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23 14:41:09
◆ 박세일 한선재단 고문님께서 매일경제에 칼럼을 쓰셨습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공적이 매우 많았음에도 그동안 정권이 바뀌면서 제대로 된 역사적 평가를 받지 못했다.
우선 김 전 대통령은 5공화국 때 실패했던 금융실명제를 전격 도입해 성공시켰다. 군을 장악하고 있던 비밀 사조직인 하나회를 척결했다. 공직자 재산등록제를 시행해 고위 공무원들의 재산을 과감히 공개했다. 하나하나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력을 요구하는 쉽지 않은 개혁 과제였다.
특히 금융실명제는 고인이 대통령에 재임 중일 때 언론에서 `김 대통령은 금융실명제 하나만 하고 아무것도 안 해도 성공한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중대한 개혁이었다.
우선 김 전 대통령은 5공화국 때 실패했던 금융실명제를 전격 도입해 성공시켰다. 군을 장악하고 있던 비밀 사조직인 하나회를 척결했다. 공직자 재산등록제를 시행해 고위 공무원들의 재산을 과감히 공개했다. 하나하나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력을 요구하는 쉽지 않은 개혁 과제였다.
특히 금융실명제는 고인이 대통령에 재임 중일 때 언론에서 `김 대통령은 금융실명제 하나만 하고 아무것도 안 해도 성공한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중대한 개혁이었다.
번호 |
제목 |
날짜 |
---|---|---|
895 | [문화일보] 위축되는 한국 무역, 돌파구는 있다. | 15-12-22 |
894 | [한국일보] 녹색기후기금과 기후변화 대응 | 15-11-27 |
893 | [한국경제] 북한 나선특구개발, 국제규범 준수에 달렸다 | 15-11-27 |
892 | [매일경제] 개혁 위한 `대탕평`이 YS의 유산이다 | 15-11-23 |
891 | [국제문제연구 가을호]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실태 비교 | 15-11-16 |
890 | [동아일보] ‘3대 난치병’에 빠진 한국 정치 | 15-10-26 |
889 | [문화일보] 美 전투기 개량사업에 韓國 참여해야 | 15-10-26 |
888 | [머니투데이] 저성장 극복의 가시밭길 | 15-10-26 |
887 | [문화일보] 노벨상 디턴 교수의 빈곤완화 성장論 | 15-10-19 |
886 | [동아일보] ‘트리플 딜레마’에 빠진 야당 | 15-10-01 |
885 | [한국경제] GDP의 40% 나랏빚, 브레이크가 필요하다 | 15-10-01 |
884 | [한국일보] ‘외국인투자촉진법’ 폐기할 때다 | 15-10-01 |
883 | [조선일보] 우리에게 미국과 중국은 다르다 | 15-09-09 |
882 | [문화일보] ‘8·25 합의’ 유효기간 결정할 변수들 | 15-08-28 |
881 | [데일리안] 김정은이 최후통첩 했는데 아무도 걱정하지 않는다 | 15-08-24 |
880 | [샘터] 대한민국의 꿈 _ 광복 70주년을 맞아 | 15-08-17 |
879 | [매일신문] "광복 70돌 대한민국…성공신화에서 깨어나 참회하라" | 15-08-17 |
878 | [새로운 한국을 위한 국민운동 1주년 개회사] 자율적 개혁의 새나라 새희망 만들기 | 15-07-27 |
877 | [한국경제] 북한의 '개성공단 어깃장' 더는 안된다 | 15-07-24 |
876 | [예산춘추] 겨울이 돼서야 솔의 푸름을 안다 | 1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