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원장은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 중입니다.
2017년 8월 29일 새벽 5시57분 북한은 일본 열도 상공 동북방향으로 1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다. 이에 대하여 일본 정부는 1분 후인 5시58분 순간 경보시스템인 ‘J-Alert’를 가동하였고, 이에 따라 공영방송 NHK를 비롯한 방송들은 오전 6시2분쯤부터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라면서 북한 미사일 발사 소식을 긴급하게 보도하고, 영향되는 지역의 주민들에게 건물과 지하로 피난하도록 전달하였다. 북한의 미사일이 6시6분께 홋카이도 상공을 통과하였으니 일본 국민들은 최소한 4분 정도 대피할 시간을 가진 셈이다. 그리고 1시간 경 지난 7시에 아베 총리는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였고, 이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40분간 통화하였다.
한국의 경우 일본보다 8분 늦은 6시6분쯤 군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실을 언론에 문자로 고지했다고 한다. 방송 등을 통한 경보는 없었고, 국가안보회의는 개최하였으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한 상임회의였으며, 그 개최시간도 8시30분으로 일본에 비해 1시간 30분 정도 지체되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노출된 정도가 훨씬 심각하면서도 경보체계는 물론이고, 위기에 대응하는 긴박감도 일본에 비해서 미흡하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반성과 교정해야할 사항이 적지 않을 것이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072 | [데일리안] "전술핵무기 재배치에 대한 5가지 오해와 진실" | 17-09-12 |
1071 | [문화일보] "샌드박스 넘어 ‘脫규제 운동장’ 필요" | 17-09-12 |
1070 | [매경이코노미] "미래 세대에 부담 주는 확장 일변도 내년 예산" | 17-09-11 |
1069 | [아시아경제] "북한의 근본적 변화만이 답이다" | 17-09-05 |
1068 | [데일리안] "북의 수소폭탄 대응? 문 대통령의 결단만 남았다" | 17-09-05 |
1067 | [경북도민일보] "韓-日, 탄도미사일방어 격차 벌어진 이유(2)" | 17-09-05 |
1066 | [경북도민일보] "韓-日, 탄도미사일방어 격차 벌어진 이유(1)" | 17-09-05 |
1065 | [경기일보] "계란의 추억" | 17-09-05 |
1064 | [서울경제] "대북정책 패러다임 전환 요구된다" | 17-09-04 |
1063 | [데일리안] '미사일 방어' 우린 루머에 속았고 일본은 제대로 노력했다 | 17-09-01 |
1062 | [조선일보] "한국 노인빈곤율이 OECD 평균의 4배? 숫자의 착시효과" | 17-08-31 |
1061 | [문화일보] "교육정책 혼란의 최대 피해자" | 17-08-31 |
1060 | [동아일보] 이 땅이 아프다 | 17-08-31 |
1059 | [데일리안] "'차고 넘치는' 메시지의 과잉, 무엇을 의미하나" | 17-08-28 |
1058 | [한국경제] 명(名)과 실(實)이 어긋나는 세법개정안 | 17-08-28 |
1057 | [신동아] "인민의 밤 지배한 사이렌이요, 음악마녀" | 17-08-21 |
1056 | [신동아] 거국적 자강결의와 '숙의' 플랫폼 구축 | 17-08-16 |
1055 | [아시아경제] 유엔 안보리 제재이후가 더 중요하다 | 17-08-11 |
1054 | [문화일보] 이념 굴레 버려야 성장동력 살아난다 | 17-08-11 |
1053 | [전략연구] 오인식(誤認識)이 한국의 탄도미사일방어체제(BMD) 구축에 미친 영향 | 17-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