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을 기고한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얼마 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정책을 제시했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의 성장 단계별 금융 지원, 신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 규제 샌드박스 제도 도입, 스마트시티 조성 등 정책을 강조했다. 아직 구체적인 정책이 나오지 않았지만, 소득 주도 정책으로 매우 단기적 정책 수단만을 강조하던 정책 기조에서 더 나아가 제시된 미래 지향적인 정책 방향이라고 하겠다.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한국의 경제 발전 전략 방향은 하락하는 성장 잠재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유일한 방안임을 부정할 수 없다.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노동 투입 한계와 저발전 단계에서와 같은 투자 증대가 어려운 현재 여건에서 과거형 발전 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런 방향의 정책 변화 필요성은 과거 정부에서도 끊임없이 주창돼왔다. 세계화, 혁신, 녹색성장, 창조 등 모두가 과거의 정책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정부 차원의 몸부림이었다.
수많은 정책 제시와 선언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구체적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국민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뭘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우리 스스로가 모순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50여년 동안에 달성한 한국 경제의 발전 패러다임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혁신을 부르짖으면서도 정부 주도형, 요소투입형, 하향식(top-down) 의사결정 과정, 계획형 정책 수립 등의 개발도상국 경제 발전형 사고방식에 머물러 있다. 과거 정부에서도 성장 잠재력 회복을 위해 혁신을 부르짖고 미래 지향적 발전 전략을 강조했지만 늘 과거의 정책 기조가 그대로 이어졌다. 금융 지원, 신산업 분야 규제 샌드박스 제도 도입, 청년층 창업 장려 등은 모두 정부가 정책 수단을 정하고 자신이 앞장서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누구를 지원하고 어떤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인가를 정부가 주도해 결정하고 정책을 하향식으로 추진하겠다는 얘기다. 경제 주체 간 자유로운 의사결정이나 상향식(bottom-up) 의사 전달 체계는 보이지 않는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085 | [매경이코노미] 미래 지향적 혁신 생태계정부는 지원 역할만 해야 | 17-10-31 |
1084 | [문화일보]"실적給 전환이 ‘노동 단축’ 선행조건" | 17-10-19 |
1083 | [동아일보]"이 귀중한 ‘64년간의 평화’" | 17-10-19 |
1082 | [이투뉴스] 결국은 가격이다 | 17-10-16 |
1081 | [문화일보] ‘6·25는 대리전’ 주장은 從北의 뿌리 | 17-10-13 |
1080 | [한국경제] "'대북 제재강화' 국제사회와 엇박자 안돼" | 17-10-11 |
1079 | [신동아]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는 옛말 되새길 때" | 17-10-11 |
1078 | [문화일보] "우파의 가치와 비전" | 17-09-29 |
1077 | [헌정지] "시진핑 제2기 체제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 | 17-09-27 |
1076 | [한국경제] "우파의 위기는 혁신의 기회이기도 하다" | 17-09-25 |
1075 | [문화일보] "‘군사력’ 배제된 北核외교는 신기루" | 17-09-20 |
1074 | [쿠키뉴스] "美 전술핵무기 재배치, 위험성에만 경도되어서는 곤란하다" | 17-09-20 |
1073 | [문화일보] "유엔 제재 허점 한·미 공조로 막아야" | 17-09-15 |
1072 | [데일리안] "전술핵무기 재배치에 대한 5가지 오해와 진실" | 17-09-12 |
1071 | [문화일보] "샌드박스 넘어 ‘脫규제 운동장’ 필요" | 17-09-12 |
1070 | [매경이코노미] "미래 세대에 부담 주는 확장 일변도 내년 예산" | 17-09-11 |
1069 | [아시아경제] "북한의 근본적 변화만이 답이다" | 17-09-05 |
1068 | [데일리안] "북의 수소폭탄 대응? 문 대통령의 결단만 남았다" | 17-09-05 |
1067 | [경북도민일보] "韓-日, 탄도미사일방어 격차 벌어진 이유(2)" | 17-09-05 |
1066 | [경북도민일보] "韓-日, 탄도미사일방어 격차 벌어진 이유(1)" | 17-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