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서울경제] '화끈한' DLF 대책에 대한 우려
 
2019-10-23 10:00:33

◆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 의장으로 활동 중인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의 칼럼입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경영학
"20%정도 불완전판매" 발표
투자자 '자기책임' 고려 여지
교육 강화 조치 등 필요하지만
시장 자체 위축시키진 말아야


‘재난채권’으로 분류된 채권은 수익률이 ‘국채금리+α’ 수준으로 높다. 이유는 간단하다. 원금 손실 위험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만기 내 지진이나 홍수 같은 재난이 발생하면 채권원금이 손해보상에 사용된다. 채권발행자인 보험사는 보험금 지급 위험을 채권매입자에게 전가하는 대신 보험가입자가 낸 보험료를 상당 부분 채권매입자에게 제공한다. 지진이 나지 않거나 약하면 투자 성과가 좋지만, 큰 지진이 발생하면 위험이 커진다. 위험을 감수해야 수익이 나오지만 이 상품 발행 자체가 금지돼 있지는 않다. 

최근 문제가 된 해외금리연계 파생금리펀드(DLF) 상품도 비슷하다. 예를 들어 독일 국채금리가 -0.2% 이상만 되면 4.2%의 수익률이 제공된다. 그런데 지난 18년 동안 내려간 적 없던 독일 국채금리 -0.2%가 깨지면서 원금 일부 혹은 전부가 훼손됐다. 지진이 크게 나버린 것이다.

이번 사태는 많은 논란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중간검사 결과 해당 DLF 상품 판매액은 7,950억원이고 예상 손실액은 3,513억원에 이른다. 금감원은 설계·제조·판매 과정에서 문제점들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불완전판매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할 사항이다. 금감원은 판매서류를 전수 점검한 결과 최대 20% 정도의 불완전판매 의심사례가 있다고 발표했다. 확인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80% 정도는 불완전판매가 아니라는 얘기다. 따라서 이 상품 전체를 은행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결과가 좋지 않았기는 하나 투자의 ‘자기책임 원칙’도 고려돼야 할 여지가 있다. 

고위험상품의 은행 판매도 논란거리다. 결과만 보면 이 상품은 은행에서 취급하지 않는 것이 좋았겠지만, 금감원 조사 결과 3,434건에 해당하는 개인투자자 중 78.2%가 과거 비슷한 상품에 1회 이상 투자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건 이상 투자한 경우도 1,268건에 달한다. 은행이 주의하고 조심해야 하지만 거꾸로 은행을 통해 비슷한 상품을 매입하고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도 많았다는 얘기다. 판매 제한 논의는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 키코(KIKO) 사태 때도 해당 상품이 아예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는 식의 주장은 법원에서 기각된 바 있다. 정기금리 1%가 깨질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높은 수익을 얻으려는 노력을 아예 막아버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국내 은행들은 비이자수익 비중이 낮고 이자수익 비중이 높다는 점이 많이 지적된다. 비이자수익은 수수료 수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수수료에 대한 소비자의 반감이 심한 편이다. 미국 같으면 일반화돼 있는 잔액유지 관련 수수료 제도도 우리는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상품 판매를 통한 수수료 확보 그리고 종합자산관리를 위한 다양한 상품 취급이 매우 절실하다. 시중에 유동성은 풍부해지는데 이러한 자금이 투입될 만한 금융상품 취급을 제한한다면 결국 자금은 부동산 분야 등으로 갈 수밖에 없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것을 전제로 고객숙려제도나 투자철회제도를 도입하고 성과지표에 판매액 대신 고객수익률과 소비자보호 여부를 추가하는 조치 등 자체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고객자산관리제도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 등 위험상품 투입비율을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조치도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금융소비자보호법 등을 통한 불완전판매 가능성 축소, 금융회사 직원 교육과 투자자 교육을 동시에 강화하는 조치도 필요하다.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지듯 이번 사태로 국내 금융투자 문화와 금융시장이 대폭 업그레이드되는 계기가 마련되는 동시에 너무 화끈한(?) 재발방지 조치들이 나오면서 시장 자체를 위축시키는 상황은 피해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532 [중앙일보] ‘3P’의 공포와 한국경제 위기 경보 20-01-28
1531 [아주경제] 시진핑 주석의 미얀마 방문 20-01-22
1530 [서울경제] 기업이사는 나눠먹는 자리가 아니다 20-01-22
1529 [문화일보] ‘검찰 私有化’ 시도는 민주 파괴 범죄 20-01-22
1528 [아시아경제] 핵없는 상태로 가기 위한 조건 20-01-21
1527 [문화일보] 포퓰리즘적 교육정책 지속땐 이념대립 심화·계층이동성 붕괴 20-01-17
1526 [한국경제] 상생협력법이 '상호공멸법' 되려나 20-01-17
1525 [문화일보] 反기업·親노동 정책 지속땐 ‘소주빈’ 불보듯… 경제 ‘파국열차’ 탈 수도 20-01-16
1524 [한일관계 시리즈 추가자료] 벼랑에 선 한일관계 극일의 길은 있는가 20-01-16
1523 [아주경제] 2020년 중국경제 전망과 우리의 대응 20-01-16
1522 [중앙일보] 사법부 독립 역행하는 사법행정위 신설, 신중해야 20-01-15
1521 [법률저널] 국가의 미래 시대의 사명 20-01-10
1520 [데일리안] 미국의 드론 참수작전: 우리 정부라면 감행했을까? 20-01-07
1519 [중앙시사매거진] 2020년 한국 경제는 ‘진흙탕을 걷는 모습’? 20-01-06
1518 [데일리안] 북한 전원회의: 남침계획이 진지하게 논의되었다면? 20-01-03
1517 [문화일보] 北‘새로운 길’ 제재 강화로 맞서야 20-01-03
1516 [문화일보] 美, 對北강경책 부활… 북·중·러 문전 기웃거리던 韓, 외교적 고립 심화 20-01-02
1515 [아주경제] '화교의 도시' 미얀마 만달레이(曼德勒) 19-12-30
1514 [월간조선 뉴스룸] ‘20세기 균형 있는 진보 정치인’ 헬무트 슈미트 총리 19-12-30
1513 [아시아경제] 빨래비누와 고무신, 그리고 2019년 12월 19-12-3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