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역대 가장 많은 변화로 기대감 커 / 北 비핵화엔 지원·압박 병행 필수 /
안보 희생하며 관계 가속화 안돼 / 최악 상황도 고려… 대응책 마련을
2018년은 다른 어느 해보다 남북관계에 변화가 컸다. 2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4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6월 북·미 정상회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이 열렸고,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노벨 평화상까지 거론되는 분위기였고,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로까지 기대가 확대됐다. 9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제거, 10~40㎞의 비행금지구역 설정, 80~135㎞의 해역을 완충지역으로 설정 등 군사분야 긴장완화책도 이행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핵무기 폐기를 위한 조치를 미루면서 모든 기대가 불확실해지고 있다. 제2차 북·미 정상회담도 지연되고 있고,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오리무중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부터 의심하면서 군사합의를 악용한 기습남침 가능성까지 우려한다. 반면 일부에서는 ‘백두칭송 위원회’ ‘위인 맞이 환영단’ 등으로 친북 행동이 노골화되면서 남한사회는 좌와 우로 극단화되고 있다.
이제 송년의 12월을 맞아 정부는 대북정책의 성과와 함께 부작용도 냉정하게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 2019년에는 북핵 폐기와 남북관계에 더욱 확실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이다. 정부 내에 ‘악마의 대변인’을 지정해 현 대북정책의 문제점을 스스로 파악해보고, 보수층의 우려도 열린 마음으로 수렴해야 한다. 잘하는 것은 계승하지만 위험한 것에는 신중을 기함으로써 만전을 기해야 한다. 남북문제에서 숨을 고르고, 발판을 다짐으로써 새해를 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북한지원→남북관계 개선→비핵화 달성→평화정착→자유민주주의 통일’의 수단·목적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2018년 정부는 ‘북한지원=남북관계 개선=비핵화 달성=평화정착=자유민주주의 통일’의 인식 하에 수단에 불과한 북한지원과 남북관계 개선에 지나치게 몰두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 대한 적극적 지원만으로 남북관계 개선이 가능하지 않고, 남북관계 개선만으로 비핵화가 달성되지 않는다. 북한 지원과 함께 압박이 병행돼야 남북관계 개선이 가능하고, 남북관계 개선과 국제적 공조가 결합돼야 북한의 비핵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북한의 비핵화와 함께 철저한 대북 억제 및 방어태세가 보장돼야 평화정착이 가능해지고, 평화정착 이외에 다양한 요소가 충족돼야 자유민주 통일이 가까워진다. 북한지원, 남북관계 개선, 비핵화 달성, 평화정착을 위해 아무리 긴요한 사항이라도 자유민주주의 통일을 위태롭게 할 경우 추진해서는 곤란하다.
특히 안보를 희생하면서까지 남북관계를 가속화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선진국은 안보 걱정 없이 삶의 질 향상에만 진력하는데, G20( 주요 20개국)에 속하는 대한민국의 상당수 국민이 국가의 안위를 걱정해 잠을 못 이루는 것은 뭔가 잘못된 것이다. 아무리 취지가 좋다 하더라도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대북정책은 곤란하다. 노동당 강령을 보거나 그동안의 경험으로 볼 때 북한의 무력통일 의도를 무시할 수는 없고, 당연히 이에 대비하면서 남북관계를 개선해야 한다. 우리의 대비로 인해 북한이 진정한 비핵화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느낄 때 실질적인 남북관계 개선이 가능해질 것이다. 정부는 보수층의 우려를 기우로 치부해버리지 말고, 6·25와 같은 기습공격의 재발이나 핵무기 공격 위협의 가능성 등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해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265 | [한국경제] 개인의 각성이 자유를 지키는 힘이다 | 19-01-02 |
1264 | [문화일보] 최저임금 시행령案, 철회해야 한다 | 19-01-02 |
1263 | [문화일보] 한·일 軍事 불신 증폭이 위험한 이유 | 18-12-27 |
1262 | [헌정지] 시진핑의 대미도전은 시기상조일까? | 18-12-21 |
1261 | [법률저널] 그래도 가야 할 길 | 18-12-21 |
1260 | [한국경제] 국민건강보험 약가제도 다양화해야 | 18-12-21 |
1259 | [문화일보] 한반도 新경제보다 北제재 집중할 때 | 18-12-21 |
1258 | [세계일보] 남북관계 숨고르기로 부작용도 살펴야 | 18-12-21 |
1257 | [미래한국] 9·19 남북군사합의 국민 대토론회....文정부의‘탈미통북’ 이대로는 안 .. | 18-12-11 |
1256 | [디지털타임스] 기업, 정부만능주의 희생양 돼선 안 된다 | 18-12-11 |
1255 | [디지털타임스] 카드수수료 인하는 `돌려막기 정치`다 | 18-12-11 |
1254 | [조선일보] 서울대 공대·자연대 대학원이 무너진다 | 18-12-07 |
1253 | [문화일보] 삼성바이오로직스 사태와 한국 자본시장 퇴행 | 18-12-07 |
1252 | [문화일보] 내년 靑年일자리 50만개 필요한데… | 18-11-26 |
1251 | [미래한국] 文정부, 경제팀 경질이 능사가 아니다 | 18-11-26 |
1250 | [문화일보] 경사노委 공정성 이미 의심받고 있다 | 18-11-26 |
1249 | [문화일보] 한·미 동맹과 대한민국 정체성 위기 | 18-11-26 |
1248 | [조선일보] 디지털 독재로 '中國夢' 이루겠다는 시진핑 | 18-11-23 |
1247 | [매일경제] 크고 무능한 정부를 우려함 | 18-11-22 |
1246 | [문화일보] 안보 위협하는 심각한 ‘北 동조 현상’ | 18-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