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사랑의 충전소 ‘공동체’를 살리자
- 저 자 : 이용환
- 출판년도 : 2008
- 가 격 : 7,000원
- ISBN-10 : 9788995975619
- ISBN-13 :
- 다운로드 : 에서 이용가능
1. 서론
- 문제제기
- 공동체 이론
2. 공동체 의식의 형성과 영향 요인
1) ‘공동체’의 의미와 현상
- 공동체의 개념
- 공동체 의식의 발원과 오늘의 현상
2) 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미친 전통 의식구조
- 공동체 제약 요인 : 일방지향(一方指向) 의식구조
- 공동체 조장 요인 : 공사혼재 의식구조와 선공후사(先公後私) 업무 자세
3) 공동체의 현 주소와 5대 과제 선정
- 변혁에 대한 우려와 기대
- 시대 변화의 동인
- 신뢰사회의 병목현상
- 공동체 논의 배경과 5대 과제 선정
3. 5대 공동체의 부문별 점검과 복원ㆍ창조 과제
1) 가족ㆍ학교ㆍ사회공동체
- 가족공동체의 의미와 과제
- 학교공동체의 현실과 제언
- 사회공동체와 자원봉사 활동
- 다민족 사회공동체 창조
2) 역사공동체
- 역사공동체와 역사인식에 대한 갈등
- 현대사의 쟁점
- 과거사 청산 문제
- 역사공동체 구축을 위한 노력
3) 환경공동체
- 한국인의 환경 의식
- 환경오염문제의 심각성과 자각
- 환경에 대한 인식제고와 정책방향
4) 근로공동체
- 근로공동체와 노동조합
- 노동철학과 소명으로서 노동윤리
- 경제사회구조의 빠른 변화와 가치관의 혼재
- 변화하는 직업윤리
- 윤리의 상호관계와 직업윤리
- 노동철학과 직업윤리의 복원ㆍ재창조
5) 자유민주주의 공동체
-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 대립ㆍ갈등 의식구조의 원인과 현상
- 민주시민 교육의 필요성
- 공중도덕의 준수와 법치주의 실현 과제
- 바람직한 민주시민 교육과 정치지도자 양성 방향
4. 결론
5. 참고문헌
우리나라는 장기간의 경기침체상황 속에서도 2007년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이 기대되면서 선진국진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에 부응하여 본 저서는 대한민국이 선진화되기 위한 필요조건의 하나로 공동체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공동체 복원ㆍ재창조의 시각에서 첫째, 가족공동체ㆍ학교공동체ㆍ사회공동체의 복원과 재창조, 둘째, 역사공동체의 재창조, 셋째, 환경공동체의 복원, 넷째, 근로공동체의 재창조, 다섯째, 자유민주주의 공동체 창조의 5가지 과제를 선정한 후 각 분야별로 현상점검과 더불어 그 원인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