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평양 회담에서 납북자 문제 제기해야
 
2018-08-23 13:41:10

◆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원장은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송갑석 의원이 북한에 납치된 우리 국민을 ‘납북자(拉北者)’가 아닌 ‘실종자’로 변경하자는 법안을 발의했고, 동료 의원 11명도 서명했다. ‘북한 측에서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단어’라는 이유다. 우리 국민보다 북한의 비위 맞추는 것을 더욱 중요시한 것이다.

현 정부는 ‘사람 중심’을 강조한다. 사람 중심 경제라면서 기업 사정은 상관없이 최저임금을 급격히 올리고, 개인의 존엄성과 가치를 강조하며 ‘저녁이 있는 삶’을 권장한다. 그런데 유독 북한 정권에 대해서는 사람 중심이 아니다. 세계 최악의 인권유린 실태나 비민주적인 통치 행위에 대해선 비난하지 않는다. 탈북자들이나 납북 당한 우리 국민의 생활이나 안위에는 소홀하다. 김정은에 대해 ‘국무위원장’이라는 존칭을 깍듯이 쓰면서 대화를 통한 관계 개선에 골몰한다. 

반면에 일본은 대북 관계에서 납북자가 최우선이다. 17명 중 송환되지 않은 12명을 해결하지 않으면 협상도 없다는 입장이다. 미·북 정상회담 전 워싱턴을 방문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꼭 제기하도록 당부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비핵화에 대한 초점이 흐려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6·12 ‘싱가포르 합의’에 전사자 유해 송환 문제를 포함시켰고, 55개의 유해 상자를 인도받은 것을 너무나 기뻐했다. 국내 진보 인사들은 일본이나 미국이 오히려 대소사(大小事)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일본과 미국의 지식인들은 민주주의 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고 항변할 것이다. 노동자·여성·약자의 인권을 강조하는 자칭 진보 인사들이 어째서 납북자나 북한 주민의 인권에 관해서는 침묵하는가?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205 [세계일보] 北 종전선언 집착에 숨겨진 의도 18-08-30
1204 [아시아경제] 평화적 북핵폐기의 지름길 '최대압박' 18-08-24
1203 [문화일보] ‘정책 人災’ 더 키울 자영업 대책 18-08-23
1202 [한국경제] 국민연금, 더 내고 덜 받는 개혁 합의해야 18-08-23
1201 [파이낸셜뉴스] 실패라고 공격받는 문정부 경제정책, 2년차에 바란다 18-08-23
1200 [데일리한국] 문재인 정부 당면 과제, 해법은 무엇인가 18-08-23
1199 [문화일보] 평양 회담에서 납북자 문제 제기해야 18-08-23
1198 [중앙일보]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정답 집착하는 한국 교육, 미래 인재 양성은 ‘나 .. 18-08-13
1197 [조선일보] 대한민국 70주년에 생각하는 '한반도 창조'의 새 길 18-08-08
1196 [경기일보] 청년이 움직인다 18-08-08
1195 [매일경제] '사상 최대 호황' 미국은 최저임금 10년째 동결 18-08-08
1194 [이투뉴스] 충격은 쌓기보다 방출하는 것이 건강하다 18-07-30
1193 [세계일보] 북핵 폐기, 만전지계 세워야 18-07-27
1192 [문화일보] 을지연습마저 미룬 위험한 脫안보 18-07-27
1191 [데일리한국] 여당 새 대표와 개각, 한국당의 살길은 18-07-26
1190 [매일경제] 가짜는 가라 18-07-19
1189 [헌정지] 2국가체제와 공존질서 제도화 문제 18-07-13
1188 [경기일보] 128 : 1 18-07-10
1187 [한국경제] '한반도 新경제지도 구상'이 성공하려면 18-07-06
1186 [서울경제] ‘북핵 폐기’의 길 18-07-06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