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한국경제] '멋대로 증액' 위한 예산법률주의 안돼
 
2018-02-19 13:39:25

◆김원식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조화사회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예산 증액 시 정부동의권' 삭제? 
'의회 포퓰리즘'만 성행하게 될 것"


현행 대통령 중심의 권력구조를 분산하기 위한 헌법 개정이 논의되는 가운데 여당은 ‘예산법률주의’ 도입을 당론으로 결정했다. 즉 헌법 59조의 조세법률주의에서 더 나아가 지출예산도 국회에서 통제하겠다는 것이다. 어떤 정책이든 예산을 수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회가 예산결정권을 강화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권력구조를 분산하는 의미가 있다.
 
2018년도 정부 예산은 작년보다 7.1% 늘어난 429조원이다. 복지 부문의 예산 증가율이 12.5%로 가장 높다. 올해 성장률은 높아야 3% 초반 수준일 텐데 예산 증가율은 이를 두 배나 웃돈다. 앞으로 복지 부문 예산은 더 급속히 늘어나고 예산 증가율이 현재보다 낮아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정부의 대선공약 이행 의지가 워낙 강해 직접적 공약비용 외에 ‘최저임금 인상’ 등에서 보듯이 공약 이행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더 많은 재정이 소요될 것이다. 그리고 정부 부채는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다. 

국가적으로 볼 때 어떤 형태로든 정부 지출을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지출을 국회가 더 면밀히 검토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법률로 규정하는 예산법률주의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국회가 정부의 무분별한 예산 증액을 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예산 증액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여당은 예산법률주의를 도입하면서 예산을 증액할 수 없도록 한 헌법 57조 조항을 삭제한다는 방침이다. 즉 정부가 편성한 예산을 현행과 같이 수용하되 자신들의 예산도 포함시킴으로써 ‘누이 좋고 매부 좋게’ 하자는 것이 여당 개헌위원회의 예산법률주의인 것이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125 [한국경제] '멋대로 증액' 위한 예산법률주의 안돼 18-02-19
1124 [아시아경제] 핵없는 평화가 진짜 평화다 18-02-19
1123 [한국경제] 평창 이후 대북제재 늦춰선 안된다 18-02-08
1122 [중앙선데이] 족집게 AI가 ‘수포자’ 지도하자 평균 성적 28% 뛰었다 18-02-05
1121 [중앙선데이] 69개 학과 폐지하고 30개로 융합, 인류학 대신 ‘인간진화와 사회변화’ 18-02-05
1120 [문화일보] 北 열병식과 ‘남북 상호주의’ 붕괴 18-01-31
1119 [국방연구] 북핵의 군사적 활용 시 예상되는 북한의 핵전략 분석 18-01-29
1118 [동아일보] 희생으로 성공한 대통령을 보고 싶다 18-01-26
1117 [매일경제] 최저임금 동결이 중요한 이유들 18-01-26
1116 [매일경제] 안이 스스로 무너질 겁니다 18-01-25
1115 [경기일보] 킹핀이 빠진 권력기관 개편 18-01-22
1114 [아시아경제] 남북 고위급 회담이 남긴 숙제 18-01-16
1113 [헌정지] 전쟁불가론과 전쟁불가피론의 현주소 18-01-12
1112 [신동아] 대만 비밀 核개발 전모 18-01-10
1111 [한국경제] '북한 평창 참가'가 전부일 수 없다 18-01-09
1110 [매일경제] 퇴직연금 혁신이 절실한 이유 18-01-04
1109 [문화일보] 일자리도 미래도 빠진 經濟정책 방향 18-01-04
1108 [경기일보] 지방자치 하자면서요? 18-01-04
1107 [문화일보] 국방 R&D ‘발상의 전환’ 시급하다 18-01-04
1106 [동아일보] 통일 ‘내가 맘먹을 탓입니다’ 18-01-0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