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26 17:57:41
첨부 :
issue_focus_apr4.pdf

조영기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통일연구회장,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사실 어떤 상태가 ‘정상적’인가는 개인, 단체, 국가 등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 환경에 따라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가치기준의 준거점은 보편타당성이 있을 때 지속가능하다는 것이 역사적 교훈이다. 또한 일시적으로 비정적 상태가 유지된 경우도 있지만 결국에는 정상적 상태로 회귀된 것도 역사적 경험이다. 역사발전의 역사는 개인의 자유신장, 인권향상, 선택의 자유, 법의 지배 등을 위한 과정이었다는 점이다. 바로 불합리하고 비이성적인 제도와 관행, 정책수단 등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상태로 전환시켜 개인의 자유와 복리 증진과 사회후생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것이 정상화(Normalization)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 초반 기세등등했던 군국주의, 전체주의, 1인 독제체제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것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괴리된 비정상적 체제였기 때문이며 사회주의체제 70년의 실험이 무위로 끝난 것도 사회주의체제의 비정상성 때문이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북한이 아직도 비정상적 상태를 연속해 가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60 |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에 바란다 | 17-05-17 |
59 | [2017년 4월] 차기 대통령 당선인의 과제: 통일·대북정책 분야 | 17-04-26 |
58 | [2017년 4월] 차기 대통령 당선인의 과제: 지방분권·균형발전 분야 [1] | 17-04-26 |
57 | [2017년 4월] 차기 대통령 당선인의 과제: 안보·국방 분야 | 17-04-12 |
56 | [2017년 4월] 차기 대통령 당선인의 과제: 경제 분야 | 17-04-12 |
55 | [2017년 3월] 청년들이 대한민국 창업을 기피하는 몇 가지 이유 | 17-04-07 |
54 | [2017년 3월] 사드배치의 경제적 후유증 어떻게 극복할까? | 17-03-16 |
53 | [2017년 3월]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의 반발 그리고 우리의 대응방안 | 17-03-16 |
52 | [2017년 3월] 한반도선진화재단이 대선주자들에게 제안하는 4대 개혁 | 17-03-02 |
51 | [2017년 2월] 2017 정치·정책 환경 | 17-02-02 |
50 | [2017년 1월] 헌법 개정 논의와 정부 혁신 | 17-01-03 |
49 | [2016년 12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오해와 진실 | 16-12-07 |
48 | [2016년 12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과 한반도 안보 | 16-12-07 |
47 | [2016년 11월] 제2개국(제2독립)의 새 주류 형성 | 16-11-16 |
46 | [2016년 11월] 시대가 요구하는 통치이념과 지도자의 리더십 | 16-11-16 |
45 | [2016년 10월] 동맹의 딜레마에 빠진 한국, 북핵을 막을 수 있나 | 16-10-24 |
44 | [2016년 9월] 청년들에게 꿈꿀 자유를 허하라 | 16-09-22 |
43 | [2016년 9월] 이상한 나라의 취업준비생 | 16-09-22 |
42 | [2016년 9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에게 | 16-09-22 |
41 | [2016년 9월] 20대 첫 정기국회에 바란다 - 정책대결을 통한 일하는 국회를 기대한다 | 16-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