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을 쓰신 강성진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국가전략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내년 최저임금 수준을 결정해야 할 시간이 임박하면서 사용자와 노동계 간의 갈등이 극에 이르고 있다. 사용자 측이 제시한 최저임금 최초안은 시급 6625원으로 지난해 최저임금(6470원)에 대비 2.4% 인상된 금액이다. 반면, 노동계는 지난해 대비 무려 54.6%가 인상된 1만 원을 제시했다. 12일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10차 전원회의에서 노동계는 9570원(47.9% 인상), 사용자 측은 6670원(3.1% 인상)을 수정안으로 제시했으나 노사 양측의 차이가 너무 컸다.
해마다 노사 양측이 타협되지 않아 최저임금위원회에서 투표로 최저임금이 결정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임금은 사용자에게는 비용이고 노동자에게는 소득이라는 점이다. 임금 인상으로 근로자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는 건 그 누구도 반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우려하는 것은 최저임금이 최근 경제성장률보다 과속(過速)으로 인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 1600원이던 최저임금은 올해 6470원으로 지난 17년 동안 4배 정도 인상됐다. 최근 5년 동안에도 거의 연평균 7%가 증가해 같은 기간 연평균 3% 정도인 경제성장률에 비해 훨씬 가파르게 인상되고 있다. 특히, 이 인상률은 4인가족 기준 최저생계비 인상률보다 훨씬 높다. 최저임금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최저임금 적용 대상 근로자는 약 1900만 명이며, 그중 수혜근로자는 약 330만 명으로 17.4%가 직접 영향을 받고 있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1045 | [한국경제] "추경으로 공무원 늘리는 게 맞나" | 17-07-18 |
1044 | [문화일보] "최저임금 인상 過速의 심각한 부작용" | 17-07-13 |
1043 | [동아일보] "실패한 북핵 게임에서 나라를 지키려면" | 17-07-07 |
1042 | [문화일보] " 레드라인 넘는 北 응징 위한 萬全之策" | 17-07-05 |
1041 | [아시아경제] "한미정상회담, 후속조치가 더 문제다" | 17-07-05 |
1040 | [문화일보]"교육이 理念에 휘둘리면 낙오국 된다" | 17-07-04 |
1039 | [한국경제]"연례 추경예산도 적폐 아닌가" | 17-07-03 |
1038 | [매일경제]"시장을 움직일 수 있다는 정부의 왜곡된 경제정책" | 17-06-26 |
1037 | [이투뉴스]"에너지는 천천히 움직인다" | 17-06-26 |
1036 | [동아일보]"대한민국 신주류 만들어야" | 17-06-23 |
1035 | [문화일보] "‘남북대화 조급증’이 위험한 이유" | 17-06-23 |
1034 | [아시아경제] "'안보의 정치화'를 경계해야" | 17-06-23 |
1033 | [중앙일보]"SNS·언론 통해 국민 아이디어 모아 남북협력의 틀 바꾸자" | 17-06-19 |
1032 | [아시아경제]"北 미사일 방어, 일본에서 배워라" | 17-06-15 |
1031 | [한국경제]"나라를 나라답게, 정책도 정책답게 | 17-06-05 |
1030 | [서울경제]"사회갈등만 부추길 일자리 정책" | 17-05-30 |
1029 | [아시아경제]"북핵 해결을 위한 대화와 협력의 위험성" | 17-05-25 |
1028 | [파이낸셜뉴스]"일자리 종합기획 정책과제, 공공재 개념모델로 풀어라" | 17-05-25 |
1027 | [문화일보]"경제 活性化가 불평등 해소의 지름길" | 17-05-24 |
1026 | [매일경제]"‘J 노믹스’의 성공 여부는 국민과 소통에 달려 있다" | 17-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