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식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조화사회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고령화 추세 따라 고갈될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하고 수급권 축소하고
다층연금체계 세우도록 도와야"
누군가가 “국민연금 제대로 받을 수 있어요?”라고 물어 오면 “다 못 받는다”라고 답변한다. 묻는 이들도 제대로 받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래도 소위 연금 전공자인 필자에게 긍정적인 답변을 듣고 위안 받기를 원하는지 모른다. 정부는 연금을 못 주는 일이 당장 일어날 것은 아니니까 매우 강하게 “다 보장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제대로 받을 수 있을 확률은 17일 발표될 국민연금제도개선위원회의 보고서에서 유추되는 바와 같이 거의 ‘제로’다. 구조적으로 낸 것보다 더 많이 받아가도록 돼 있고 그 차이도 정부가 통상적 증세로 메울 수 있는 수준이 아니어서다.
국민이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면 법으로 보장된 수급권이 발생한다. 이 수급권은 국민연금 수지의 흑자·적자에 관계없이 사망 시까지 보장된다. 수급자는 오래 살면 살수록 좋다. 국민 된 입장에서 정부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존재다. 따라서 노후 불안시대에 국민은 연금 약속을 철석같이 믿고 보험료를 낸다.
국민연금은 본인이 낸 보험료로 조성된 국민연금기금의 원리합계로 지급돼야 하는데, 사실 이런 방식으로는 급여가 턱없이 모자란다. 따라서 임시방편으로 자신의 연금을 적립하기 바쁜 근로자들의 보험료로 모인 기금의 몫까지 털어서 충당해야 한다. 현재 근로자들이 노인이 돼 받을 연금도 후배 근로자들이 낸 보험료로 상당 부분 충당돼야 한다. 밑돌 빼서 윗돌 괴는 다단계 폰지게임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폰지게임의 파산 리스크는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혹은 기금수익률이 떨어지면서 더 가중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저출산이 동시에 고속으로 진행되는 상황이어서 이제는 무엇부터 해야 할지 결정하고 신속히 움직여야 한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212 | [서울신문] 민심 이반의 법칙에서 벗어나려면 | 18-09-12 |
1211 | [아시아경제] 한국식 지배구조 모델인 가족기업 장점 살리자 | 18-09-07 |
1210 | [한국경제] 공정위의 전속고발권 포기 성급했다 | 18-09-07 |
1209 | [경향신문] 시장·현장 중시하는 에너지정책 기대하며 | 18-09-07 |
1208 | [매일경제] 개헌 말고도 할 일 많다 | 18-08-30 |
1207 | [매일신문] 소득주도성장이 좋은 정책으로 거듭나려면 | 18-08-30 |
1206 | [문화일보] 국가통계 왜곡은 ‘국기 문란’범죄다 | 18-08-30 |
1205 | [세계일보] 北 종전선언 집착에 숨겨진 의도 | 18-08-30 |
1204 | [아시아경제] 평화적 북핵폐기의 지름길 '최대압박' | 18-08-24 |
1203 | [문화일보] ‘정책 人災’ 더 키울 자영업 대책 | 18-08-23 |
1202 | [한국경제] 국민연금, 더 내고 덜 받는 개혁 합의해야 | 18-08-23 |
1201 | [파이낸셜뉴스] 실패라고 공격받는 문정부 경제정책, 2년차에 바란다 | 18-08-23 |
1200 | [데일리한국] 문재인 정부 당면 과제, 해법은 무엇인가 | 18-08-23 |
1199 | [문화일보] 평양 회담에서 납북자 문제 제기해야 | 18-08-23 |
1198 | [중앙일보]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정답 집착하는 한국 교육, 미래 인재 양성은 ‘나 .. | 18-08-13 |
1197 | [조선일보] 대한민국 70주년에 생각하는 '한반도 창조'의 새 길 | 18-08-08 |
1196 | [경기일보] 청년이 움직인다 | 18-08-08 |
1195 | [매일경제] '사상 최대 호황' 미국은 최저임금 10년째 동결 | 18-08-08 |
1194 | [이투뉴스] 충격은 쌓기보다 방출하는 것이 건강하다 | 18-07-30 |
1193 | [세계일보] 북핵 폐기, 만전지계 세워야 | 18-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