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음모론은 틀린 사실에 대한 '확증편향'이라 할 수 있다. 확증편향이 심해지거나 다수가 공유하게 되면 집단사고가 되어 다른 의견을 배척하게 된다.
지난 4월 15일 총선이 종료된 이후 한국 사회는 일부 인사들의 부정선거 주장으로 한 차례 홍역을 앓았다. 11월 3일 실시된 미국 대선과 관련해서도 최근 근거없는 주장이 난무하여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선거부정에 관한 트럼프 대통령 측의 주장이 여과없이 한국 사회로 전달되고, 그러면서 각종 음모론(conspiracy theory)으로 연결되고 있다. 딥 스테이트(Deep State)나 일루미나티(Illuminati)라는 집단 이름이 수시로 거론되고, 이들의 음모로부터 한국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자신만이 이러한 음모를 자신이 알고 있다면서 자랑스러워하는 태도도 보인다.
그러나 4.15부정선거도 근거 없는 주장이고, 미 대선도 바이든의 승리로 확정되어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측이 제시한 50여개의 소송은 대부분 기각되고 있고, 12월 5일 캘리포니아 주가 선거결과를 확정함으로써 바이든은 공식적으로 279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여(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은 270명), 당선이 확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등록자다 투표자가 많다거나, 사망자가 투표했다거나, 트럼프 지지표가 바이든 지지표로 둔갑했다거나, 참관인 없는 곳에서 몰래 개표를 했다는 등의 트럼프 대통령 측의 의혹은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의 법무부장관이 12월 1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선거결과를 바꿀만한 부정이 없었다고 언급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선거부정 주장은 사라지지 않고 있고, 트럼프의 재선을 믿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아무리 합리적으로 설명해도 이들은 납득하지 않는다. 이미 음모론에 너무나 깊숙하게 빠져있기 때문이다.
나라에서 어떤 사고가 일어나면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을 비롯한 사회관계망(SNS)에는 다양한 음모론이 도배를 한다. 정치인들의 언행은 절대로 말 그대로 이해되지 않고, 무서운 음모의 일단일 것으로 추측한다.
번호 |
제목 |
날짜 |
---|---|---|
2447 | [서울경제] ‘자사주 마법’이라는 선동 | 24-06-10 |
2446 | [한국경제] '자강 기반 동맹'으로 가는 길 | 24-06-07 |
2445 | [한국경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고래 싸움에 새우등 안터지려면 | 24-06-05 |
2444 | [문화일보] 21대 ‘최악 국회’가 남긴 4대 폐해 | 24-05-31 |
2443 | [한국일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개혁 논제 아니다 | 24-05-29 |
2442 | [이데일리] 공익법인에 대한 발상의 전환 | 24-05-28 |
2441 | [한국경제] 중국, 기술 베끼는 나라?…"이제는 현실 받아들여야" | 24-05-24 |
2440 | [문화일보] ‘쿠팡 PB 조사’와 국내 업체 역차별 우려 | 24-05-24 |
2439 | [중앙일보] 다시 길 잃은 보수, 재건 가능할까? | 24-05-23 |
2438 | [문화일보] 이재명 ‘일극 정당’과 정치 노예의 길 | 24-05-17 |
2437 | [중앙일보] 15억 집이 1년 만에 40억으로?…공시가격을 망치는 이들 | 24-05-16 |
2436 | [노동법률] 총선 이후 노동개혁 입법의 쟁점과 과제 | 24-05-13 |
2435 | [한국경제] '중국판 밸류업' 국9조, 성공할 수 있을까 | 24-05-09 |
2434 | [아시아투데이] 4·10 총선이 소환한 슘페터와 하이에크의 경고 | 24-05-07 |
2433 | [문화일보] 깜짝 성장 명암과 물가 안정 중요성 | 24-05-02 |
2432 | [문화일보] 尹·李회담 지속 관건은 ‘자제와 존중’ | 24-04-30 |
2431 | [아시아투데이] 북한의 사이버 공작 등 영향력 확대에 대비해야 | 24-04-30 |
2430 | [한국경제] 시진핑이 강조하는 '신질 생산력' 과연 성공할까? | 24-04-25 |
2429 | [문화일보] 민심이 무조건 옳은 것은 아니다 | 24-04-23 |
2428 | [문화일보] 위헌 소지 큰 ‘중처法’과 헌재의 책무 | 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