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여성신문] 서울시장 보궐선거 승부는 이제부터다
 
2021-03-25 14:58:58

◆ 김형준 명지대학교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치개혁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23일 발표된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국민의 당 후보를 꺾었다. 오 후보는 안 후보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초접전을 펼쳤으나, 막판에 지지층이 결집하면서 '오차 범위 밖' 극적 승리를 일궈냈다. 이제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간 양자대결로 치러지게 됐다.

오 후보와 박 후보에 대한 ‘스왓(SWOT) 분석’을 해보면 주목할 만한 차이가 발견된다. 오 후보의 최대 강점(Strength)은 국민의힘 경선에서 나경원 후보에게 승리하고 야권 후보 단일화 경선에서도 안철수 후보에게 극적으로 승리함으로써 큰 컨벤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또 다른 강점은 서울시정 경험과 현안에 대한 깊은 이해력이다. 이를 의식해 오 후보는 ‘첫날부터 능숙하게’를 선거 구호로 정하고 시정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오 후보의 약점(Weakness)은 2011년 무상급식에 반대하며 서울시장직을 중도에 사퇴한 것에 따른 부정적 이미지가 여전히 강하다. ‘보수 몰락 원죄설’이 존재한다.

기회(opportunity) 요인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로 현 정부에 대한 심판론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앙일보?입소스 여론조사(3월 19일-20일) 결과, ‘정부 심판을 위해 야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54.2%)이 ‘국정 안정을 위해 여당 후보를 찍겠다’(31.4%) 보다 22.8%포인트 높았다. 최대 위협(Threat) 요인은 오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 시절 처가의 내곡동 땅 ‘셀프보상’ 의혹이다. 만약 오 후보가 내부정보를 이용해 특혜를 받은 사실이 나온다면 치명적이 될 수 있다.

한편, 박영선 후보의 장점은 4선 국회의원 출신에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까지 역임한 풍부한 정치 경륜과 행정 경험으로 얻어진 안정감이다. 더구나 정치 입문 전 18년간 MBC에서 경제 전문 기자로 쌓아온 경력도 큰 강점이다. 약점은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이 급락하면서 ’야당 견제론‘이 먹히지 않고 있다. 가령, JTBC·리얼미터 조사(3월 20-21일) 결과, 서울시장 보궐선거 성격을 묻는 질문에 ‘집권 여당 견제’(62.2%)가 ‘보수 야당 견제’(24.2%)를 큰 격차로 앞섰다. 그러나, 기회 요인은 막강한 조직력을 갖고 있는 집권당 후보라는 점이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서울시 의회 110석 중 102석을 석권했고, 서울의 25개 구청장 중 24곳에서 승리했다. 지난 해 총선에서 민주당은 서울 49석 중 41곳에서 압승했다. 통상 투표율이 낮은 보궐선거의 경우, 조직력이 강한 후보가 유리하다. 박 후보의 최대 위협 요인은 LH 사태와 고 박원순 시장 성추행 사건에 대한 시민들의 분노가 여전히 강하다. 민주당의 ‘성인지 감수성 부족’도 박 후보에게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낙연 민주당 중앙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22일 박 후보에 대해 “엄마의 마음으로 아이를 보살피고 기를 마음가짐, 딸의 심정으로 어르신을 돕는 자세를 갖춘 후보”라고 치켜세웠다. 그러자, 조혜민 정의당 대변인은 “자당의 여성후보를 두고 서울시장으로 적합한 이유에 대해 설명할 말이 고작 (엄마라는) 성 역할 프레임을 씌우는 것 밖에 없었나”라고 맹비난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폭력 피해자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저의 피해사실을 왜곡하고 상처 준 정당(민주당)에서 시장이 선출됐을 때 내 자리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든다"고 밝혔다. 결국 박 전 시장 성추행 사건 관련 ‘피해 호소인 3인방’ 논란에 휩싸인 남인순, 진선미, 고민정 민주당 의원이 사과와 함께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 캠프에서 맡은 직책을 내려놓았다. 박 후보는 “고민정 의원 사퇴로 ‘20만표가 날아갔다’고 했다. 중앙일보?입소스 조사 결과, 44.0%가 ‘아직 투표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현재 지지하는 후보에 대해서도 24.5%가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18~29세 젊은 세대의 경우, 그 비율이 무려 56.4%였다.

따라서, 승부는 이제부터다. 박?오 두 후보 모두 네거티브 선거 유혹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삶을 위한 후회 없는 멋진 정책 경쟁을 펼칠 것을 주문한다.

◆ 칼럼 원문을 보시려면 아래[칼럼원문보기]를 클릭하세요.


[칼럼원문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94 [아시아투데이] DIME 대북통일전략 24-01-31
2393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치가 한 지붕 밑에 사는 일은 드문 법 24-01-31
2392 [한국경제] '자사주 마법'이라는 거짓 프레임 24-01-26
2391 [스타뉴스] K-culture의 글로벌화와 과제 24-01-25
2390 [한국경제] 김정은의 위협·협박에 맞설 전략 24-01-22
2389 [신동아] 대만 1인자 오른 ‘광부의 아들’ 여소야대 자갈길 앞에 서다 24-01-18
2388 [파이낸셜투데이] 기형적인 정당 운영 시스템 개혁이 정치 개혁의 본질이다 24-01-18
2387 [동아일보] ‘연장근로 주단위 계산’ 판결이 던진 근로시간 개편 과제 24-01-11
2386 [에너지경제] 이연된 경제 침체, 실력을 보여줄 때다 24-01-10
2385 [문화일보] 2024 경제와 ‘공급 중시 정책’의 소환 24-01-10
2384 [파이낸셜투데이] 4월 총선 관전 포인트 24-01-05
2383 [시사저널] 2024년 재정운용, 국회·정부·시장 3중 실패 이겨내야 24-01-02
2382 [한국경제] 플랫폼 규제는 '혁신 죽이기'다 23-12-27
2381 [아시아투데이] ‘기회발전특구제도’가 성공하려면 23-12-22
2380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이낙연 신당의 정치적 운명은? 23-12-22
2379 [한국경제] 실패한 대북정책 '징비'가 필요하다 23-12-21
2378 [문화일보] 재판 지연 막을 전방위 대책 시급하다 23-12-13
2377 [아시아투데이] 로테크 제품도 경제안보 대상! 23-12-12
2376 [중앙일보] 메가시티 서울, 한반도 개편의 촉매 23-12-11
2375 [파이낸셜투데이] 폭정의 민주당도 총선 심판의 대상이다 23-12-0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