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쿠키뉴스] "美 전술핵무기 재배치, 위험성에만 경도되어서는 곤란하다"
 
2017-09-20 13:19:18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원장은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美 전술핵무기 재배치, 위험성에만 경도되어서는 곤란하다


한국에서 북한의 핵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냉전 시대 배치되었던 미국의 전술핵무기(tactical nuclear weapons)를 재배치해야 한다는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지난 3일 북한이 수소폭탄 실험을 함에 따라 북한 핵무기로부터 한국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이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현재로서는 없다고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의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이를 당론화하여 주장하고 있고, 이를 요구하는 국민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서 지난 8~9일 사이에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국민의 68.2%가 전술핵무기 재배치를 찬성했다. 25.4%가 반대했으며 모름·무응답은 6.4%이다. 


미국에서는 비 전략핵무기(non-strategic nuclear weapons)라고 하는 전술핵무기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핵무기이다. 미국이나 러시아 등 주요 핵 강대국의 전략핵무기와 비교하면 사거리나 위력이 상대적으로 짧거나 작은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상대의 주요 도시가 아니라 적의 군대나 공격부대를 타격하여 일거에 소멸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 위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략핵무기의 교환, 즉 세계적 수준의 핵전쟁으로 악화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핵무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사용 가능성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핵탄두를 장착한 폭탄을 비행기로 운반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기는 하지만, 포탄, 지뢰, 어뢰 등에 핵탄두를 장착하는 형태도 존재한다. 핵배낭과 같이 사람이 운반할 수 있는 것도 있다. 그 위력도 TNT 수십 톤의 위력이거나 그보다 작은 것이 대부분이지만, 목적에 따라서 수백 톤의 위력을 가질 수 있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전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1085 [매경이코노미] 미래 지향적 혁신 생태계정부는 지원 역할만 해야 17-10-31
1084 [문화일보]"실적給 전환이 ‘노동 단축’ 선행조건" 17-10-19
1083 [동아일보]"이 귀중한 ‘64년간의 평화’" 17-10-19
1082 [이투뉴스] 결국은 가격이다 17-10-16
1081 [문화일보] ‘6·25는 대리전’ 주장은 從北의 뿌리 17-10-13
1080 [한국경제] "'대북 제재강화' 국제사회와 엇박자 안돼" 17-10-11
1079 [신동아]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는 옛말 되새길 때" 17-10-11
1078 [문화일보] "우파의 가치와 비전" 17-09-29
1077 [헌정지] "시진핑 제2기 체제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 17-09-27
1076 [한국경제] "우파의 위기는 혁신의 기회이기도 하다" 17-09-25
1075 [문화일보] "‘군사력’ 배제된 北核외교는 신기루" 17-09-20
1074 [쿠키뉴스] "美 전술핵무기 재배치, 위험성에만 경도되어서는 곤란하다" 17-09-20
1073 [문화일보] "유엔 제재 허점 한·미 공조로 막아야" 17-09-15
1072 [데일리안] "전술핵무기 재배치에 대한 5가지 오해와 진실" 17-09-12
1071 [문화일보] "샌드박스 넘어 ‘脫규제 운동장’ 필요" 17-09-12
1070 [매경이코노미] "미래 세대에 부담 주는 확장 일변도 내년 예산" 17-09-11
1069 [아시아경제] "북한의 근본적 변화만이 답이다" 17-09-05
1068 [데일리안] "북의 수소폭탄 대응? 문 대통령의 결단만 남았다" 17-09-05
1067 [경북도민일보] "韓-日, 탄도미사일방어 격차 벌어진 이유(2)" 17-09-05
1066 [경북도민일보] "韓-日, 탄도미사일방어 격차 벌어진 이유(1)" 17-09-05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