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22 11:07:04
◆ 칼럼은 백성기 선진통일건국연합 상임대표님께서 쓰셨습니다.
일부 국립대를 중심으로 총장직선제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얼마 전 부산대의 한 교수가 총장직선제 부활을 주장하며 투신 자살한 사건이 발단이 됐다. 그간 총장 직선제는 끈질긴 대학 민주화 투쟁의 소중한 전리품으로 인식되어 왔다. 실상 우리가 이룩한 정치 민주화는 대학 민주화에 힘입은 바가 크다.
그럼에도 대학 총장 직선제 부활은 신중해야 한다. 본질적으로 대학의 의사 결정은 투표보다 토론과 설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총장 선임은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으로, 이를 구성원의 투표로 결정하도록 제도화하는 것은 대학의 본질을 심각하게 훼손하게 될 우려가 크다. 대부분 대학이 그 폐해를 몇 차례 직선을 통해 절절히 경험했다. 교수 사회가 분열하고, 선거 과열에 따른 공약 남발과 막대한 선거 비용 발생, 선거 후에 겪게 되는 수많은 후유증이 대학 문화를 심각하게 파괴했던 것이다.
◆ 칼럼 전문은 아래 [기사전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905 | [동아일보] ‘권력 연장’보다 ‘4대 개혁’에 집중하라 | 16-01-18 |
904 | [매일경제] 영리병원 제대로 도입하자 | 16-01-18 |
903 | [한국일보] 경제위기와 무기력한 정부 | 16-01-18 |
902 | [문화일보] ‘개성공단 조절’도 시작해야 할 때다 | 16-01-18 |
901 | [문화일보] 전방위 ‘공세적 核 대책’ 필요하다 | 16-01-14 |
900 | [데일리안] 북 핵실험 단 5일만에 우린 5일전 그날을 잊었다 | 16-01-12 |
899 | [데일리안] 수소탄이든 아니든 한반도 상공에 버섯구름 뜰판인데 | 16-01-07 |
898 | [한국경제] 금강산관광, 중단사유 안고 재개할 수 없다 | 15-12-23 |
897 | [조선일보] 국립대 총장 직선제 유감 | 15-12-22 |
896 | [한국일보] 과거지향적 인재 양성 | 15-12-22 |
895 | [문화일보] 위축되는 한국 무역, 돌파구는 있다. | 15-12-22 |
894 | [한국일보] 녹색기후기금과 기후변화 대응 | 15-11-27 |
893 | [한국경제] 북한 나선특구개발, 국제규범 준수에 달렸다 | 15-11-27 |
892 | [매일경제] 개혁 위한 `대탕평`이 YS의 유산이다 | 15-11-23 |
891 | [국제문제연구 가을호]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실태 비교 | 15-11-16 |
890 | [동아일보] ‘3대 난치병’에 빠진 한국 정치 | 15-10-26 |
889 | [문화일보] 美 전투기 개량사업에 韓國 참여해야 | 15-10-26 |
888 | [머니투데이] 저성장 극복의 가시밭길 | 15-10-26 |
887 | [문화일보] 노벨상 디턴 교수의 빈곤완화 성장論 | 15-10-19 |
886 | [동아일보] ‘트리플 딜레마’에 빠진 야당 | 1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