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통일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인 조영기 연구회장의 서울경제 칼럼입니다.
단계적 비핵화는 평화위장 속셈
북핵 폐기전 압박끈 놓지않아야
한반도 진정한 평화·번영 가능
판문점 선언의 화해 분위기는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판 깨기로 전환됐다. 북한의 판 깨기는 수세적 국면을 공세적 국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의도된 기획물이다. 물론 의도된 기획은 북한이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선 제압(outmaneuvering)으로 유리한 협상 결과를 얻기 위해 자주 활용하던 전술이다. 판문점 선언 후 3주 만에 한국과 미국을 향한 북한의 판 깨기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을 향해 정례적 한미 연합훈련인 맥스 선더 훈련과 태영호 전 주영 북한공사의 자서전 ‘3층 서기실의 암호’ 발간을 빌미로 지난 16일로 예정됐던 남북 고위급회담을 일방적으로 연기하고 23~25일로 예정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이벤트 참관에 대한 한국 기자의 입북에 몽니를 부리다가 뒤늦게 허용하는 촌극도 연출했다. 그리고 미국에 대해 “일방적인 핵 포기만 강요하려고 하면 북미 정상회담에 응할지 재고려할 것”이라면서 벼랑 끝 전술을 구사하고 나섰다.
북한의 판 깨기에도 미국은 일관된 기조로 대응하고 있다. 23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일괄타결(all-in one) 방식의 비핵화를 재확인했다. 그리고 미국은 ‘특정 조건이 충족’돼야만 회담 개최가 가능하다는 입장도 처음으로 언급했다. 물론 미국은 북한이 CVID 수용시 ‘체제 안전보장과 경제적 지원을 통한 번영’이라는 당근을 제시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165 | [이코노미톡뉴스] "북한의 체제안전보장"이 무슨 의미인가? | 18-05-29 |
1164 | [서울경제] 일괄타결의 완전한 비핵화가 답이다 | 18-05-25 |
1163 | [매일경제] 제복이 흔들린다 | 18-05-25 |
1162 | [평화포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정상외교의 전망 | 18-05-21 |
1161 | [아시아경제] '판문점 선언' 이후의 과제 | 18-05-18 |
1160 | [경기일보] 하르츠 개혁이 주는 교훈 | 18-05-18 |
1159 | [한국경제] 민간 기업은 정부 기업이 아니다 | 18-05-18 |
1158 | [세계일보] 판문점 선언 후 남북관계는 | 18-05-08 |
1157 | [중앙일보]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AI가 지도하자 ‘수학 포기자’ 성적 28% 올랐다 | 18-05-08 |
1156 | [문화일보] 평화협정에 속았던 역사의 敗者들 | 18-05-03 |
1155 | [아시아경제] 한반도 평화선언 '걱정은 미리, 경축은 늦게' | 18-04-30 |
1154 | [서울경제] 한반도 봄의 시작은 ‘북핵 폐기’다 | 18-04-30 |
1153 | [조선일보] 文대통령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 18-04-30 |
1152 | [중앙일보] “북한 핵 폐기 없는 평화협정은 위험한 함정” | 18-04-27 |
1151 | [한국경제] 北核 폐기에 집중할 때다 | 18-04-19 |
1150 | [매일경제] 일자리 추경, 청년표심 노린 정치적 추경 아니기를 | 18-04-19 |
1149 | [이투뉴스] 제도적 상상력과 정책적 지혜 | 18-04-19 |
1148 | [아시아경제] 대남유화노선을 경계해야 한다 | 18-04-16 |
1147 | [문화일보] 최악 失業사태 불러온‘역주행 정책’ | 18-04-13 |
1146 | [문화일보] 한·미 ‘北 기만책 봉쇄’ 힘 모을 때다 | 18-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