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더벨] 의장 섭외 1순위, 박재완 전 기재부 장관
 
2025-03-07 10:31:06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직 생활을 마치고 싱크탱크에서 활동하며 정책을 조언한다. 삼성전자와 한국앤컴퍼니그룹 지주사 한국앤컴퍼니에서 첫 사외이사 이사회 의장으로 주요 의사 결정도 주재했다. MB정부 경제 사령탑에서 내려온 뒤 사외이사 활동을 지속하며 이사회 중심 경영이 더 잘 작동하도록 기여하고 있다.

한국앤컴퍼니는 다음 달 26일 정기 주주총회에 박 전 장관을 사외이사로 재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했다. 한국앤컴퍼니에서 첫 사외이사 임기 3년을 마치고, 연임(3년) 후보로 추천받았다. 사내이사 재선임 후보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대표이사 회장, 박종호 한국앤컴퍼니 대표이사 사장이다. 박 전 장관은 박 사장의 대학, 행정고시 선배다.

박 전 장관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73학번)를 졸업했다. 1979년 23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감사원, 재무부 등에서 사무관으로 일했다. 박 사장은 서울대 경제학과 82학번이다. 1986년 30회 행시에 붙어 국세청과 재정경제부에서 공직 생활을 하다 1999년 LG전자 금융기획팀장에 특채로 입사했다. 한국타이어는 2011년 박 사장을 재무회계담당 전무로 영입했다.

박 전 장관은 MB 정부(2008~2013년)에서 요직을 거치며 경제 정책을 이끌었다. 1996년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로 부임해 교직에 있다가 2004년 17대 국회(2004~2008년)에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들어갔다. 2007년 12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직인수위에서 정부 혁신·규제 개혁 TF팀장을 맡았다.

박 전 장관은 MB노믹스(이명박 정부 경제 정책)를 집행할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대통령실 정무수석 비서관(2008년)과 국정기획수석 비서관(2008~2010년)을 거쳐 고용노동부 장관(2010~2011년), 기재부 장관(2011~2013년)을 지냈다.

퇴직 공직자 취업 제한이 풀린 2016년부터는 기업 사외이사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박 전 장관은 2014년 공동체 자유주의를 기치로 한반도 통일과 선진화를 위한 정책 대안을 연구하는 한반도 선진화재단 이사장을 맡았다. 2016년 3월 삼성전자와 롯데쇼핑 정기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섬인돼 임기 6년을 채웠다. 재무·공공 부문 전문가로 이사회에서 행정과 재무 분야 전문성을 발휘했다.

박 전 장관은 삼성전자에서 이사회 의장을 맡은 첫 사외이사다. 삼성전자 이사회는 2020년 2월 최선임 이사인 박 전 장관을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사내이사인 이상훈 전 경영지원실장에게 이사회 의장을 맡겼다. 2019년 12월 이 전 실장이 노동조합 와해 혐의로 구속되자 이사회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에게 넘겼다. 2022년 3월 박 전 장관이 삼성전자 사외이사에서 퇴임하면서 김한조 사외이사(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가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박 전 장관은 한국앤컴퍼니에서도 사외이사 이사회 의장 체제가 정착되도록 했다. 박 전 장관은 2022년 3월 한국앤컴퍼니 사외이사로 합류해 곧바로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됐다. 2021년 4월 이사회에서 의장으로 선임된 조현범 회장은 이사회 중심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대표이사와 의장 분리를 택했다.

박 전 장관이 의장을 맡은 뒤 한국앤컴퍼니 이사회에서 부결 안건이 나오기도 했다. 2022년 7월 이사회에서는 '기업 지배 구조 헌장 제정 건'이 부결됐다. 이사 전원(7명)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기업 지배 구조 헌장 제정 건은 그해 10월 이사회에서 가결했다. 지난해 2월 이사회에서는 자회사 한국컴피티션(옛 아트라스BX모터스포츠) 주총 의결권 행사 결의 건이 출석 이사 전원(5명, 조 회장은 불참) 추가 검토 의견으로 부결됐다.


◆ 기사 원문은 아래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192 [이데일리] "꽉 막힌 52시간제·징벌적 상속세…기업 족쇄 푸는 게 정부 역할" 25-04-09
2191 [한국경제] 국가 리셋 달린 '선택의 시간'…원로들이 제시한 5가지 과제 25-04-07
2190 [에포크타임스] “부동산, 규제보다 중요한 건 예측 가능한 정책 시그널” 25-03-28
2189 [여성경제신문] 대통령·의회 중 제왕은 누구···'진실과 정론' 헌법 개정과 정치개혁.. 25-03-19
2188 [이데일리] 싱크탱크 연대 ‘진실과 정론’, ‘헌법개정과 정치개혁’ 주제 토론회 25-03-17
2187 [조선일보] 플라자 - 안민정책포럼·한반도선진화재단·경제사회연구원·정책플랫폼 토.. 25-03-13
2186 [더벨] 의장 섭외 1순위, 박재완 전 기재부 장관 25-03-07
2185 [뉴데일리] 다시 불붙은 상속세 개편 논쟁 "공제한도 올려야" vs "최고세율도 낮춰야" 25-03-06
2184 [주간조선] 美-中 압박에 반도체 특별법까지… ‘내우외환’ K-반도체 해법은? 25-03-04
2183 [주간조선] “다시 공동체 자유주의로 나가야 한다” 25-02-10
2182 [경기일보] '이것'이 안되면 다음 대통령도 탄핵된다 25-02-03
2181 [일요서울] 박재완 이사장, “‘자유’ 필요조건, '공동체' 충분조건, 공동체 지키는 .. 25-01-20
2180 [아시아경제] 진실과 정론 리더십 세미나…"대통령제 개혁 필요해" 25-01-09
2179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인재 붙드는 힘, 가족까지 챙기는 지원정책에 있다" 25-01-06
2178 [주간조선] 트럼프 2.0 시대를 꿰뚫는 6가지 키워드 24-12-31
2177 [뉴데일리] 대외신인도 추락 위기인데… 민간전문가 소통창 끊은 기재부 24-12-27
2176 [아시아투데이] 위기 정국에 다시 보는 박세일의 지도자론 24-12-24
2175 [서울신문] 법조계 “국회증언법, 기본권 침해 등 위헌 소지”… ‘간첩 양성법’ 우려도 24-12-18
2174 [국민일보] 초유의 ‘경제 리더십’ 공백… ‘尹 산업정책’ 사실상 올스톱 위기 24-12-18
2173 [이데일리] "韓경제, 계엄사태로 요동…안정성 위해 현 경제팀 믿고 가야" 24-12-1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