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6·13 지방선거가 이제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전국 규모의 선거로 중간 평가 성격을 띤다. 하지만 여론조사 공표 금지 이전에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여권의 압승으로 귀결될 조짐이 크다. 광역단체장 방송 3사 여론조사(6월 2~5일)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대구·경북과 제주 3곳을 뺀 14곳에서 상당히 큰 격차로 야당 후보에게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 투표 바로 전날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 보수 야당의 분열, 대통령과 민주당의 이례적인 높은 지지도 등 여권의 호재가 널려 있었기 때문이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이 광역단체장 16곳 중 12곳에서 승리했는데 이번에 역대 최대 승리 기록이 깨질 수도 있다. 통상 새 정부가 출범한 지 일 년 정도 지나면 유권자는 정부가 경제를 잘 이끌었는지를 기준으로 ‘회고적 투표’를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판문점 선언 등 굵직한 대형 이슈로 민생 경제 이슈는 변수가 되지 못했다. 선거는 뚜껑을 열어 봐야 알지만 세 가지 관전 포인트가 존재한다.
첫째, 누가 투표에 참여할지가 관건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실시한 유권자 의식조사(5월 16~17일)에 따르면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 의사층’이 70.8%로 나타나 지난 4년 전보다 15.1%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014년 지방선거에서는 ‘적극 투표 의사층’이 55.8%였는데, 실제 투표율은 56.8%였다. 이런 추세가 재연된다면 이번 선거 투표율은 70% 정도로 예상된다. 하지만 투표율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어느 세대가 투표장으로 갈지 여부다. 30대 적극 투표층이 42.5%에서 75.7%로 30.5% 포인트 상승한 반면, 보수 성향이 강한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74.7→77.7%). 실제 투표에서 현 여권에 우호적인 30대가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고, 전통적으로 보수 야당을 지지했던 60대 이상 연령층이 소극적으로 참여하면 여론조사 결과가 실제로 나타날 개연성이 크다. 그런데 세대별 투표율 분석은 이번 지방선거의 성격을 가늠해 보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유권자들은 야권의 ‘민생 파탄 정부 심판론’보다 여권의 ‘적폐 심판론’에 더 동조하는 것 같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185 | [문화일보] 공평·정의 원칙도 어긴 ‘핀셋 增稅’ | 18-07-05 |
1184 | [신아세아] 북핵 위협과 한국 대비태세의 격차 원인 규명: 오인식의 개입 여부를 중.. | 18-07-05 |
1183 | [서울경제] 안보·경제 쌍끌이 먹구름에 대비해야 | 18-07-04 |
1182 | [문화일보] 美의회도 비판한 文정부 北인권 외면 | 18-07-02 |
1181 | [한국경제] 스튜어드십 주주권 행사 시급하지 않다 | 18-07-02 |
1180 | [아시아경제] '경협주도성장론'의 성공 조건 | 18-06-27 |
1179 | [미래한국] 남북 경협과 안보 교환 모델이 불안하다 | 18-06-25 |
1178 | [데일리안] 나는 통일보다 안보, 통일보다 자유 택하겠다 | 18-06-21 |
1177 | [여성신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은 시대정신이다 | 18-06-21 |
1176 | [데일리한국] 6ㆍ13 지방선거 변수와 함의 | 18-06-21 |
1175 | [서울신문] 6·13 지방선거 ‘정초 선거’ 되나? | 18-06-21 |
1174 | [문화일보] 미국의 對韓 안보 공약 믿을 수 있나 | 18-06-21 |
1173 | [세계일보] ‘북핵 협상’에서 북한이 얻은 것 | 18-06-21 |
1172 | [경기일보] 120%의 경기도 | 18-06-15 |
1171 | [헌정지] 북한에서 중국식 개혁개방은 성공할 것인가 | 18-06-08 |
1170 | [문화일보] 지방은 없고 善心만 판치는 지방선거 | 18-06-05 |
1169 | [데일리한국] 문재인 대통령 국정 1년 평가 | 18-06-05 |
1168 | [문화일보] 北核폐기는 먼 길, 안보 더 강화해야 | 18-06-05 |
1167 | [이코노미톡뉴스] 통일이 안되는 이유? "통일과 안전(안보)의 상충성" | 18-06-05 |
1166 | [아시아경제] 북핵 폐기에 관한 우리의 전략은 | 18-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