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7-02 14:23:03
◆김원식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조화사회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정부 뜻대로 기업 통제하면 안돼
지배구조는 개별 기업에 맡기고
장기성장 '근력' 키우도록 도와야
국민연금기금의 실질적 운영 책임을 지고 있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대한항공에 공문을 보냈다. 기금운영위원회 명의로 12.4%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주주로서, 관련 자료와 경영진 면담을 요청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 앞으로 기금운용에 스튜어드십 코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겠다고 했다. 그동안 논란이 돼온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과 관련한 최적의 사례가 대한항공이 된 것이다.
절차나 법률적 문제를 떠나 한 기업 경영권자의 가족이 일으킨 사태로 인해 정부가 공개적으로 경고를 하는 것은 기업과 그 기업의 직원들에 대한 망신 주기와 다르지 않다. 갑과 을의 관계에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보다는 을에게 갑질을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고용관계를 다루는 고용노동부 장관도 아니고 국민연금기금의 최고 책임자가 이런 조치를 하는 것은 정부가 사실상 투자대상 기업들을 정부기업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튜어드십 코드의 적용은 국민연금기금이 투자하고 있는 전체 민간 기업을 정부의 입맛에 맞게 통제하겠다는 것이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185 | [문화일보] 공평·정의 원칙도 어긴 ‘핀셋 增稅’ | 18-07-05 |
1184 | [신아세아] 북핵 위협과 한국 대비태세의 격차 원인 규명: 오인식의 개입 여부를 중.. | 18-07-05 |
1183 | [서울경제] 안보·경제 쌍끌이 먹구름에 대비해야 | 18-07-04 |
1182 | [문화일보] 美의회도 비판한 文정부 北인권 외면 | 18-07-02 |
1181 | [한국경제] 스튜어드십 주주권 행사 시급하지 않다 | 18-07-02 |
1180 | [아시아경제] '경협주도성장론'의 성공 조건 | 18-06-27 |
1179 | [미래한국] 남북 경협과 안보 교환 모델이 불안하다 | 18-06-25 |
1178 | [데일리안] 나는 통일보다 안보, 통일보다 자유 택하겠다 | 18-06-21 |
1177 | [여성신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은 시대정신이다 | 18-06-21 |
1176 | [데일리한국] 6ㆍ13 지방선거 변수와 함의 | 18-06-21 |
1175 | [서울신문] 6·13 지방선거 ‘정초 선거’ 되나? | 18-06-21 |
1174 | [문화일보] 미국의 對韓 안보 공약 믿을 수 있나 | 18-06-21 |
1173 | [세계일보] ‘북핵 협상’에서 북한이 얻은 것 | 18-06-21 |
1172 | [경기일보] 120%의 경기도 | 18-06-15 |
1171 | [헌정지] 북한에서 중국식 개혁개방은 성공할 것인가 | 18-06-08 |
1170 | [문화일보] 지방은 없고 善心만 판치는 지방선거 | 18-06-05 |
1169 | [데일리한국] 문재인 대통령 국정 1년 평가 | 18-06-05 |
1168 | [문화일보] 北核폐기는 먼 길, 안보 더 강화해야 | 18-06-05 |
1167 | [이코노미톡뉴스] 통일이 안되는 이유? "통일과 안전(안보)의 상충성" | 18-06-05 |
1166 | [아시아경제] 북핵 폐기에 관한 우리의 전략은 | 18-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