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장으로 활동 중이신 이주호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의 한국경제 칼럼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교육 정책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지만 교육 개혁의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교사의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이야기가 들리지 않는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은 교육계의 금과옥조다. 교사의 변화 없는 교육 개혁은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만 키우고 실패한다. 우리 아이들에게 제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역량을 전혀 키워주지 못하는 수능의 폐해는 누구나 공감한다. 입시 개혁은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시대적 과제다.
그러나 수능 중심의 주입식 입시 교육 대안으로 도입됐던 입학사정관제도나 학생부종합전형이 아직 현장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부터 따져보아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교사가 수업과 평가의 방식을 과감하게 바꿔 학생들의 창의력과 협력 역량에 대한 평가 결과를 학교 수업에 기초해 대학에 제대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변별력이 없다는 이유로 수능 절대평가 도입을 늦추자는 대학의 우려도 약화될 것이고, 입시 스펙을 쌓아야 하는 학부모와 학생의 부담도 경감될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학습과 같이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함께 해결하는 소위 수평적 학습을 확산시키는 것이야말로 교육개혁의 핵심이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사의 변화가 가장 중요하다. 교사가 단순히 강의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만들어보고 해결 방안을 다른 학생들과 함께 찾아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단순한 지식만이 아니라 문제해결역량과 협동심 등을 평가할 수 있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053 | [전략연구] 오인식(誤認識)이 한국의 탄도미사일방어체제(BMD) 구축에 미친 영향 | 17-08-10 |
1052 | [데일리안] 북 핵 쏜다고 위협해도 "전쟁 안일어나요" 불구경? | 17-08-10 |
1051 | [문화일보] "大入 개편, 대학 선발권 존중이 기본" | 17-08-07 |
1050 | [동아일보] "절절한 자강의 리더십" | 17-08-07 |
1049 | [문화일보] "北 정권을 ‘최악 상황’ 몰아야 변한다" | 17-08-03 |
1048 | [중부일보] "정부만능주의를 경계함" | 17-08-03 |
1047 | [문화일보] "교사를 ‘전문직’으로 키워야 한다" | 17-08-01 |
1046 | [한국경제] "'생산적 형평성'이 성장과 분배 개선의 지름길" | 17-08-01 |
1045 | [한국경제] "추경으로 공무원 늘리는 게 맞나" | 17-07-18 |
1044 | [문화일보] "최저임금 인상 過速의 심각한 부작용" | 17-07-13 |
1043 | [동아일보] "실패한 북핵 게임에서 나라를 지키려면" | 17-07-07 |
1042 | [문화일보] " 레드라인 넘는 北 응징 위한 萬全之策" | 17-07-05 |
1041 | [아시아경제] "한미정상회담, 후속조치가 더 문제다" | 17-07-05 |
1040 | [문화일보]"교육이 理念에 휘둘리면 낙오국 된다" | 17-07-04 |
1039 | [한국경제]"연례 추경예산도 적폐 아닌가" | 17-07-03 |
1038 | [매일경제]"시장을 움직일 수 있다는 정부의 왜곡된 경제정책" | 17-06-26 |
1037 | [이투뉴스]"에너지는 천천히 움직인다" | 17-06-26 |
1036 | [동아일보]"대한민국 신주류 만들어야" | 17-06-23 |
1035 | [문화일보] "‘남북대화 조급증’이 위험한 이유" | 17-06-23 |
1034 | [아시아경제] "'안보의 정치화'를 경계해야" | 17-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