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30여년의 역사는 '합의-번복-협상-보상-도발'이라는 악순환의 반복이다. 이런 악순환의 구조는 '우리의 선의에 북한도 선의로 응대할 것'이라는 희망적 사고와 북핵 위협이 가져올 재앙을 애써 평가절하한 확증 편향의 사고가 만든 자업자득의 산물이다. 또한 북한의 선전ㆍ선동에 속아 사회 일각에서 북핵 보유를 타당한 것으로 인정(?)하려는 기이한 현상도 악순환을 부추겼다. 이런 점에서 모두의 참회를 요구한다.
참회는 잘못을 깨닫고 깊이 뉘우쳐 같은 잘못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자성이다. 북핵 문제에 대한 참회의 핵심은 무엇이 잘못됐고 어떻게 재발을 방지할 것인가다. 잘못은 합의되지 않은 비핵화 개념, 비핵화의 근원적 해법에 대한 회피, 북핵 위협의 실체에 대한 외면 등이다.
우선 북핵 개념은 3국3색이다. 한국은 북한 비핵화 또는 한반도 비핵화, 미국은 북핵 폐기, 북한은 한(조선)반도 비핵지대화다. 특히 우리의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의 조선반도 비핵지대화와 닮아 혼란을 초래했다. 또한 북한의 한반도 비핵지대화는 "북과 남의 영역 안에서뿐 아니라 한(조선)반도를 겨냥하고 있는 주변으로부터의 모든 핵 위협 요인 제거"를 의미한다. 결국 북한의 비핵지대화는 핵군축에 대비한 핵 보유로 완전한 핵 폐기와 거리가 멀다. 하노이 노 딜 시 영변 핵 시설 폐기 카드만 제시하면서 북한의 저의가 드러났다. 이처럼 3국3색의 비핵화 개념은 북핵 해결의 구조적 한계로 늘 지적됐다. 이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비핵화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로 '북핵 폐기'로 통일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핵 폐기'를 해결하겠다는 착각이 30여년을 이어온 악순환의 근원이다. 물론 대화와 협상은 중요하고 필요하다. 하지만 대화와 협상 못지않게 북한이 핵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환경 조성의 수단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다. 지금 대북 제재는 인도적, 경제적 제재가 시행되고 있다. 국제 공조의 대북 제재는 북핵 폐기의 유일한 평화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제재가 평화적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2371호(2017.8.5) 이후 경제 제재가 북한의 근원적 변화의 촉진제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북핵 폐기를 위해 국제 공조의 구조적 허점을 차단하는 것이 관건이다. 최근 미 국무부는 구조적 허점으로 악용되는 공해상에서의 석탄과 석유 불법 환적을 차단하기 위해 500만달러의 현상금을 내걸면서 제재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석탄 불법 반입과 환적에 개입한 의혹 때문에 구조적 허점의 진원지로 의심을 받고 있다. 또한 3ㆍ1절 기념사에서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천명한 것도 제재 우회로 제공자로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이는 선(先) 북핵 폐기의 구도와 배치된 조치여서 심히 우려된다.
북한은 평화를 앞세워 북핵의 저의를 숨겨왔다. 그러나 북핵은 통일대전의 절대보검으로 한국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과의 평화는 '핵 있는 상태에서의 평화'로 허약한 평화다. 따라서 진정한 평화의 시작은 북핵 폐기 이후다. 싱가포르 합의의 핵심인 북핵 폐기는 아직도 유효하며 길을 찾아야 한다. 그 길은 국제 공조를 통해 선(先) 북핵 폐기 후(後) 관계 개선의 구도를 지키는 것이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365 | [서울경제] 제2 공정거래법 될 '금융그룹 통합 감독법' | 19-06-18 |
1364 | [에너지경제] [EE칼럼] 퍼펙트 스톰, 예언이 현실이 되나? | 19-06-18 |
1363 | [에듀인 뉴스] [전지적청년시점] 선을 넘은 정년연장 | 19-06-17 |
1362 | [서울경제] 6.25 교훈은 과도하더라도 확실한 안보 추구다 | 19-06-17 |
1361 | [법률저널] 형사사법비용론 | 19-06-17 |
1360 | [서울경제] 정부 빚, 결국 국민이 갚는다 | 19-06-14 |
1359 | [문화일보] 북핵 불변인데 동맹 훼손된 지난 1년 | 19-06-13 |
1358 | [아시아경제] '싱가포르 합의' 제대로 되려면? | 19-06-10 |
1357 | [한국경제]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신중해야 | 19-06-10 |
1356 | [한국경제] '최저임금 잡초' 뽑을 때 됐다 | 19-06-07 |
1355 | [데일리안] “한국군이 한미연합사령관!”: 북핵 위협에도 열광만 하나? | 19-06-05 |
1354 | [아주경제] 미중무역전쟁 , 우리는 어느 편에 서야 하나? | 19-06-05 |
1353 | [아주경제] 미·중무역전쟁, 동서 문명충돌 프레임으로 전환 | 19-05-30 |
1352 | [문화일보] 전쟁 억제력 상실한 ‘을지태극연습’ | 19-05-28 |
1351 | [중앙일보]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세계는 학습혁명 나서는데 한국은 대량생산 교육.. | 19-05-27 |
1350 | [문화일보] ILO 협약 先비준 추진, 대혼란 부른다 | 19-05-27 |
1349 | [문화일보] ‘배신의 외교’는 동맹 파괴 부른다 | 19-05-24 |
1348 | [아주경제] 그리스식 복지지출? ..비극의 시작 | 19-05-22 |
1347 | [문화일보] 상호 모순에 ‘유체 이탈’ 일자리 정책 | 19-05-21 |
1346 | [서울경제] [백상논단] 집착과 환상 그리고 경제위기 | 19-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