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한국경제] 北核 폐기에 집중할 때다
 
2018-04-19 15:30:28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통일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인 조영기 연구회장의 한국경제 칼럼입니다. 


"終戰논의 축복" 남북 해빙기류 
'北核 완전한 폐기' 잊지 말고 
정상회담에서 확답 받아내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2018년 신년사는 ‘신의 한 수’였다.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도발로 야기된 국제공조 제재와 압박을 단숨에 유화 모드로 전환시켰기 때문이다. 이런 유화 모드는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북한 예술단의 강릉·서울 공연, ‘봄이 온다’라는 부제(副題)가 붙은 우리 예술단의 평양 공연으로 이어졌고, 남북한 정상회담의 주제를 ‘평화, 새로운 시작’으로 결정하는 동력이 됐다. 또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남북 간 종전(終戰) 논의 축복”이란 뜻밖의 메시지까지 끌어내는 상황에 이르렀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 시기를 양측 간 원활한 협의를 전제로 ‘6월 초 또는 그 이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의 측근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 내정자 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지난 부활절 주말(현지시간 3월31일~4월1일)에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다고 전했다.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정세가 긍정적으로 흘러가는 듯한 모양새다. 

그러나 북한 매체는 핵보유를 국가전략으로 포장해 “핵은 절대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밝혀 왔다. 김정은 신년사의 골자는 ‘핵이 있는 상태에서의 대화와 경협’인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유화 모드에 취해 북핵 문제의 심각성을 잊고 있는 듯하다. ‘북핵 폐기’라는 남북 정상회담 본래의 목적이 사라지지 않았느냐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165 [이코노미톡뉴스] "북한의 체제안전보장"이 무슨 의미인가? 18-05-29
1164 [서울경제] 일괄타결의 완전한 비핵화가 답이다 18-05-25
1163 [매일경제] 제복이 흔들린다 18-05-25
1162 [평화포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정상외교의 전망 18-05-21
1161 [아시아경제] '판문점 선언' 이후의 과제 18-05-18
1160 [경기일보] 하르츠 개혁이 주는 교훈 18-05-18
1159 [한국경제] 민간 기업은 정부 기업이 아니다 18-05-18
1158 [세계일보] 판문점 선언 후 남북관계는 18-05-08
1157 [중앙일보]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AI가 지도하자 ‘수학 포기자’ 성적 28% 올랐다 18-05-08
1156 [문화일보] 평화협정에 속았던 역사의 敗者들 18-05-03
1155 [아시아경제] 한반도 평화선언 '걱정은 미리, 경축은 늦게' 18-04-30
1154 [서울경제] 한반도 봄의 시작은 ‘북핵 폐기’다 18-04-30
1153 [조선일보] 文대통령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18-04-30
1152 [중앙일보] “북한 핵 폐기 없는 평화협정은 위험한 함정” 18-04-27
1151 [한국경제] 北核 폐기에 집중할 때다 18-04-19
1150 [매일경제] 일자리 추경, 청년표심 노린 정치적 추경 아니기를 18-04-19
1149 [이투뉴스] 제도적 상상력과 정책적 지혜 18-04-19
1148 [아시아경제] 대남유화노선을 경계해야 한다 18-04-16
1147 [문화일보] 최악 失業사태 불러온‘역주행 정책’ 18-04-13
1146 [문화일보] 한·미 ‘北 기만책 봉쇄’ 힘 모을 때다 18-04-13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