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통일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인 조영기 연구회장의 한국경제 칼럼입니다.
北 체제전환 없는 經協 '사상누각'
'열린사회'로의 이행 전제되고
지속가능한 개혁·개방 보여줘야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문재인 정부의 대북(對北) 경제정책인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이 주목받고 있다. 남북한 당국은 지난달 1일 판문점에서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4·27 판문점 선언의 후속조치 이행계획에 합의했고, 이를 토대로 철도·도로·산림협력 분과회의를 잇달아 열었다. 우리는 벌써부터 철도·도로 연결 및 그 결과로 예상할 수 있는 ‘경제적 환상’에 들뜬 분위기가 역력하다.
우리는 ‘신경제지도 구상’의 훈풍이 지속돼 마침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 구상의 맹점은 ‘우리의 선의에 북한이 선의로 응답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북한은 우리의 선의를 악용해 비슷한 경제구상들을 무력화시킨 전력이 있다. 우리가 제안한 경제구상이 물거품이 되곤 한 것은 북한이 몽니를 부리면 경제구상 자체가 한발짝도 움직일 수 없는 구조 아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북한이 몽니를 부릴 수 없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대북정책의 핵심이라는 점을 방증한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전략적 행보가 절실한 이유다.
기존 대북 경제구상들은 북한의 체제변화에 대한 전략 없이 오직 발전 전략에만 초점을 맞췄다. 체제변화 전략이 없는 대북 경제구상은 실패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 교훈도 애써 무시했다. 이는 그동안의 대북정책이 실패가 분명한 상태에서 추진돼왔다는 점을 역설한다. 북한의 체제변화 전략을 기초로 발전 전략에 대한 구상을 수립해야 하는 이유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205 | [세계일보] 北 종전선언 집착에 숨겨진 의도 | 18-08-30 |
1204 | [아시아경제] 평화적 북핵폐기의 지름길 '최대압박' | 18-08-24 |
1203 | [문화일보] ‘정책 人災’ 더 키울 자영업 대책 | 18-08-23 |
1202 | [한국경제] 국민연금, 더 내고 덜 받는 개혁 합의해야 | 18-08-23 |
1201 | [파이낸셜뉴스] 실패라고 공격받는 문정부 경제정책, 2년차에 바란다 | 18-08-23 |
1200 | [데일리한국] 문재인 정부 당면 과제, 해법은 무엇인가 | 18-08-23 |
1199 | [문화일보] 평양 회담에서 납북자 문제 제기해야 | 18-08-23 |
1198 | [중앙일보]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정답 집착하는 한국 교육, 미래 인재 양성은 ‘나 .. | 18-08-13 |
1197 | [조선일보] 대한민국 70주년에 생각하는 '한반도 창조'의 새 길 | 18-08-08 |
1196 | [경기일보] 청년이 움직인다 | 18-08-08 |
1195 | [매일경제] '사상 최대 호황' 미국은 최저임금 10년째 동결 | 18-08-08 |
1194 | [이투뉴스] 충격은 쌓기보다 방출하는 것이 건강하다 | 18-07-30 |
1193 | [세계일보] 북핵 폐기, 만전지계 세워야 | 18-07-27 |
1192 | [문화일보] 을지연습마저 미룬 위험한 脫안보 | 18-07-27 |
1191 | [데일리한국] 여당 새 대표와 개각, 한국당의 살길은 | 18-07-26 |
1190 | [매일경제] 가짜는 가라 | 18-07-19 |
1189 | [헌정지] 2국가체제와 공존질서 제도화 문제 | 18-07-13 |
1188 | [경기일보] 128 : 1 | 18-07-10 |
1187 | [한국경제] '한반도 新경제지도 구상'이 성공하려면 | 18-07-06 |
1186 | [서울경제] ‘북핵 폐기’의 길 | 18-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