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

  • 자료실

  • 발간도서

  • 프리미엄 리포트

  • 언론보도

  • 인포그래픽

대한민국 국가전략

  • 저 자 : 박세일
  • 출판년 : 2009
  • 가 격 : 18,000원
  • ISBN-10 : 978895091663
  • ISBN-13 :
  • 다운로 :
  목록 
왜 국가전략이 중요한가?

21세기 세계화시대에는 ‘사람과 상품과 정보’만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돈과 위험’도 함께 이동한다. 세계금융시장의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국제간 자본이동의 크기와 속도가 빠르게 증대하고 있다. 시장은 더욱 불안정해지고 관리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세계화 격랑 속에서 세계는 다극多極체제로 들어서고 있고 남북관계와 동북아 국제질서도 대대적 개편이 진행되고 있다. 대변혁의 시대, 이제 대한민국은 새로운 국가목표와 국가전략을 세워야 하는 역사적 전환점에 서 있다.
지금 우리의 꿈과 목표, 선택과 결정이 50년 후, 100년 후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다. 꿈과 목표와 이상이 없다면 미래도 없다. 개인이건 기업이건 국가건, 생각이 역사를 만들고 미래를 만든다.
앞으로 대한민국이 성장의 단계를 넘어 성숙의 단계로 진입하려면 국가운영시스템 전반의 대대적 제도개혁을 비롯해 전 부문에서 혁명적 수준의 대대적 국가대개조國家大改造가 필요하다. 서구적 사상과 제도를 일방적으로 수입?모방해왔던 기존의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우리 것과 서구의 것을 통합하고 융합해 ‘대한민국식 선진화’ 즉 ‘창조적 선진화’를 이루어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21세기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목표와 이를 위한 계획과 전략은 과연 무엇이어야 하는가?
머리말

1부 대한민국의 세계전략
1장 세계전략이란 무엇인가
2장 대한민국은 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3장 세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4장 대한민국의 국가이익은 무엇인가?
5장 대한민국은 어떠한 세계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6장 누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2부 한반도 선진화혁명 : 철학과 전략
1장 지난 60년의 회고 : 건국-산업화-민주화
2장 21세기 국가목표 : 선진화혁명
3장 선진화란 무엇인가 : 선진국의 5대 조건
4장 선진화의 목표 : ‘국가이상國家理想’으로의 선진국
5장 동양적ㆍ한국적 선진국 : 5대 조화사회
6장 선진화의 철학 : 공동체자유주의
7장 21세기 세계화시대의 특징
8장 세계화시대의 정책적 함의
9장 우리 민족의 3대 특장
10장 선진화 5대 전략
11장 선진화 주체세력 : 국민통합과 3대 주체
12장 위대한 도약

3부 선진화를 위한 10대 국가과제
1장 문제의 제기 : 대한민국이 선진국 되려면
2장 선진화를 위한 10대 국가과제
3장 누가 선진화를 이룰 것인가?

4부 공동체자유주의 : 이념과 정책
1장 통합과 발전을 위한 신新이념의 필요
2장 왜 공동체자유주의인가?
3장 어떻게 공동체자유주의를 실천할 것인가?
4장 인류 보편의 가치규범

주석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민국(4,800만)에는 전국적으로 이러한 강소국(지방정부)을 최소한 4∼6개 정도를 만들 수 있다고 본다. 그렇게 하려면 중앙의 예산과 권력을 지방으로 분산하는 수준이 아니라, 지방에서 예산과 권력이 나오는 준準연방제적 수준의 시스템 개조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국가운영시스템 자체를 ‘일국一國주의적 중앙집권형’에서 수개의 ‘광역자치 중심의 지방분권형’으로 바꾸는 대대적 개혁이 있어야 한다. 우리보다 훨씬 지방자치제도가 앞선 일본도 세계화시대에는 지방자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경제적 연방제에 가까운 12개 정도의 강소국(지방정부) 건설의 방향으로 국가개조개혁을 앞세워 소위 도주제道州制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 pp. 92~93

우리의 세계화전략은 제1의 ‘창조적 세계화’ 단계를 지난 후 반드시 ‘발신형發信型 세계화’의 단계로 나가야 한다. 즉 우리의 전통과 문화의 장점과 결합하면서 세계표준을 배운 다음에는, 반드시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새로운 세계표준을 만들어 이를, 세계를 향하여 발신할 목표와 의지를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 즉 단순히 세계문명표준, 세계문화표준을 배우는 데 그치지 않고 반드시 새로운 세계문명표준, 세계문화표준을 만들어 세계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꿈을 가지고 그러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한마디로 ‘수신형受信型 세계화’가 아니라 발신형 세계화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
- pp. 170

우리나라가 국제경쟁력이 높은 생산적 경제productive economy로 나아가려면 모방 중심의 구舊기술체계에서 창조와 혁신 중심의 신기술체계로 나아가야 하고, 이를 위해선 거대하고 효과적인 R&D투자가 필수적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사실은 단순한 R&D투자만으로도 불충분하다. 가능하면 세계최고기술영역technological frontier에서 R&D투자가 많이 일어나야 한다. 그래야 생산성과 국제경쟁력의 획기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R&D투자 수준은 GDP 대비 3% 수준으로, 그 자체로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크게 낮지 않은 편이다. OECD의 6위 정도의 수준일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R&D스톡이 크게 낮다는 문제가 있다. 즉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 기술강국의 경우는 1960년대부터 이미 GDP 2%대의 R&D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R&D스톡이 많은 데 비해 우리나라는 경우는 1990년대 들어와 비로소 2%에 도달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적어도 30년 이상의 축적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따라가지 않으면 안 된다. 또 하나의 문제는 R&D투자의 효율을 높이는 문제이다. 환언하면 연구투자의 결과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상업화commercialization하고 실효화 하느냐의 문제이다. 여기에는 글로벌 대기업, 그리고 최첨단기술의 중견기업 역할이 중요한데 우리의 경우 세계적 대기업도 부족하고 첨단기술 분야의 중견기업은 더더욱 약한 편이다.
- pp. 255

우리 사회에 공동체자유주의를 실천하는 데는 ‘개인차원’에서의 노력이 있을 수 있고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이 있우리 사회에 공동체자유주의를 실천하는 데는 ‘개인차원’에서의 노력이 있을 수 있고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이 있을 수 있다. 개인 차원에서의 노력은 개개인이 어떠한 인생을 살 것인가라는 문제와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즉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어떠한 삶의 목표를 가지고 어떠한 모습의 삶을 사는 것이 공동체자유주의에 보다 부합하는 삶이 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나, 그 논의는 별도의 기회로 미루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국가차원에서 공동체자유주의를 실천한다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국한하여 논하도록 한다. 국가차원에서 공동체자유주의를 실천한다면 그것은 결국 국가전략 내지 국가정책차원에서의 공동체자유주의의 실천을 의미한다. 즉 국가가 보다 공동체자유주의적인 가치가 실현되는 국가전략 내지 정책을 선택하고, 그리고 그 국가정책을 보다 공동체자유주의적인 방식으로 추진함을 의미한다.
- pp. 336~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