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이홍구] 6·25의 회상, 월드컵의 흥분, 통일한국의 꿈
 
2010-06-23 08:50:31

 

♧ 2010년 6월21일(월) 중앙일보 A39면 ‘오피니언’ 코너에 실린 기사입니다.
-------------------------------------------------------------------


[이홍구 칼럼]

6·25의 회상, 월드컵의 흥분, 통일한국의 꿈

 


그리스전에서 승리하고 아르헨티나와 혈전을 벌인 우리 축구팀의 활약으로 한층 달아오른 월드컵의 열기는 국민을 흥분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2002년의 영광을 기억하는 온 국민에게 설레는 기대감을 다시 한번 안겨주고 있는 것이다. 한편, 올해의 6월은 우리 국민들 모두가 결코 잊을 수 없는 6·25전쟁 60주년을 맞는 달이다. 그렇기에 남아공으로부터 날아오는 승전보와 60년 전에 겪었던 민족적 시련의 기억을 돌이켜보며 지금껏 우리가 함께 지켜 온, 그리고 자랑스럽게 외치는 대∼한민국의 나아갈 길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6·25나 월드컵이 범국민적 경험임에는 틀림없지만 국민 각자의 생각이나 느낌은 그 내용이나 강도에 있어 각양각색일 수밖에 없다. 60년이란 세월이 지나다 보니 할아버지·할머니 세대, 아버지·어머니 세대, 아들·딸들의 세대, 더 나아가 손자들의 세대로 적어도 4대에 걸친 역사인식이나 문화적 감각에는 현저한 차이와 다양성이 있음을 인정해야 된다. 6·25를 경험했거나 듣고 자란 60, 70대, 산업화와 민주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성장한 40, 50대, 월드컵을 포함한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있는 20, 30대, 초고속으로 발전하는 사이버시대의 기수가 되겠다는 10대까지를 포함해 우리 사회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훨씬 크고 특이한 세대 간의 차이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통합보다는 분열의 잠재적 요인이 되고 있다. 벌써부터 그러한 분열의 조짐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지 않은가.

모든 것이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는 오늘의 세계에선 어느 사회나 특히 선진국일수록 세대 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수다한 과제를 안게 마련이다. 그중에서 우리의 경우가 유별난 것은 냉전의 막이 내린 지 20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한반도에서는 분단과 대결이 지속되며 6·25전쟁의 긴장이 그대로 유지된 채 세대 간 경험의 차이를 넘어선 인식의 통합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으론 21세기 지구촌 건설에 앞장서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20세기 냉전적 대결의 태세를 풀 수 없는 상황의 이중성이 우리 국민을 답답하게 만들고 때로는 세대 간 인식의 차이와 거리감을 한층 심화시키고 있다.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손자 이들 네 세대가 오늘의 한국이 처한 상황의 이중성의 성격을 함께 이해하고 대처하려는 가족대화의 문을 열고 노력해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다. 한반도의 긴장 상태는 남북 대결이란 차원보다도 북한과 국제사회의 대결이란 차원에서 근본 원인을 찾도록 인식의 초점을 전환시켜야 한다. 냉전의 막이 내리면서 세계는 개방과 교역을 통한 공동번영의 길로 들어서며 지구촌공동체를 함께 만들어 가는 데 노력하고 있다. 월드컵과 올림픽이 바로 그렇듯 함께 나아가는 지구촌의 축제가 아니겠는가. 우리 한국은 국가 간의 정치적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지구촌 모든 시민의 자유와 복지를 향상시키자는 보편적 규범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그러한 세계사의 흐름에 역행하며 역사의 예외지대에 남겠다고 주장하는 북한지도부의 고집이 우리에게 상황의 이중성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의 흐름에서 영원한 예외는 없다. 슬기로운 우리 민족이 역사의 예외지대에 갇힌 채로 무한정 살아갈 리 없기에 오늘의 북한이 고집하는 예외성도 결국 일시적 현상일 것이다. 전근대적인 일가세습 통치나 군국주의 시대의 유산인 선군정치와 같은 시대착오적 기형체제의 굴레로부터 북한이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지는 인내력을 갖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특정한 국가체제보다도 훨씬 원초적인 것은 수천 년을 이 땅에서 함께 살아온 민족사회임을 우리가 잊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 국민 모두는 인간적 존엄성과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통일된 민족공동체를 건설하겠다는 꿈과 역사적 소명의식을 굳건히 간직하고 있다.

북한 핵 문제와 천안함 사태가 보여준 군사적 도발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북한 주민의 기본 복지와 인권 문제, 탈북자의 생존 문제 등은 민족공동체 건설의 핵심 과제임을 우리는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한다. 북한 주민의 어려움을 돕는 적극적 지원에 앞장서는 미래지향적 보수와 북한주민의 인권 수호와 독재로부터의 자유를 외치는 이성적 진보의 출현을 기대하게 된다.

나라와 자유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어려운가를 되새겨보려는 6·25세대, 경제발전과 민주화가 공동체의 필수요건임을 강조하는 민주화 세대, 그리고 세계 속에 우뚝 서는 통일된 대∼한민국을 자신 있게 외치는 월드컵 세대의 대화와 합창이 본궤도에 오르는 6월을 만들어가 보자.


 

  목록  
번호
제목
날짜
705 [조선일보/박세일 칼럼] 중국이여, 王道로 가라 10-10-17
704 [박세일/기고문] 선진통일을 위한 [적극적 안보]의 시대를 열자 10-10-13
703 [조선일보/박세일칼럼] 대한민국 선진통일추진위 10-09-26
702 [조선일보/박세일 칼럼] '통일시대' 어떻게 성공시킬까 10-09-04
701 [Korea Focus/박세일] Korea’s Dream for the 21st Century 10-08-27
700 [주간 동양경제] 벽 앞에 멈춰서버리는 일본, 벽을 피해서라도 전진하는 한국 10-08-17
699 [조선일보/박세일 칼럼] 21세기 대한민국의 꿈 10-07-23
698 [김영봉] `국토균형론`에 미래 기댈 셈인가 10-07-09
697 [한국일보/특별대담] 최장집 & 박세일 중도를 논하다 10-07-01
696 [조선일보/칼럼] 한나라당은 해체하고 재창조하라 10-06-25
695 [이홍구] 6·25의 회상, 월드컵의 흥분, 통일한국의 꿈 10-06-23
694 [조선일보/칼럼] 새로운 분단인가, 통일인가 10-05-28
693 [조선일보/칼럼] 천안함 장병들을 보내며, 나라에 주인은 줄고 객(客)은 넘쳐난다 10-04-30
692 [영남일보/인터뷰] “우리 선거엔 정책없이 득표만 있어... 정당이 사당화(私黨化) 10-04-23
691 [4.19 문화상] 수상소감문 10-04-14
690 [조선일보] 이 나라에 국가전략이 있는가 10-04-02
689 [KBS한국방송/인터뷰]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 10-03-17
688 [CBS기독교방송/인터뷰] 총리역할 강화하는 개헌 바람직 10-03-15
687 [BBS불교방송/인터뷰] '세종시 논란으로 인한 국론분열 상황, 어떻게 보나?' 10-03-15
686 [조선일보/박세일 칼럼] 이 나라에서 민주주의가 성공할까 10-03-09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