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한국일보] 공동체 자유주의로 낡은 보수 구해내다
 
2018-03-05 14:41:29

◆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의 위공 박세일 선생관련 한국일보 칼럼입니다. 

 

<2> 박세일의 ‘대한민국 선진화 전략’ 

#현실정치 뛰어든 참여적 지식인

“부유한 국민과 소프트파워 강국”

선진화 통한 富民德國 비전 제시


사상과 이념은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이념에 따른 보수사상과 진보사상의 구분은 철학사상과 사회사상, 서양사상과 동양사상의 분류처럼 사상을 나누는 중요한 기준의 하나다.

그렇다면 지난 100년 우리 역사에서 보수 이념을 대표하는 사상가는 누구일까. 가장 먼저 주목하고 싶은 이는 박세일(1948~2017)이다.

까닭은 두 가지다. 첫째, 박세일은 보수 담론의 일대 혁신을 모색했다. 그 개혁 담론이 ‘선진화론’이다. 둘째, 박세일은 학문과 정치를 결합한 대표적인 경세가(輕世家)였다. 경세가란 뜻을 이룰 상황이면 세상에 나아가 경륜을 펼치지만, 그렇지 않으면 물러나 학문에 전력하는 이를 말한다. 조선시대 정도전과 이이는 경세가의 전형이었다. 지식인의 정체성과 정치인의 정체성을 모두 가졌던 이가 박세일이다.

지식인 박세일은 서울대에서 법경제학을 가르치는 교수였다. 기회가 주어지면 그는 정치사회로 나갔다. 김영삼 정부 청와대 수석비서관, 한나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정당 국민생각 대표가 그 사례였다. 정치인 박세일에겐 영광과 좌절이 공존했다. 그러나 지식인 박세일이 발표한 선진화론은 우리나라 미래를 위한 개혁 담론에 큰 영향을 미쳐 왔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132 [매일경제] 스피넘랜드법의 교훈 18-03-08
1131 [한국경제] 비핵화(非核化) 없는 정상회담은 의미 없다 18-03-08
1130 [한국일보] 공동체 자유주의로 낡은 보수 구해내다 18-03-05
1129 [아시아경제] 평창 이후 피아구분ㆍ한미동맹 강화의 필요성 18-03-02
1128 [문화일보] IMF도 권고한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18-02-26
1127 [세계일보] 올림픽 흥분 가라앉히고 비핵화 매진해야 18-02-23
1126 [경기일보] 적폐청산의 2가지 문제 18-02-19
1125 [한국경제] '멋대로 증액' 위한 예산법률주의 안돼 18-02-19
1124 [아시아경제] 핵없는 평화가 진짜 평화다 18-02-19
1123 [한국경제] 평창 이후 대북제재 늦춰선 안된다 18-02-08
1122 [중앙선데이] 족집게 AI가 ‘수포자’ 지도하자 평균 성적 28% 뛰었다 18-02-05
1121 [중앙선데이] 69개 학과 폐지하고 30개로 융합, 인류학 대신 ‘인간진화와 사회변화’ 18-02-05
1120 [문화일보] 北 열병식과 ‘남북 상호주의’ 붕괴 18-01-31
1119 [국방연구] 북핵의 군사적 활용 시 예상되는 북한의 핵전략 분석 18-01-29
1118 [동아일보] 희생으로 성공한 대통령을 보고 싶다 18-01-26
1117 [매일경제] 최저임금 동결이 중요한 이유들 18-01-26
1116 [매일경제] 안이 스스로 무너질 겁니다 18-01-25
1115 [경기일보] 킹핀이 빠진 권력기관 개편 18-01-22
1114 [아시아경제] 남북 고위급 회담이 남긴 숙제 18-01-16
1113 [헌정지] 전쟁불가론과 전쟁불가피론의 현주소 18-01-12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