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은 ‘심부름 센터’ 아니다
강경근 (한반도선진화재단 감사, 숭실대 법학과 교수)
국가정보원이 야당의 당내 경선 후보자 친·인척 부동산 정보를 열람했음을 시인했다. 정부조직법은 대통령 소속하에 국정원을 둔다고 하였다. 이런 기관이 헌법이 정당 제도로서 보호하는 야당의 자유를 근간에서부터 침해한 것이다. 과연 현 대통령이 제18대 대통령 선거의 선량한 관리자가 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 어떤 국가기관도 개인의 ‘뒷조사’를 하는 순간 국민의 돈인 세금으로 운영될 수 없는 사설탐정기관이나 심부름센터로 변한다. 국가안보의 첨병으로서 대한민국을 지키는 중차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정보원이라 해도 그 역시 국가기관이기에 지켜야 하는 헌법원칙과 법·제도를 무시할 수 없다. 권력분립과 행정기관법정주의 및 정부조직법과 국가정보원법, 그리고 전자정부법과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 등이 그것이다.
국정원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부패척결 TF’ 팀을 운영해 왔다면서, 부패 예방 정보 활동은 국정원의 고유 업무 영역이고 따라서 주민등록이나 부동산 정보 등의 열람은 필요한 범위에서의 관련 정보 수집의 차원에서 한 일이라고 한다. 틀린 말이다.
정부조직법 제16조는 국정원의 권한과 직무 범위를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되는’ 정보·보안 및 범죄수사에 관한 사무의 담당에 있다 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제10조 역시 국가정보원장에 대해서 그렇게 말하고 있다. 국가정보원법 제3조 제1항 제1호는 그 관련되는 정보의 범위인 국내 보안 정보를 대공·대정부전복·방첩·대테러 및 국제범죄조직으로 ‘한정하여’ 열거하고 있다. 즉 부패방지와 관련된 자료의 수집·관리 및 분석의 업무는 국정원의 고유업무가 아닌 것이다. 그것은 대통령 소속하에 두는 ‘국가청렴위원회’(부패방지법 제10조, 제12조)의 일이며 그 사후 적발이나 수사는 공익의 대표자인 검사(검찰청법 제4조)와 경찰(경찰법 제3조)의 본연의 업무다.
국정원처럼 이를 ‘예시적’ 열거 조항으로 보아 원하는 어떤 일도 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면, 헌법 제96조 행정 각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는 법률로 정한다는 행정조직법정주의와 권력분립주의의 헌법원칙에 반한다. 정식의 정부조직을 잠탈하여 국정원을 무소불위의 빅브라더로 만드는 위헌적 법 해석이 되는 것이다. 부패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행정기관 및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감찰에 대해서 헌법 제97조는 이를 대통령 소속하에 두는 감사원의 직무로 한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66 | [이교관]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어떻게 볼 것인가 | 07-07-23 |
165 | 몽양, 어떻게 볼 것인가 | 07-07-23 |
164 | [이창용] 30년 배워 20년 써먹는 나라 | 07-07-23 |
163 | [조순] 개혁, 선진화와 인물찾기 | 07-07-20 |
162 | [강경근] 국정원은 ‘심부름 센터’ 아니다 | 07-07-20 |
161 | [강석훈] ‘우리은행’을 어찌할꼬 | 07-07-18 |
160 | [이홍구] 이준 열사 순국 100주년에 부쳐 | 07-07-18 |
159 | [김영봉] 공무원도 내신으로 뽑는다면 | 07-07-12 |
158 | 꼬박 15년 걸린 ‘로스쿨’ 여정 | 07-07-09 |
157 | [강석훈]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 07-07-02 |
156 | [유호열]전략과 일관성 부재로 변죽만 울린 노태우·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 | 07-06-28 |
155 | [조영기] 한·미 FTA 추가협상과 ‘이익의 균형’ | 07-06-26 |
154 | [강경근] 6월 국회, 사학법 재개정 관철하라 | 07-06-26 |
153 | [황성돈] 차세대 전자장부, 인적 역량이 관건 | 07-06-21 |
152 | [강경근] 法비웃는 대통령 | 07-06-20 |
151 | [이인호] 지각의 실종 | 07-06-20 |
150 | 왜 공동체 자유주의인가? | 07-06-19 |
149 | 지역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 07-06-19 |
148 | [안종범] 수도권 규제, 전면 재검토해야 | 07-06-18 |
147 | [이홍구] 6·25를 잊지 말라 | 07-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