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아주경제] 중국, 중국인 혐오 안된다
 
2020-02-03 09:41:35

◆ 한반도선진화재단의 후원회원이신 조평규 전 중국연달그룹 수석부회장의 아주경제 칼럼입니다.


부정확한 정보에서 비롯된 과잉 불안감…정치적 과잉대응 촉구도 문제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일명 우한 폐렴으로 전 국민이 상당한 공포를 느끼는 듯하다. 또한,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혐오 현상이 사회 전반적으로 퍼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 올린 ‘중국인 입국금지 요청’ 에 60만명 이상이 서명하고 있다.

중국인이 많이 모이는 면세 백화점이나 식당, 건물, 시장, 조선족 밀집 거주지역에 대한 시민들의 거부감이 늘어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가 전염성이 강하고 2차, 3차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매우 우려 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신종 코로나 사태 발생 후 입국한 중국인 관광객을 모두 중국으로 송환 조치하라고 주장하거나, 이번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중국인 입국을 금지시켜야 한다는 주장은 너무 가혹하고 과학적이지 않다.

이번 사태를 냉정하고 이성적인 시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발생한 확진 환자는 늘어가고는 있으나 많지 않다. 또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국가의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잠재적 보균자로 보고 극약 처방 대책을 시행하는 것은 너무 과하다.

신종 코로나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데다가, 확인되지 않은 부정확한 뉴스 등으로 우리 국민들이 과도한 불안감을 느껴 사태를 너무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측면도 있다. 게다가 선거철을 맞아 정당이나 정치인들이 무분별한 과잉 대응을 요구하며 이슈화하는 것도 불안감을 부채질 하고 있다. 

중국은 지리적으로 넓고 15억 인구를 가진 나라다. 중국을 하나의 나라라고 생각하고 일률적으로 중국 전체에 대해서 규제하는 정책은 비 이성적이다. 전염병 전문가들 의견에 따르면, 전염병이 잡힐 때까지 진원지로 지목된 우한이나 후베이성을 거쳐 한국으로 입국하는 외국인의 입국을 한시적으로 제한 하는 것 만으로도, 전염을 차단 할 수 있다고 한다.

중국 현지 언론에는 시골마을 입구에서 총칼이나 무기를 든 사람들이 외지인 통행을 막거나, 우한 번호판을 단 차량의 통행을 막고 있는 야만적인 사진이나 영상들이 적지 않게 올라온다. 중국 시골 사람들이 하는 행위와 비슷한 행동을 한다는 것은 우리의 자존심이 너무 상하는 일이다.

언론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언론은 진실과 사실을 보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확인되지 않은 거짓 정보나 흥미위주의 가십거리, 공포를 부추기는 일부 비전문가들의 의견을 소개함으로써, 불안을 조장하고, 유언비어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는 지구촌이라 할 만큼 좁아져 있고,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살아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너희 나라에 전염병이 창궐하니 일률적으로 쫓아 내거나 입국하지 말라는 주장은 글로벌 무역으로 먹고 사는 우리가 취할 자세가 아니다. 

한국을 여행하는 중에 발병하더라도 치료해 주는 게 인도주의 정신이다. 일본의 경우, 중국인 환자의 치료는 물론 치료비도 정부에서 부담하겠다고 했다. 맨날 일본을 욕할 것이 아니라 마땅히 우리는 배우는 바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국적이나 나이, 성별, 피부색에 상관없이 인간의 생명은 그 자체로 고귀한 것이다. 생명을 앞에 두고 어떠한 흥정을 해서는 안 된다. 자기의 생명이 중요한 만큼 타인의 생명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아쉽게도 우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자살률이 1위다. 생명 존중에 대한 의식이 약하다는 증거다. 

중국과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교류가 가장 많은 나라인 우리가, 이웃인 중국에서 난리가 났는 데도 한 명의 사망자도 내지 않고 관리하고 있다는 것은 선방하고 있으며 대단한 일이다. 우리 정부의 방역 체계와 의료기관, 그리고 의료인들의 헌신적 희생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고생하는 정부 관련 기관의 공무원들과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다소 실수와 잘못이 있더라도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 

중국 우한에서 귀국하는 교민들을 격리 수용하는 시설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이 처음에는 반대하기도 했으나, 결국 따뜻한 동포애로 귀국한 국민들을 받아들였다.

우체국에 가보면 창구에는 중국인 지인들에게 마스크나 의료용품을 보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참으로 고맙고 아름다운 모습이다. 우리가 마음만 먹으면 성숙해 질 수 있는 희망을 보여준 좋은 사례들이다. 중국인을 내칠 것이 아니라, 따뜻하게 품는 아량을 이번 기회에 보여 주어야 한다.

그 동안 우리가 중국에게 유쾌하지 않은 대접을 받은 일 등을 끄집어 내어 감정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 중국의 어려운 처지를 생각해서 의료지원 물자나 의료 인력으로 도움을 주는 행위를 사대주의로 몰아서는 안 된다. 

중국에 대한 근거 없는 혐오는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태의 추이를 냉정하게 지켜보며 인내심을 가지고 지혜롭게 대응하는 성숙한 국민 의식을 보여줘야 한다. 우리가 배려심을 가지고 도덕적으로 중국보다 우위에 서야 '극중(克中)' 할 수 있다. 중국에게 우리의 한 수위 도덕성을 보여 줄 수 있는 기회가 바로 지금이다. 


◆ 기사 원문은 아래 [기사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545 [문화일보] 청년 일자리 더 없앨 ‘고용연장’ 발상 20-02-17
1544 [중앙일보] 대학행정 교육부에서 분리해야 20-02-17
1543 [뉴데일리] '혁신화' '미래화' '인재화'로 다가올 100년 준비해야 20-02-13
1542 [한국경제] 삼성 준법감시委 권고 의미 새겨야 20-02-13
1541 [KEFe매거진] 국민연금기금 주주권행사의 문제점과 정책방향 20-02-13
1540 [중앙일보] 추 장관의 공소장 비공개는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다 20-02-11
1539 [서울경제] 美 저위력 핵탄두, 북핵 억제 효과를 기대한다 20-02-10
1538 [에너지경제] 배당보다 자사주 소각이 낫다 20-02-04
1537 [아주경제] 중국, 중국인 혐오 안된다 20-02-03
1536 [국민일보] 법치, 예치와 덕치… 문명국의 조건 20-01-30
1535 [월간조선뉴스룸] 獨, 나랏빚은 大罪… 헌법에 ‘균형예산’ 규정 20-01-28
1534 [신동아] ‘비핵화쇼’ 2年… 핵·미사일 모라토리엄 파기 수순만 남아 20-01-28
1533 [아주경제] '우한폐렴' 중국에 의료지원 손길 내밀자 20-01-28
1532 [중앙일보] ‘3P’의 공포와 한국경제 위기 경보 20-01-28
1531 [아주경제] 시진핑 주석의 미얀마 방문 20-01-22
1530 [서울경제] 기업이사는 나눠먹는 자리가 아니다 20-01-22
1529 [문화일보] ‘검찰 私有化’ 시도는 민주 파괴 범죄 20-01-22
1528 [아시아경제] 핵없는 상태로 가기 위한 조건 20-01-21
1527 [문화일보] 포퓰리즘적 교육정책 지속땐 이념대립 심화·계층이동성 붕괴 20-01-17
1526 [한국경제] 상생협력법이 '상호공멸법' 되려나 20-01-17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