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음모론은 틀린 사실에 대한 '확증편향'이라 할 수 있다. 확증편향이 심해지거나 다수가 공유하게 되면 집단사고가 되어 다른 의견을 배척하게 된다.
지난 4월 15일 총선이 종료된 이후 한국 사회는 일부 인사들의 부정선거 주장으로 한 차례 홍역을 앓았다. 11월 3일 실시된 미국 대선과 관련해서도 최근 근거없는 주장이 난무하여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선거부정에 관한 트럼프 대통령 측의 주장이 여과없이 한국 사회로 전달되고, 그러면서 각종 음모론(conspiracy theory)으로 연결되고 있다. 딥 스테이트(Deep State)나 일루미나티(Illuminati)라는 집단 이름이 수시로 거론되고, 이들의 음모로부터 한국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자신만이 이러한 음모를 자신이 알고 있다면서 자랑스러워하는 태도도 보인다.
그러나 4.15부정선거도 근거 없는 주장이고, 미 대선도 바이든의 승리로 확정되어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측이 제시한 50여개의 소송은 대부분 기각되고 있고, 12월 5일 캘리포니아 주가 선거결과를 확정함으로써 바이든은 공식적으로 279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여(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은 270명), 당선이 확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등록자다 투표자가 많다거나, 사망자가 투표했다거나, 트럼프 지지표가 바이든 지지표로 둔갑했다거나, 참관인 없는 곳에서 몰래 개표를 했다는 등의 트럼프 대통령 측의 의혹은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의 법무부장관이 12월 1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선거결과를 바꿀만한 부정이 없었다고 언급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선거부정 주장은 사라지지 않고 있고, 트럼프의 재선을 믿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아무리 합리적으로 설명해도 이들은 납득하지 않는다. 이미 음모론에 너무나 깊숙하게 빠져있기 때문이다.
나라에서 어떤 사고가 일어나면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을 비롯한 사회관계망(SNS)에는 다양한 음모론이 도배를 한다. 정치인들의 언행은 절대로 말 그대로 이해되지 않고, 무서운 음모의 일단일 것으로 추측한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766 | [국민일보] 자만 불감증의 독배 | 20-12-10 |
1765 | [뉴데일리] 지나친 음모론은 민주주의 위협… 국가안보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 20-12-09 |
1764 | [중소기업뉴스] 주52시간제 계도기간 내년말까지 재연장하라 | 20-12-09 |
1763 | [서울경제] 법무부 장관은 ‘헤드십’이 아닌 ‘리더십’ 보여야 | 20-12-07 |
1762 | [주간한국] 윤석열 징계 추진 추미애 장관 '사면초가' | 20-12-07 |
1761 | [아시아경제] 이게 나라인가? | 20-12-07 |
1760 | [대전일보] 불통과 침묵은 파멸의 전주곡이다. | 20-12-04 |
1759 | [충남일보] 미국 대선 불복, 트럼프가 넘지 못할 벽 | 20-12-04 |
1758 | [세계일보] 안보역량 훼손하는 대공수사권 이관 | 20-12-04 |
1757 | [아시아경제] 미국 차기 행정부를 맞는 북한의 고심 | 20-12-03 |
1756 | [여성신문] 여전히 여성은 희망이고 미래다 | 20-12-03 |
1755 | [문화일보] 부동산 ‘죄악세’ 부과로 조세저항… 文정권 핵심 지지층도 이반 조짐 | 20-12-03 |
1754 | [매일신문] 불통과 침묵은 파멸의 전주곡이다 | 20-12-03 |
1753 | [문화일보] 秋 경질과 징계委 철회가 법치 시금석 | 20-12-02 |
1752 | [스카이데일리] 한국외교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이 해답이다 | 20-12-02 |
1751 | [아주경제] 앤트그룹 IPO 중단시킨 마윈의 소신 발언 | 20-11-30 |
1750 | [데일리안] ‘균형외교’는 한미동맹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여야 | 20-11-30 |
1749 | [데일리안] 우량자산 투자를 가로막을 보험업법 개정안 | 20-11-27 |
1748 | [아시아경제] 취업 불합격 기회조차 없는 청년들 | 20-11-25 |
1747 | [부산일보] 부산에도 국제관문공항 필요하다 | 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