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을 기고한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희망의 새해가 밝으면서 문재인 정부도 집권 2년 차에 접어들었다. 지난 연말 정부는 2018년에는 3% 실질 경제성장률을 달성해 1인당 명목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열고 32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2018년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3대 전략(일자리·소득, 혁신성장, 공정경제)과 2대 기반(중장기 대응, 거시경제 안정)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정책의 방향을 보면서 장단기적 시각에서 아쉬운 점이 적지 않다.
당장 관심을 끄는 것은 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단기정책 효과인 일자리 창출이 올해에도 지난해와 똑같은 32만 명에 그친다는 점이다. 이는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정도는 오히려 축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직접 늘리려는 공공부문 일자리를 고려하면 그만큼 민간 일자리 창출은 줄어든다. 공공 사회서비스에 2017년 대비 2만5000명을 늘리고, 공공기관 신규 채용 규모를 지난해 2만2000명 증가보다 많은 2만3000명 이상 늘리겠다고 한다. 이는 금융 공공기관(산은·수은·기은 등)을 중심으로 명예퇴직을 활성화해서 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정책에 의한 일자리 감소라는 구축효과(crowding out)는 고려하지 않은 듯하다.
이러한 노동시장 전망은 정부가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이라고 강변하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의 효과를 무색하게 한다. 즉,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성과급제 폐지, 노동시간 단축 등 정책을 시행하며 시장에서 추가적인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주장과 배치된다. 그뿐만 아니라, 정책에는 기왕에 발표된 국민 세금으로 최저임금 인상분 외에 근로시간 단축에 의한 기존 근로자 임금 감소분과 신규 채용에 대한 재정 지원도 있다. 결국, 50만 명 이상의 고학력자가 매년 배출되는 요즘 노동시장 구조를 볼 때 올해도 청년 고용 한파는 계속될 듯하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125 | [한국경제] '멋대로 증액' 위한 예산법률주의 안돼 | 18-02-19 |
1124 | [아시아경제] 핵없는 평화가 진짜 평화다 | 18-02-19 |
1123 | [한국경제] 평창 이후 대북제재 늦춰선 안된다 | 18-02-08 |
1122 | [중앙선데이] 족집게 AI가 ‘수포자’ 지도하자 평균 성적 28% 뛰었다 | 18-02-05 |
1121 | [중앙선데이] 69개 학과 폐지하고 30개로 융합, 인류학 대신 ‘인간진화와 사회변화’ | 18-02-05 |
1120 | [문화일보] 北 열병식과 ‘남북 상호주의’ 붕괴 | 18-01-31 |
1119 | [국방연구] 북핵의 군사적 활용 시 예상되는 북한의 핵전략 분석 | 18-01-29 |
1118 | [동아일보] 희생으로 성공한 대통령을 보고 싶다 | 18-01-26 |
1117 | [매일경제] 최저임금 동결이 중요한 이유들 | 18-01-26 |
1116 | [매일경제] 안이 스스로 무너질 겁니다 | 18-01-25 |
1115 | [경기일보] 킹핀이 빠진 권력기관 개편 | 18-01-22 |
1114 | [아시아경제] 남북 고위급 회담이 남긴 숙제 | 18-01-16 |
1113 | [헌정지] 전쟁불가론과 전쟁불가피론의 현주소 | 18-01-12 |
1112 | [신동아] 대만 비밀 核개발 전모 | 18-01-10 |
1111 | [한국경제] '북한 평창 참가'가 전부일 수 없다 | 18-01-09 |
1110 | [매일경제] 퇴직연금 혁신이 절실한 이유 | 18-01-04 |
1109 | [문화일보] 일자리도 미래도 빠진 經濟정책 방향 | 18-01-04 |
1108 | [경기일보] 지방자치 하자면서요? | 18-01-04 |
1107 | [문화일보] 국방 R&D ‘발상의 전환’ 시급하다 | 18-01-04 |
1106 | [동아일보] 통일 ‘내가 맘먹을 탓입니다’ | 18-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