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음모론은 틀린 사실에 대한 '확증편향'이라 할 수 있다. 확증편향이 심해지거나 다수가 공유하게 되면 집단사고가 되어 다른 의견을 배척하게 된다.
지난 4월 15일 총선이 종료된 이후 한국 사회는 일부 인사들의 부정선거 주장으로 한 차례 홍역을 앓았다. 11월 3일 실시된 미국 대선과 관련해서도 최근 근거없는 주장이 난무하여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선거부정에 관한 트럼프 대통령 측의 주장이 여과없이 한국 사회로 전달되고, 그러면서 각종 음모론(conspiracy theory)으로 연결되고 있다. 딥 스테이트(Deep State)나 일루미나티(Illuminati)라는 집단 이름이 수시로 거론되고, 이들의 음모로부터 한국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자신만이 이러한 음모를 자신이 알고 있다면서 자랑스러워하는 태도도 보인다.
그러나 4.15부정선거도 근거 없는 주장이고, 미 대선도 바이든의 승리로 확정되어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측이 제시한 50여개의 소송은 대부분 기각되고 있고, 12월 5일 캘리포니아 주가 선거결과를 확정함으로써 바이든은 공식적으로 279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여(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은 270명), 당선이 확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등록자다 투표자가 많다거나, 사망자가 투표했다거나, 트럼프 지지표가 바이든 지지표로 둔갑했다거나, 참관인 없는 곳에서 몰래 개표를 했다는 등의 트럼프 대통령 측의 의혹은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의 법무부장관이 12월 1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선거결과를 바꿀만한 부정이 없었다고 언급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선거부정 주장은 사라지지 않고 있고, 트럼프의 재선을 믿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아무리 합리적으로 설명해도 이들은 납득하지 않는다. 이미 음모론에 너무나 깊숙하게 빠져있기 때문이다.
나라에서 어떤 사고가 일어나면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을 비롯한 사회관계망(SNS)에는 다양한 음모론이 도배를 한다. 정치인들의 언행은 절대로 말 그대로 이해되지 않고, 무서운 음모의 일단일 것으로 추측한다.
번호 |
제목 |
날짜 |
---|---|---|
2406 | [아시아투데이] 80년 후 오늘날에도 울림 큰 이승만의 가르침 | 24-02-26 |
2405 | [파이낸셜투데이] 문제는 리더십과 공천관리다 | 24-02-26 |
2404 | [세계일보] 부동산PF 부실과 ‘4월 위기설’ | 24-02-21 |
2403 | [중앙일보] 개인 존중하는 새 가족주의로 나아가야 | 24-02-21 |
2402 | [아시아경제] 대통령의 사면(赦免)을 환영한다 | 24-02-20 |
2401 | [문화일보] 김정은 NLL 위협과 총선 후보 안보관 | 24-02-16 |
2400 | [아시아투데이] 삼성물산 합병사건 무죄 피고인에 대한 보상은 누가 하나? | 24-02-14 |
2399 | [ifs POST] 저출산 정책은 자녀들의 미래가 보이게 해야 한다 - 여야의 공약,누가 .. | 24-02-13 |
2398 | [파이낸셜투데이] 위성정당이 가져올 치명적인 정치적 폐해 | 24-02-13 |
2397 | [월간중앙]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12) 빚내서 집 사는 게 어때서? | 24-02-08 |
2396 | [문화일보] 삼성 재판, 국가 자해극 멈춰야 한다 | 24-02-07 |
2395 | [머니투데이] 대한민국 위기, 이미 잃어버린 20년을 지나고 있다 | 24-02-01 |
2394 | [아시아투데이] DIME 대북통일전략 | 24-01-31 |
2393 |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치가 한 지붕 밑에 사는 일은 드문 법 | 24-01-31 |
2392 | [한국경제] '자사주 마법'이라는 거짓 프레임 | 24-01-26 |
2391 | [스타뉴스] K-culture의 글로벌화와 과제 | 24-01-25 |
2390 | [한국경제] 김정은의 위협·협박에 맞설 전략 | 24-01-22 |
2389 | [신동아] 대만 1인자 오른 ‘광부의 아들’ 여소야대 자갈길 앞에 서다 | 24-01-18 |
2388 | [파이낸셜투데이] 기형적인 정당 운영 시스템 개혁이 정치 개혁의 본질이다 | 24-01-18 |
2387 | [동아일보] ‘연장근로 주단위 계산’ 판결이 던진 근로시간 개편 과제 | 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