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중앙선데이] 족집게 AI가 ‘수포자’ 지도하자 평균 성적 28% 뛰었다
 
2018-02-05 14:27:39

◆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장으로 활동 중인 이주호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의 중앙선데이 칼럼입니다. 


이주호 전 교육부 장관의 애리조나주립대 리포트

기초학력 끌어올리는 '적응학습'

생물·미시경제학서도 놀라운 성과


온라인 수업에 3만 4000명 참여

세계 어디서든 1학년 강의 수강 땐

학부 2학년으로 자동 입학 가능

한국도 유학생 선발 때 참고할 만

 

지난달 26일 오전 미국 애리조나주 스콧데일에 있는 스카이송(SkySong)이란 교육·연구·창업단지 내 에듀플러스(EduPlus) 빌딩을 찾았다. 애리조나주립대(ASU)가 세운 비영리기업(ASU Enterprise Partner)의 릭 생그로(Rick Shangrow) 대표(전 연구부총장)의 안내를 받았다. 그는 스카이송에 입주한 130여 개 첨단 교육공학 벤처기업을 지원한다.  

생그로 대표는 이날 “인공지능(AI)이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에 맞춰 개별화된 학습 경로를 제공하는 ‘적응학습(adoptive learning)’을 기초학문에서 도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학은 대학 신입생 과정인 대수학(algebra) 과목에서 미국 출판 및 학습과학 기업인 맥그로힐에듀케이션(McGraw Hill Education)이 개발한 ALEKS 시스템을 도입한다. ALEKS의 AI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을 평가하고, 장점과 약점을 찾아내 각각에 맞는 학습 방법을 제공해 수학을 마스터하게 한다. 적응학습의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2016년 이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기초수학 역량을 갖추지 못한 학생들의 성적이 평균 28% 향상됐다. 수학뿐이 아니다. 생물학의 경우 교육기업인 코그북스(CogBooks)가 개발한 적응학습을 2015년 도입한 결과 봄학기 20%였던 탈락률이 1.5% 줄었고, C 학점 미만의 비율이 28%에서 6%로 감소했다. 미시경제학도 2017년 적응학습을 도입한 결과 첫 시험에서 C 학점 미만 학생 비율이 38%에서 11%로 낮아졌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125 [한국경제] '멋대로 증액' 위한 예산법률주의 안돼 18-02-19
1124 [아시아경제] 핵없는 평화가 진짜 평화다 18-02-19
1123 [한국경제] 평창 이후 대북제재 늦춰선 안된다 18-02-08
1122 [중앙선데이] 족집게 AI가 ‘수포자’ 지도하자 평균 성적 28% 뛰었다 18-02-05
1121 [중앙선데이] 69개 학과 폐지하고 30개로 융합, 인류학 대신 ‘인간진화와 사회변화’ 18-02-05
1120 [문화일보] 北 열병식과 ‘남북 상호주의’ 붕괴 18-01-31
1119 [국방연구] 북핵의 군사적 활용 시 예상되는 북한의 핵전략 분석 18-01-29
1118 [동아일보] 희생으로 성공한 대통령을 보고 싶다 18-01-26
1117 [매일경제] 최저임금 동결이 중요한 이유들 18-01-26
1116 [매일경제] 안이 스스로 무너질 겁니다 18-01-25
1115 [경기일보] 킹핀이 빠진 권력기관 개편 18-01-22
1114 [아시아경제] 남북 고위급 회담이 남긴 숙제 18-01-16
1113 [헌정지] 전쟁불가론과 전쟁불가피론의 현주소 18-01-12
1112 [신동아] 대만 비밀 核개발 전모 18-01-10
1111 [한국경제] '북한 평창 참가'가 전부일 수 없다 18-01-09
1110 [매일경제] 퇴직연금 혁신이 절실한 이유 18-01-04
1109 [문화일보] 일자리도 미래도 빠진 經濟정책 방향 18-01-04
1108 [경기일보] 지방자치 하자면서요? 18-01-04
1107 [문화일보] 국방 R&D ‘발상의 전환’ 시급하다 18-01-04
1106 [동아일보] 통일 ‘내가 맘먹을 탓입니다’ 18-01-0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