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을 쓰신 박휘락 교수는 현재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선진국방연구 회장으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칼럼>'탐지거리→사드 성능→전자파 유해' 시비 줄이어
나라가 뭘해줄까 묻지 말고 하는 일 방해만 말았으면...
“그들”의 교만
지난 7월 8일(금요일) 오전 11시에 국방부가 사드(THAAD) 배치의 결정을 발표한 이후 필자는 사드에 관한 글을 더 이상 쓰고 싶지 않았고, 쓸 필요도 없다고 생각했다. 사드에 관한 글을 너무 많이 썼고, 그 글로 다수의 주변사람들을 번거롭게 만들었으며, 이제는 대부분의 사항이 정리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날 발표 이후 종편 등에서도 이 문제를 별로 다루지 않았고, 내가 접하는 국민들의 대부분도 이 문제를 꺼내지 않았다. 그 동안의 논란과정을 통하여 국민들이 진실을 대부분 파악했다고 생각했다. 역시 우리 국민들은 현명하다면서 내가 하던 연구에 집중하면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인터넷을 중심으로 “그들”이 국민들을 선동하고자 안간힘을 쓰는 것을 보면서 분노의 마음이 들었다. 그럴듯하지만 말이 되지 않는 논리로 국민들을 선동하는 “그들”의 악의가 너무나 뚜렷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이 심각하다면서 기사를 써야한다는 청탁도 들어왔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결기대회나 삭발이 진행되고, 서명운동도 추진한다고 한다. 정치권에서도 국민투표에 부치자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그들”의 선동이 먹혀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국민들을 선동 대상으로 생각하면서 그럴듯한 아무 논리나 동원한다. 그러면 국민들을 속아넘어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광우병 사태에서 본 짜릿한 재미를 사드를 통하여 재현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들은 얼마나 알기에 그와 같이 교만할까? 국민들을 그와 같이 얕잡아 봐도 되는 것인가? 그러면서 그들은 항상 “민주”(民主)를 외친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965 | [서울경제]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전력수급 영향 제한적...지금 손 봐야 | 16-08-26 |
964 | [조갑제닷컴] 사드(THAAD)와 우리의 민낯 | 16-08-23 |
963 | [문화일보] 企活法 시행, 사업 재편 더 속도내야 | 16-08-23 |
962 | [한국경제] 대학은 더 이상 청년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 16-08-22 |
961 | [문화일보] ‘北독재 5대 장치’ 깰 新전략 급하다 | 16-08-17 |
960 | [데일리안] 사드반대론자들의 '미 MD 참여' 논쟁은 허구다 | 16-08-02 |
959 | [서울경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전력 판매시장 민간개방 - 찬성 | 16-07-15 |
958 | [국민일보] 사드 이어 핵 대비에도 총력 기울여야 | 16-07-14 |
957 | [데일리안] 사드 관련 유언비어 모두 다 거짓인 이유 | 16-07-14 |
956 | [한국경제] 청년수당 아닌 청년 연금운동 필요하다 | 16-07-07 |
955 | [매일경제] 총체적 위기극복 경영만이 조선업 살길 | 16-07-07 |
954 | [아시아경제] 전력산업 활성화를 위한 판매개방 | 16-07-04 |
953 | [문화일보] 포퓰리즘 정치가 양극화 부채질한다 | 16-06-30 |
952 | [동아일보] 면허制 없는 ‘우버화’ 시대에 대비하자 | 16-06-27 |
951 | [문화일보] 한미동맹 불안정성 높일 北 ICBM | 16-06-23 |
950 | [한국경제] 북핵 대화 주장에 쫓길 일 아니다 | 16-06-22 |
949 | [동아일보] 이젠 천연가스가 대안이다 | 16-06-22 |
948 | [한겨레] 반기문, 대통령보다 더 큰 일에 쓰여야 | 16-06-22 |
947 | [한국경제] 기업 구조조정, 성공은 경영혁신에 달렸다 | 16-06-17 |
946 | [한국대학신문] 젠더 이슈의 집중이 정답이다 | 16-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