘을 빌려 나만의 '휴브리스'를 저질러보자 25-01-06
2520 [문화일보] 다수의 폭정 막는 것도 법치주의 본분 25-01-03
2519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론 - 대행정부가 할 일 24-12-31
2518 [아시아투데이] 시장은 교조주의적인 윤리에 반응하지 않는다 24-12-26
2517 이재명과 민주당이 추진한 윤대통령에 대한 불법적 탄핵소추에 대한 견해 24-12-24
2516 [문화일보] 환율 급등… 성장 동력 강화가 근본 해법 24-12-20
2515 [파이낸셜투데이] 보수의 통렬한 반성과 참회가 필요하다 24-12-19
2514 [한국경제] 미국과 중국, 양자컴퓨터 패권 전쟁 벌인다 24-12-19
2513 [문화일보] 신속보다 신중 요하는 내란 탄핵심판 24-12-18
2512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론- 양극화 해소, 이렇게 하자 24-12-17
2511 [한국경제] 상법 아닌 자본시장법 개정이 답이다 24-12-10
2510 [아시아투데이] ‘새마을운동 대 천리마운동’ 왜곡한 교과서 퇴출시켜야 24-12-09
2509 [서울신문] 이사 충실의무에 ‘전체 주주’ 포함하고 이익침해 방지 명문화를 24-12-09
2508 [문화일보] 빛바랜 무역의 날과 상법 개악 먹구름 24-12-06
2507 [한국경제] 북한군 파병과 통일의 기회 24-12-05
2506 [국민일보] 동덕여대 ‘남녀공학 갈등’ 대화로 풀어야 24-12-02
2505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론 - 임기 후반부 대통령에 바란다 24-11-29
2504 [헤럴드비즈] 디지털 시대, 화이트 칼라 제도 서둘러 도입해야 24-11-29
2503 [동아일보] 소액주주 이익 보호 위해선 상법 아닌 자본시장법 개정을 24-11-27
2502 [문화일보] ‘위증 유죄, 교사 무죄’ 3가지 문제점 24-11-2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